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태권도사상(4) - 기합을 중심으로 -

        권혁정 한국체육철학회 2016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ssence of Ham having Ki-hap in the spirit of taekwondo as a study on the Korea Taekwondo. The summary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General sense of fighting spirit is a manifestation of the will that holds the confidence of the forces acting alone across as a sound or compacted. Then Ki-hap in Taekwondo can be defined as the utterance gathered a group ki(氣) that demonstrate the dynamics of body and mind in a state of accurately hitting a target the behavior of aggressive technology areas. Ki-hap is a manifestation of taekwondo training and technical act of courage mind works that he produced, mounted the steps of the application comes from combining and directing the exercise of Technology. Thus Ki-hap up is how to apply the techniques of Taekwondo is that courage that occur originate in the mind-set that is urgently required in its functioning. Thus fundamental mind that hagekkeum to generate a vessel can be called budongsim(不動心). Budongsim is possible to illuminate the working process and expressed their property in the stage of fighting spirit (expressing point of view) when the Poomsae and Kyorugi with, Kyogpa. The reason is that it can identify its contents essentially quest for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martial arts martial arts in other words the body and mind. Therefore, in Poomsae Poomsae Ki-hap while pursuing training as a commitment and integrity of practitioners are not party to the budongsim to shake inherent in the training environment. Budongsim Kyorugi in a fighting spirit is inherent to this party does not shake shaken by an act of courage to win by dominating the match with a kaleidoscope of sounds to change the relative prices. The courage was Ki-hap in Kyopa is exerted on the body by trained instrumentation which is inherent to budongsim not shake shaken when defeating smash the things. So essentially Ki-hap from the implications inherent in Taekwondo can be said budongsim practitioners to facilitate their object or container, or relative to act as a technical exercise dominion not shake the unshakable mind when standing face. 이 연구는 한국의 태권도사상에 관한 연구로써 태권도에서 기합이 갖는 본질적 함의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합의 일반적인 의미는 혼자서 지르는 소리나 괴성으로 기세의 작용으로 자신감을 담고 있는 의지의 표출이다. 그렇다면 태권도에서의 기합은 공격적인 기술의 동작을 목표한 부위에 정확하게 타격하는 상태에서 몸과 마음의 역동성으로 발휘되는 기(氣)가 모인 발성으로 정의할 수 있다. 기합은 태권도 수련과 기술적 행위의 적용의 단계를 거치면서 생성되는 용기가 기술의 접목과 발휘를 지향하는 단계에서 비롯되는 마음작용의 발로이다. 따라서 기합은 태권도 기술을 적용시키는 방법이며 그것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마음가짐에서 비롯되어 발생하고 작용하는 것이 용기이다. 이와 같이 용기를 생성하게 하게끔 해주는 근원적 마음이 부동심(不動心)이라고 할 수 있다. 부동심은 품새와 겨루기, 격파를 할 때 갖는 기합의 표출과정과 단계(표출시점)에서 그 속성을 밝히는 작업으로 가능하다. 그 이유는 무도에서의 자아와 무도와의 인과 관계 즉 몸과 마음의 관계에 대한 본질적 탐구로 그 내용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품새에서 기합은 수련자의 의지로서 품새 수련과 완결성을 추구하면서 수련환경에 동요되지 않고자 하는 부동심이 내재해 있다. 겨루기에서 기합은 상대를 가격하기 위해 변화무쌍한 소리와 더불어 경기를 지배하여 승리하고자 하는 용기가 작용하여 흔들리지 않고 동요되지 않고자 하는 부동심이 내재되어 있다. 격파에서 기합은 단련으로 도구화 된 신체에 용기가 발휘되어 격파물을 부술 때 흔들리고 동요되지 않는 부동심이 내재해 있다. 따라서 태권도에서 기합에 내재된 본질적 함의는 수련자가 자신이나 대상물 또는 상대와 마주 섰을 때 동요하지 않고 흔들리지 않는 마음을 다스림으로써 용기가 작용하여 기술발휘를 원활하게 하는 부동심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의 태권도사상(5) -무도와 인성을 중심으로-

