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연구방법론 고찰

        권혁래(Kwon, Hyeok-Rae)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1

        이 논문에서 필자는 지리학과 문학 연구 분야에서 진행되어 온 문학지리학의 연구방법론 및 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문학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연구방법론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학문적 개념으로는 1990년대 초부터 지리학자들이 해외의 연구성과를 도입하며 문학지리학을 소개하고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국문학계에서 2000년대 중반 이후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지리학 연구자들의 문학지리학 연구는 지리학의 논리 위에서 문학을 활용하여 지리학 연구의 외연을 넓혀 왔다. 이은숙과 김진영, 심승희 등은 실증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근, 구조주의적 접근을 통해 문학작품에 표현된 장소 경험을 연구하였다. 현재 문학작품 소스 발굴 및 작품 이해가 제한된 상태에서 문학지리학 연구 전망은 밝지 않다. 이 점에서 이은숙이 공동연구 방식을 통해 문학작품에서 도시공간, 이민공간, 여가공간을 주목하고, 장소 마케팅, 여가, 문화적 정체성, 문학공간의 DB화 등의 주제를 연구해온 것은 연구의 다양성 및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국문학계에서 조동일은 지방문학사, 또는 지역문학 연구의 개념으로 문학지리학 연구를 시도하였다. 김태준은 ‘문학지리’, ‘심상공간’이라는 용어를 쓰면서 방향성을 제시하였는데, 그의 연구는 ‘문학기행 에세이’, ‘지역문화 연구’ 성격을 지닌다. 동국대 현대문학 연구자들은 『근대 한국의 문학지리학』을 공동집필하면서 ‘표상’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며 지리학자들과는 별개의 인식과 방법을 가지고 문학 공간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이승수는 연행노정 및 중국 배경 소설을 연구하면서 인문지리학적 관점과 서사지리 개념을 사용하면서 훈고학적 고증과 현지답사를 통한 문학의 공간을 연구하였다. 권혁래는 전란을 소재로 한 조선후기 중국 배경 역사소설을 연구하면서 문학공간을 실증적으로 고증하고, 문학작품에 그려진 공간(장소)와 서사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문학에 그려진 노정․공간이 왜곡된 것이나 장소 형상화에 깃든 작가의식을 스토리텔링의 방식으로 해명․고찰하였다. 탁원정, 이강엽, 조재현, 신태수, 김수연 등은 고소설 작품에서 공간의 특성, 공간과 갈등의 관계를 주목하면서 고소설 작품의 공간을 해석하는 적실한 방식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다양한 고소설 작품의 공간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모델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한다. 문학에서는 문학지리학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지방문학사’, ‘지역문화 연구’ 개념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심상지리’, ‘표상’, ‘서사지리’, ‘문학지도’, ‘스토리텔링’ 등의 개념을 발전시키고, 지리학계에서 진행해온 ‘장소와 장소성, 경관, 인문지리’ 논의를 수용하여 공간, 장소에 대해 심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아울러 지리학과 문학 연구자들은 각자의 영역에서 심화시켜 온 연구성과를 공유하며, 상이한 개념과 용어 문제, 문학공간의 활용 방법에 대해 토의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perform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overall research findings on literary geography, and to further discuss the issues and challenges found during the course of the review. The academic terminology associated with literary geography first came to the fore in the early 1990’s when geographers introduced overseas research findings. Literary geography has been studied in earnest in the Korean literature community since the mid-2000‘s. The studies on literary geography have primarily been conducted on the utilization of the underlying logic of geography within literature. To be more specific, Eunsook Lee, Jinyeong Kim, and Seunghui Sim took empirical, humanistic, and structural approaches, respectively, to study the experiences of a place expressed in literary work. Under the currently restricted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 excavation of literary sources, as well as the processes required to understand literary works, the outlook of the research on literary geography is not promising. However, using a collaborative research approach, Lee’s study described how places can be urban spaces, immigration spaces, or leisure spaces. Lee’s research on the database of literary space, cultural identity, leisure, and place marketing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the possibility and diversity of literary geography research at this point in time. Dongil Cho tried to study literary geography by exploring the history of local or regional literature. Taejun Kim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regional culture and the wiring of literature tour by using the terminology “the imagery space” and “the literary geography”. Modern literature researchers from Dongguk University used the concept of representation to interpret the meaning of literary spaces when they co-wrote “Korea’s Modern Literary Geography” in order to express differences between their perceptions and research methods compared to those of geographers. Seungsu Lee proposed a research method for literary spaces by using exegetically historical research and field surveys, adopting the concept of an epical space from anthropology. Hyeokrae Kwon empirically studied the historical evidence of spaces found in a novel, while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s and their accounts, and the storytelling style of the spaces. In literary studies, a more systematic and logical approach is needed for literary geography. It is not sufficient to use terminology such as “the history of local literature” and “the study of regional literature”. More in-depth approaches to spaces and places should be introduced by further developing the concepts of imagery space, representation, epic geography, literature map, and storytelling, while considering discussions of place and sense of place, landscape, and human geography.

