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원봉사활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권현수(Gweon, Hyun-Soo)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4

        본 연구는 우리나라 만 20세 이상 성인들을 대상으로 자원봉사활동이 자아존중감,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구조적 인과관계가 성별, 연령별 집단에 의해 차이가 있는지를 다집단분석을 통해 검증해봄으로써 자원봉사활동의 혜택(Benefit) 및 인구사회학적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성인들의 자원봉사활동은 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은 이 인과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인들의 자원봉사활동은 직접적으로 건강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존중감, 건강과의 인과관계는 남녀 성별차이에 의한 차이는 성립하지 않았으며, 연령별 차이와 관련한 가설은 성립하여, 특히 만 65세 이상 노년층에서 자원봉사활동이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ositive effects of volunteering on self-esteem and health of Korean peopl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ag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008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ere 12,497 over aged 20. The data were analysed by the statistics software SPSS 18.0 and Amos 18.0, in which descriptive statistic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are utilized. As a result, volunteering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esteem and health, also the relationship of volunteering to health was mediated by self-esteem. The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imply that volunteering have different effects on self-esteem, depending on age differenc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사례관리 개념에 대한 쟁점 고찰

        권현수 ( Hyun Soo Gweon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論叢 Vol.40 No.-

        본 연구는 사례관리실천의 혼란을 가져오는 여러 원인 중 가장 근본적인 이유로 사례관리개념 정의의 모호함에 주목하여, 문헌 속에 나타난 사례관리 개념이 각각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러한 개념정의와 관련한 쟁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1980년대부터 최근까지 소개된 국내외 사례관리 개 과 관련한 문헌들을 분석한 결과 사례관리 개념이 가지는 무정형성의 특징을 발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무정형성의 특징 속에 나타나고 있는 사례관리의 주요한 점을, 첫째, “사례관리”라는 용어의 적절성과 타당성의 문제, 둘째, 직접서비스 제 과 간접서비스 제공 중 무엇이 더 강조 되는가 혹은 두 서비스를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에 대한 문제, 마지막으로 사례관리와 사회복지실천과의 개념적 범위와 관련한 것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향후 사례관리 개념과 관련한 쟁점들에 대해 더욱 추가적이고 구체화된 논의가 이어져 국내 사회복지실천의 환경과 지 점이 고려 된 사례관리 개념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fundamental cause of much of the confusion in case management practice is its lack of defin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ation of the case management concept in the literature and its defini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issues related to these definitions. In analyzing the literature relating to the case management concept since the 1980s, I find that it has not been a regular focu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case management concept has not appeared regularly in the analysis of the related literature. Among the major issues of case management that do not appear regularly, the first concerns whether the term “case management” is valid or not. The second concerns whether more emphasis is placed on the supply of direct service or on that of indirect service, or whether it is desirable to integrate both service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case management and social work practice is analyzed.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on these concepts, case management and the related issues, with consideration for the domestic environment and the orientation of social work practice.

      • KCI등재후보

        자원봉사관리자의 전문직업성 특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권현수(Gweon, Hyun Soo) 한국비영리학회 2011 한국비영리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봉사관리자가 전문직으로서 가져야 할 가치와 태도인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것을 결정짓는 영향요인들이 무엇인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자원봉사관리자의 전문직업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실천적, 제도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 있으며 탐색적 연구의 성격을 띤다. 전국 247개 자원봉사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자원봉사관리자 전체를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여 이 중 267부가 최종 자료분석에 사용되었다. Hall(1968)과 Sneizek(1972)이 개발하고 박종우(1994) 등이 번역, 사용한 전문직업성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응답한 자원봉사관리자들의 전문직업성 정도는 5점 척도기준 3.64로 보통이상의 전문직업성을 가져 초기 사회복지사들의 전문직업성 조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자원봉사관리자들의 전문직업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정규직 여부, 자원봉사경험, 학력 등의 순서였으며, 전문직업성을 결정짓는 변인으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재교육 경험은 전문직업성 전체 및 하위변인에서도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자원봉사관리자의 재교육 역시 전문직업성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변수인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s main purpose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olunteer Manager’s Professionalism and to find out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ir Professionalism. The volunteer management system is needed as the essential condition for the spread of volunteer activation and civil participation in volunteer service in our country. For carrying out this purpose, the mail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toward entire volunteer managers working at the 247 places of volunteer centers. The total of 267 shee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of volunteer manager’s was 3.64, it was usual level, and it was approved that the status of job(permanent worker), volunteer activity experiences,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major factors affecting on their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volunteer manager, not only arrangement of contents and quantities of works, stabilization of status but also public and systemic supporting should be increased.

      • KCI등재
      • KCI등재

        노인 문제음주가 우울,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권현수(Gweon, Hyun Soo)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4