        권혁정 한국체육철학회 201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aekwondo a fundamental object of martial arts training and to embody the meaning of personality according to Taekwondo methodology. Taekwondo is a process of finding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human inner world. This can be experienced through the process of martial arts training, and is in harmonious with the fundamental character of human existence. Therefore, in methodical Taekwondo training, formation of personality is achieved. This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ity, such as intelligence, affection, and intention. Based on this concept, the process of personality formation in Taekwondo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personality is realized through self - reflection in the rational judgment of self-value while practicing the poomsae. Second, personality is implemented through the practice of controlling the conscious emotions of a governed contest. Third, it is embodied as a specific experience on the interrelationship of technology and spirit by strengthening of the will as a methodological instrument that acts even when frustrated. In Taekwondo, ones’ humanity forms due to actions of virtue during performance. Therefore, in Taekwondo, humanity can be embodied as a means of self - reflection, practice of courtesy, intensification of the will, and is based on the nature of humanity. 이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를 무도 수련이라는 본질적인 목적에 토대를 두고 그 방법적 계기에 따라 인성의 의미를 구현하는 데 있다. 태권도는 무도로서 무술의 수련 방법의 실천적인 과정에서 체험할 수 있는 인간 내면세계의 본질적인 구조를 찾는 과정으로 인간이 지닌 근본적인 성품과 맥을 같이 한다. 따라서 태권도 수련에서 인성은 인격의 형성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방법적 계기를 통해서 그 내용을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지(知)·정(情)·의(意)라고 하는 인격의 특성을 토대로 한다. 이를 기반으로 태권도에서 구현되는 인격형성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품새에서 자기 가치의 이성적 판단에서 작용하는 자아성찰을 통하여 구현된다. 둘째, 겨루기에서 규칙에 입각한 의식된 감정을 통제하는 것에서 예의 실천을 통하여 구현된다. 셋째, 격파를 수행하는 것에서 작용하는 방법적 계기인 의지의 강화로서 극기가 작용하여 기술과 정신의 상호관계에 대한 구체적 체험으로 구현된다. 태권도에서 인성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적 계기가 인이라는 덕성의 원리에 근거한 정신적 작용의 귀결이다. 따라서 태권도에서 인성은 자아성찰, 예의 실천, 의지의 강화라는 방법적 계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람됨, 즉 인간다움의 본성에 기초한 인(仁)사상으로 의미를 지닌다.

      • 복음서 속의 시 118(117 칠십인경) : 22-23, 25-26의 인용

        권혁정 한국성경신학회 2010 교회와 문화 Vol.24 No.-

        본 논문은 최근 학계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신약의 구약 인용(The Old Testament in the New), 특히 신약의 시편 사용(The Psalms in the New) 부분을 다룬다. 필자는 신약에서 인용된 시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인용된 시편의 하나인 시편 118편을 선택했다. 이 시편을 선택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시편 118편은 신약 내의 최소한 열한 권의 책에서 인용(quotation) 혹은 암시(allusion)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시편 110편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다는 점이다.1 둘째로는, 신약에 인용된 시편 118편, 특히 복음서에 인용된 시 118편 22-23과 25-26은 신약 이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뉴엑소더스 모티프(The New Exodus Motif)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본론에서 두 가지 접근 방법을 시도한다. 먼저, 통시적 방법(Diachronic Approach)인 전승사적 접근방법 (Tradition-Historical Angle)을 통해, 전승들(Traditions)의 역사적 흐름속에서 시편 118편이 어떻게 사용되어 왔는지를 살펴본다. 이는 시편 118편 자체에서 시작하여 시편 118편이 사용되고 있는 유대 자료들 즉, 사해문서(the Dead Sea Scrolls), 탈굼(the Targums), 랍비문헌(the Rabbinic Literature)속에서 시편 118편의 사용을 추적하는 것이다. 이어서, 공시적인 방법(Synchronic Approach)인 해석학적 방법(Hermeneutical Angle)을 통해 복음서 기자 자신들이 시편 118편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복음서의 새로운 콘텍스트 내에서 시편 118편이 어떻게 재해석(reinterpretation)되고 적용(reapplication)되고 있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이 두 가지 접근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이 입증될 것이다. 첫째, 전승사적 접근방법을 통해 시편 118편이 유대전승들 속에서 종말론적 그리고/혹은 메시아적으로 해석(eschatological and/or messianical interpretation)되었음을 알게 될 것이다. 둘째, 해석학적 접근 방법을 통해 복음서 기자들은 일관되게 시편 118편을 기독론적으로 해석christological interpretation)하였고, 그들의 새로운 콘텍스트 내에서 뉴엑소더스 모티프(New Exodus Motifs)를 적용하고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 KCI등재

        태권도에서 인성의 덕목 구현과 의미 : 지(知)·정(情)·의(意)를 중심으로

        권혁정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에서 인성의 덕목과 의미를 구현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격의 심리적 특성인 지 (知)·정(情)·의(意)의 자아성찰, 예의 실천, 의지의 강화라고 하는 방법적 계기를 근거로 하였다. 이에 대한 객관화 된 증명은 태권도를 수련하고 있는 수행하는 자를 통해서이며 자신만의 경험에 대한 깨달음의 문제로 제각기 다를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인식의 체계를 갖고서 해명하는 것이 그 방법이 된다. 이는 인성의 본성이 보편적으 로 사람이 지니는 인격의 심리적 특성에 근거한 것으로 간주되고 상대적으로 공공적이면서 합리적인 관계의 특성을 지 니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해명하는 데 가능하다. 이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품새 수련에서 인성의 덕목은 의리, 지 혜, 신뢰로서 지적인 자아성찰이 수련자의 인격을 함양시킨다. 겨루기에서 인성의 덕목은 예의, 용기, 공평, 주도성으로 서 정적인 예의 실천이 수행자의 인격을 함양시킨다. 격파에서 인성의 덕목은 자기 존중, 인내, 극기, 열정으로서 수행자 의 의지적인 특성인 의지의 강화가 수행자의 인격을 함양시킨다. 따라서 태권도에서 인성은 수행자가 태권도의 기술체 계를 수련하는 과정 속에서 깨닫게 되는 정신적 특성에 의거하여 구현되고 함양되는 차원으로서 그 의미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ze the virtues and meaning of human nature in Taekwondo. For this purpose, we based on the methodological method of self – reflection(知), practice of manners(情), reinforcement of will(意), which i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ersonality. The objectivized proof of this is through the practitioner who is practicing Taekwondo and it can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the problem of enlightenment of his own experience, but it is the way of explaining with the system of recognition that we can understand. It is possible to explain this because the nature of humanity is universally considered to be based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ersonality and possesses the characteristics of a relatively public and rational relationship. The summary is as follows. In the Poomsae training, the virtue of humanity cultivates the personality of the practitioner as intelligence, wisdom, confidence, and intelligent self-reflection. In virtue, the virtue of humanity cultivates the personality of the performer as a courtesy, courage, fairness, initiative, and static practice of the courtesy. In virtue of frustration, virtue of personality is self - esteem, perseverance, self - denial, passion, and strengthening the will which is the will characteristic of the performer cultivates personality of performer. Therefore, in Taekwondo, the personality has meaning as a dimension that is realized and cultivated based on the mental characteristics that the practitioner realizes in the process of training Taekwondo's technical system.