        본 연구는 노인의 문제음주와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와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빈곤노인집단과 비빈곤노인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한 다집단분석 및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2007 한국복지패널 2차년도 조사자료 중 만 65세이상 노인 3,589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빈곤노인은 2,471명, 비빈곤노인은 1,118명이었다. 잠재평균분석결과, 빈곤노인이 비빈곤노인에 비해 문제음주성향과 우울감이 더 높았고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은 집단간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집단분석을 통해 각 요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빈곤노인과 비빈곤노인의 집단 차이를 통해 살펴보니 문제음주와 우울의 정적인 관계는 두 집단 모두에게서 나타났고, 우울과 삶의 만족도간의 부적인 관계는 빈곤노인에게서만, 문제음주와 자존감과의 부적인 관계는 비빈곤노인에게서만 나타났다. 노인의 문제음주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는 빈곤노인집단에게서만 확인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집단간 평균검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던 노인의 문제음주 변인이 오차오류를 통제한 잠재평균분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어,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문제음주 경향이 더 높다는 의미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조사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한 문제음주 대책은 노인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고려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노인 문제음주에 대한 접근에서도 예방과 치료에 있어 우울과 자아존중감과 같은 심리정서적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problem drinking of elderly, depress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also to investigate how these effects were influenced by the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oor and non-poor elderly. The results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drinking and depression not also poor elderly group but non-poor elderlys'. According to Multi-group analysis, Latent means analysis where non-poor elderly are used as the reference group, poor elderly group showed higher latent mean values on the problem drinking and depression, and lower latent mean values on th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blem drinking of elderly and life satisfaction the only in a poor elderly group.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recommended.

      • KCI등재
      • 성인 문제음주가 자아존중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

        권현수(Gweon, Hyun Soo),성희자(Sung, Hee Ja)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3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문제음주와 우울, 자아존중감 등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특히 문제음주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구조적 관계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2006년 제2차 한국복지패널에 참여한 만 20세 이상에서 60세까지의 성인 남녀 5,817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s modeling)을 적용한 잠재평균분석(Latent Means Analysis)을 SPSS 15.0과 AMOS 7.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문제음주, 우울, 자아존중감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그 인과관계에 있어서도 남성이 여성보다 문제음주가 우울에 미치는 부적 영향과 문제음주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조금 더 강한 인과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녀 집단 모두에게서 자아존중감은 문제음주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tur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problem drinking of adult, self- essteem and gender through Structual Equation Modeling and also to investigate how these effect were influenced by differences in the structual relationships between problem and depression not only man but women adult. According analysis, Latent Mean values problem drinking, depression, self-esteem on gender. Gender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blem dringking, depression, self-esteem in man of adult group.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suggestion for further studies were recommended.

      • KCI등재

        노인단독가구의 주거빈곤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도시와 농촌 지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은주(Park, Eun Joo),권현수(Gweon, Hyun So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硏究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단독가구의 주거빈곤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러한 관계가 도시와 농촌지역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2019년 한국복지패널 14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만 65세 이상 노인단독가구 가구주 2,732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단독가구의 주거불안정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할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단독가구의 경우 주거불안정성 요인이, 농촌지역은 최저주거기준미달 요인이 노인단독가구의 삶의 만족도에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단독가구의 주거조건과 관련한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노인단독가구의 주거지원을 강화하고 도시와 농촌지역의 지역 특성을 반영한 주거지원정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overty and life satisfaction for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2,732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aged 65 or older using the 14th year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in 2019. The analysis shows that the higher the housing instability of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and the lower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the lower the satisfaction level of life. For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living in urban areas, the factors of housing instability, and in rural areas, the factors below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have more nega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related to the housing conditions of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housing support policies are needed that will enhance housing support for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and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in urban and rural areas.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과 사회복지사의 아동권리인식 비교

        김보나(Kim, Bo Na),권현수(Gweon, Hyun Soo),하춘광(Ha, Choon Kwa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1 No.2

        본 연구는 대표적 아동복지시설인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과 사회복지사의 아동권리 인식정도를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 등 아동권리유형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 IPA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을 적용하여 아동권리의 중요도 인식과 실제 보유하고 있는 권리에 대한 인식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은 경남 C시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중 초등학교 4~6학년 아동과 이들이 이용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사회복지사이며, 아동 156명과 사회복지사 64명의 응답결과를 최종 자료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사회복지사는 아동보다 ‘보호권’을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면서 동시에 실제 보유정도에 대한 인식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아동권리 하위유형별 중요도 인식과 실제 보유도 인식 간 차이에 대해 IPA분석을 적용해 본 결과, 아동의 경우 ‘보호권’이 중요도에 비해 실제 보유수준은 낮다고 인식하여 집중적인 개선노력이 필요한 영역에 위치하는데 비해 사회복지사의 경우 ‘보호권’은 중요도와 실제 보유수준이 모두 높은 계속유지영역에 위치해 있어 아동의 권리인식과 차이를 보였다. 또한 아동은 ‘발달권’과 ‘참여권’이 중요도에 비해 실제 보유수준이 높다고 인식하여 과잉영역에 위치하고 있음에 비해, 사회복지사는 ‘생존권’, ‘발달권’, ‘참여권’이 중요도와 보유수준이 모두 낮다고 인식하는 저순위 영역에 위치하고 있어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focusing on such as ‘Survival Right’, ‘Protection Right’, ‘Development Right’, and ‘Participation Right’, between social worker and users at community child center. Also, it aims for a specific purpose to compare a perception gap between the degree of perception for the importance of children’s rights and the degree of perception for owning rights, using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this purpose, 156 children and 64 social workers were chosen in Kyungnam C city community child center an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an SPSS program. Som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and social workers were aware of the children’s rights importantly. The rate of the social workers was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in the terms of the degree of perception for the importance of rights. Second, The rate of degree of owning rights was lower than degree of recognition for the importance of rights in two groups. Finally, in analysis results about subcategories of children’s rights such as ‘survival right’, ‘protection right’, ‘development right’, and ‘participation right’, children were considered a “protection right” to be “Concentrate here area” that need intensive efforts. On the other hand, social workers showed that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owning rights of ‘Protection Right’ were both high and it located in ‘Keep Up Good Work’, which made some distintion with children’ perce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