      • KCI등재

        태권도 심사에서 공정성에 대한 현상학적 논의 : 승품・단 심사를 중심으로

        권혁정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2

        이 연구는 태권도 심사에서 심사평가위원이 가져야 할 의식의 본질적 구조를 공정성에 근거하여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후설의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논의하는 과정을 거쳤다. 태권도 승품・단 심사는 심사규정 및 규칙 과 공정성에 근거하여 평가할 수 있는 의식의 본질적 작용이 그 기반으로 구축되어져 있어야 한다. 하지만 외부적 요인 에 의하여 장애가 발생하는데 그것이 도복에 새겨진 도장명이다. 이는 심사 판정기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않지 만 의식의 작용에 관계한다. 그러므로 심사평가위원이 갖는 의식의 본질은 현상 그 자체에서 아무런 사심을 개입시키지 않고 판단할 수 있는 의식이어야 함을 전제한다. 따라서 심사평가위원의 의식은 공정성에 기초해 있어야 한다. 이에 근 거하는 심사평가위원의 의식은 기회 균등이나 평등에 의한 심사규정과 규칙의 기준에서 공정성에 따른 가운데 평가를 한다. 이를 통해 심사평가위원은 올바른 평가를 할 수 있으며 심사 시에 투철하게 작용하는 의식이 신념이다. 신념은 심 사에서 현상, 즉 심사시간의 짧음과 많은 응시자, 틀린 동작에 대한 특혜, 평가내용의 단순함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심사평 가위원이 지니는 의식의 본질로서 그 명증성을 확보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ssential structure of consciousness that should be held by judges in Taekwondo examination based on fairness. To do this, Husserl was discussed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Taekwondo competition should be built on the basis of the essence of consciousness that can be evaluated on the basis of examination rules and rules and fairness. However, there is an obstacle caused by external factors, which is the name of the seal engraved on the uniform. This does not have a direct impact on the criteria for judging, but relates to the function of consciousness. Therefore, it is presupposed that the essence of the consciousness possessed by the evaluation committee member should be the consciousness that can judge the phenomenon itself without involvement of selfishness. Therefore, the consciousness of judges should be based on fairness. The consciousness of the evaluation committee based on this evaluation is evaluated according to fairness in the standards of examination regulation and rule based on equality of opportunity or equality. Through this, the evaluation committee members can make the right evaluation, and the consciousness that acts in the examination is the belief. The belief is secured as the essence of the consciousness of the evaluation committee through analysis of the phenomenon in the examination, that is, the shortness of examination time, many candidates, preferences for wrong motions, and simplicity of evaluation contents.

      • KCI등재

        태권도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 구조

        권혁정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ructure of the aesthetic experience experienced by practitioners of Taekwondo. For this purpose, the aesthetic experience structure of the practitioner was acquired as a motor sensational perception, and based on the personality(諸性格)of aesthetic mood suggested by 樋口 聰(1987). Th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revolution kick can be said to be spatial beauty as an aesthetic mood. In other words, The space is a competition place, and the movement of the practitioner is formed by the aesthetic experience. Second,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revolution kick can be said to have been ontological beauty in competitive situations and at a high technical level. In other words, the practitioner has reached the level of the kick in the technical area above the level, and it is the aesthetical feeling that has high technical level and efficiency. Third, the technical realization of the revolution kick can be called aesthetic experience as technical beauty. In other words, it is realized by the acquisition of skills and skills as an action by the exercise sensation. Fourth,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kicking practitioner can be said to be time beauty as an aesthetical feeling in time succession. In other words, it is an aesthetic experience in which the practitioner's rotation and the kicking technique are expressed. Therefore, spatial beauty, ontological beauty, technical beauty, and time beauty by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Taekwondo revolution kick practitioner are important as aesthetic values of Taekwondo philosophy. 이 연구는 태권도 회전발차가 실천자가 체험하는 미적 체험의 구조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천자의 미적 체험 구조를 운동감각적 지각으로서 획득하고 樋口 聰(1987)이 제시한 미적 기분의 제성격(諸性格)을 토대로 구명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은 미적 기분으로서 공간미라고 할 수 있다. 즉 공간은 시합장소로서 실천자의 운동적 행동이 미적 체험으로 형성된다. 둘째,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은 경쟁적 상황과 높은 기술적 수준에서 획득한 존재미라고 할 수 있다. 즉 실천자가 회전발차기 수준을 기술적 영역 안에서 수준 이상까지 도달한 상태로서 높은 기술적 수준과 효율성을 지닐 때 느끼는 미적 기분이다. 셋째,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기술 실현은 미적 기분으로서 미적 체험을 기술미라고 할 수 있다. 즉 실천자의 운동감각에 의한 행위로써 기술의 습득이나 기술에 의해 실현된다. 넷째,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은 시간 연속상의 미적 기분으로서 시간미라고 할 수 있다. 즉 실천자의 회전의 연속과 발차기 기술의 연속으로 표출되는 데서의 미적 체험이다. 따라서 태권도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에 의한 공간미, 존재미, 기술미, 시간미는 태권도 철학의 미적 가치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태권도 경기에서 정의(正義)의 동양철학적 의미

        권혁정,이정기 한국체육철학회 2019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7 No.4

        이 연구는 태권도 경기에서 정의가 갖는 동양철학적 의미를 구현하는 데 목적이 있다. 태권도 경기에서 정의는 선수, 지도자, 심판의 실천적인 행위에 사고와 행동의 동력으로서 의(義)가 작용하는 것이다. 태권도 경기에서 선수가 지닌 의(義)는 태권도협회와 선수 자신 그리고 상대의 기술이 정당하다고 믿을 수 있는 신뢰로서 의미를 지닌다. 지도자는 실력을 갖춘 선수가 경기에 출전할 수 있는 기회를 공평하게 부여하고 인격체로서 공평하게 대우하며 심판의 판정이 공평하다고 인정할 수 있는 공평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심판은 경기 규칙에 준하여 선수가 갖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편파판정 및 승부조작을 하지 않고 공정하게 판정하고자 하는 공정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즉 그들은 굳은 의지로서 의(義)에 입각한 실천적 행위가 신뢰, 공평, 공정으로서 수반될 때 정의롭다. 그러므로 정의로운 사람은 의(義)를 바탕으로 실천적 행위를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용기를 지닌 구성원들이다. 곧 이들이 지닌 용기를 광명정대(光明正大)하다고 한다. 따라서 태권도 경기에서 정의의 동양철학적 의미는 태권도 경기에서 구성원들이 지닌 도덕적 실천의지로서 의로운 기개가 내재된 덕목으로서 ‘광명정대’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out the Eastern philosophical meaning of justice in Taekwondo competition. In taekwondo, justice is the act of righteousness. It is the driving force of thought and action. Justice is what leads all the practical actions of athletes, leaders, and referees. A player's righteousness in a taekwondo competition is predicated on the trust of the Taekwondo Association, the player himself and on the opponent's skills. Leaders and referees provide meaningful opportunities for fair play during competition ensuring ethical competition. The referees’ role is one of providing fair judgment. This assures order and the capacity of athletes to achieve their goals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of the competition. A action is based on righteousness which is accompanied by trust, equity, and fairness. Therefore, righteous members are those with courage to act in accordance with righteousness itself. This courage is called Gwangmyeongjeongdae, the oriental philosophical meaning of justice in Taekwondo.

      • KCI등재

        태권도 회전발차기 관전자의 미적 체험 구조

        권혁정,빙원철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회전발차기에 대한 미적 체험의 구조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태권도 회전발차기 가 철학적으로 그 본질적 의미를 어떻게 내재하고 있는가에 대한 이해이다. 회전발차기의 체육미는 관전자가 회전발차기 를 통해 공감하게 되는 신체미와 운동미에 의해서이다. 회전발차기의 신체미는 속도미, 유인미, 동태미 등을 체험한다. 회전발차기에서 관전자가 체험하는 속도미는 수행자가 지니고 있는 신체 소질을 바탕으로 회전각에 의한 아름다움의 체험이다. 유인미는 수행자의 신체적 소질에서 비롯된 부드러움(유연함)과 가벼움에 대한 체험이다. 동태미는 회전발차 기의 역동성이 신체 소질로 드러나게 되는 동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체험이다. 또한 회전발차기의 공감적 감정이 이입되는 운동미에 의해서이다. 운동미는 행위미, 동작미, 기술미 등을 체험한다. 회전발차기에서 관전자가 체험하는 행위미는 태 권도 발차기와는 다른 분야의 기술과의 조화가 이루어진 아름다움에 의한 체험이다. 동작미는 회전발차기 기술이 신체의 균형과 조화로서 만든 아름다움에 대한 체험이다. 기술미는 발차기 기술의 층차로서 수행자가 지닌 발차기 기술의 아름다 움에 대한 체험이다. 따라서 태권도 회전발차기의 철학적 의미는 가치론적 입장에서 미적 체험에 의한 신체미인 속도미, 유인미, 동태미와 운동미로서 행위미, 동작미, 기술미의 미적 가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ructure of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Taekwondo Revolution kick. This is an understanding of how the Taekwondo Revolution kick philosophically implies its essential meaning. The athletic beauty of the Revolution kick is due to the body beauty and athletic beauty that the spectator makes sympathy through the Revolution kick. Specifically, the body beauty of the slewing kick experiences speed beauty, manned beauty, and dynamic beauty. The speed beauty experienced by the spectator in the Revolution kick is an experience of beauty by the angle of rotation based on the body quality possessed by the practitioner. Yoo In-mi is an experience of softness and lightness derived from the physical qualities of the monk. Dong-Tami is an experience of dynamic beauty in which the dynamics of the kicks are manifested as body qualities. It is also due to the movement beauty that empathizes with the sympathy of the kick. Athletic beauty experiences behavioral beauty, movement beauty, and technology beauty. The beauty of the spectator's experience in the Revolution kick is a beauty experience that is in harmony with the technology of other fields. Motion beauty is an experience of beauty created by the kicking technique as the balance and harmony of the body. Technological beauty is an experience of the beauty of the kicking technique possessed by the performer as a step difference of the kicking technique. Therefore,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Taekwondo Revolution kick has the aesthetic value of action beauty, motion beauty, and technology beauty as speed beauty, induction beauty, dynamic beauty and Athletic beauty by value experience.

      • KCI등재

        태권도 경기에서 자유품새의 철학적 의미 고찰

        권혁정,이정기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free poomsae in Taekwondo competition.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certified poomsae presents the ideological meaning of the poomsae in detail, as suggested in the Taekwondo textbook. However, the free poomsae refers to the mode of play and the rules of the game, and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free poomsae is not being established.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philosophical value of free poomsae was studied in the field of philosophy of ontology, epistemology and value theory. The ontological meaning of free poomsae is the state of master who can freely develop taekwondo skills in a state of harmony of mind and body with proper posture and breathing control in appropriate time and space. The epistemological meaning of liberal poomsae refers to the state of the arts through the method of Taekwondo techniques harmonized with choreography and music and through the step-by-step process of Technique, Art, and Tao. The value theory of free poomsae has a formal beauty which is a movement beauty as an aesthetic experience based on annual output and technology. It also has an aesthetic value of creation, rhythm, harmony, sublime and purity. 이 연구는 태권도 경기에서 자유품새가 지닌 철학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공인품새의 철학적 의미는 태권도 교본에서 제시하고 있듯이 품새에 담긴 사상적 의미를 자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자유품새에 대해서는경기방식과 경기규칙을 언급하고 있을 뿐 자유품새에 대한 철학적 의미는 정립되지 않은 채 경기로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자유품새가 지니고 있는 철학적 가치를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이라고 하는 철학의 연구 영역에서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자유품새의 존재론적 의미는 적당한 시간과 공간 속에서 바른 자세와 호흡 조절로 심신이 조화로운 상태에서 자유로이 태권도 기술을 펼칠 수 있는 달인의 경지를 말한다. 자유품새의 인식론적 의미는 태권도 기술이 안무와 음악으로 조화된 방법과 술, 예, 도의 단계적 절차를 통해 이른 예술의 경지를 말한다. 자유품새의 가치론적 의미는 연출력과기술력에 의한 미적 체험으로서 운동미인 형식미를 지닌다. 또한 창조미, 리듬미, 조화미, 숭고미, 고결미라고 하는 심미적가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