      • KCI등재

        국방모델 개발을 위한 공통 모의논리 제안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권혁래,구본임,이태억,임종원,Kwon, Hyog-Lae,Ku, Bonim,Lee, Tae-Eog,Lim, Jong Won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2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5 No.6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economics of national defence, the needs for defence M&S systems are greatly increased, but the lack of interoperability and reusability lowers the level of reliability in the existing simulations models. Recently, many research activities have been performed and some conceptual models, such as CMMS, DCMF, and KAMA, were introduced. However, these models don't support the whole process of defence M&S system development nor provide integrated domain knowledge and up-to-date data.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analysts' guidances and doctrines, which are the basic ingredients for the simulation system development, and proposed a systematic structure for all the defence M&S stakeholders to share the standardized domain knowledge, modeling algorithm and data. This will be a logical bridge between Mission Space and Simulation Space, and provide substantial data sets to build simulation systems.

      • KCI등재

        임동권(任東權) 저 『한국의 민담』(1972)의 민담 채록방식 연구

        권혁래(Kwon, Hyeok-rae) 우리문학회 2024 우리文學硏究 Vol.- No.82

        1972년 출판된 월산(月山) 임동권(任東權)의 『한국의 민담』은 1970년대를 대표하는 민담집이다. 이 작품집은 임동권이 1950~60년대에 조사한 구비설화 자료를 뒤늦게 정리해 출판한 것으로, 152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한국의 민담』의 수록 민담은 충청남도와 경기도를 비롯해 한반도 중ㆍ서부 지역에서 향유되던 민담의 목록 및 성향을 잘 보여준다. 채집력에 나타난 민담 제보자는 68명이며. 이들이 102편의 작품을 제보하였다. 나머지 50편은 충남 청양군에 사는 월산의 가족들이 들려준 이야기이다. 수록 작품 중에는 전체적으로 어리석은 사람 이야기 등 소담과 신이담 유형이 가장 많다는 점이 특징이다. 해방 이전 채록․간행된 민담집에는 어리석은 사람 이야기를 비롯한 해학적 이야기 및 신이담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는데, 1950~60년대에 채록된 민담에도 이러한 특징이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 이 연구의 성과이다. Lim Dong-kwons Korean Folktales (1972) is a collection of Korean folktales from the 1970s. The 152 works featured in this book hold significant research value as they shed light on the preferences and themes prevalent in Korean folktales during the 1950s and 1960s. This collection draws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tales he heard as a child, those he actively researched, and folktales contributed by students in folklore classes. The majority of the folktales included in Korean Folktales were orally transmitted in the regions of Chungcheongnam-do and Gyeonggi-do, primarily sourced from 68 individuals residing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collection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contains the most humorous stories, including stories about fools. Korean Folktales holds h istorical value in that i t allows u s to e x amine the types and lists of works, as well as the sentiments enjoyed in Korean folktales in the 1950s and the 1960s.

      • KCI등재

        한국고전문학전집의 간행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권혁래 ( Hyeok Rae Kwon ) 한국고전문학회 2011 古典文學硏究 Vol.40 No.-

        이 논문은 한국고전문학전집의 간행 양상과 성격, 각 전집의 편찬의식과 구성, 수록 작품의 특색, 새로운 정전 구성을 위한 제안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1961년 민중서관에서 간행된 『한국고전문학대계』를 시작으로, 2000년대까지 발간된 20여 종의 한국고전문학전집은 서민대중들이 친근함을 가지고 읽는 ``재미있는 교양도서``와 민족 고전에 특별한 관심이 있는 (엘리트) 독자들이 읽는 ``학술기초 자료집``의 성격이 동시에 존재하는 편폭이 넓은 책이다. 이에 따라 대상 독자층도 불특정 ``서민대중``에서 전공 대학생층, 그리고 전문 연구자층에 이르기까지 넓게 존재하지만, 무게 중심은 후자쪽에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수록 작품은 소설 장르가 중심이 되었고, 시가, 구비문학, 한문학 장르가 부차적이다. 대표적인 9종의 한국고전문학전집을 대상으로, 편찬의식과 구성을 분석해본 결과, 초기(1965)에는 대중적인 소설 작품 위주로 소개함으로써 고전문학의 존재를 서민대중들에게 알리고 친근함을 심어주는 방향에서 기획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성음사본(1970), 서영출판사본(1978) 등으로 갈수록 문학사적인 관심에서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을 많이 채택하였고, 원문도 수록하고 주석 작업을 보강하는 등 학술기초 자료집의 성격이 강화되었다. 민족문화연구원본(1993)에서는 원전과 현대역을 동시에 수록하여 서로 다른 독자들의 요구를 수용하고자 하였다. 특이 현상은 같은 내용의 重版 작업이 빈번하게 일어났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은 고전문학전집의 출판이하지만 결과적으로 출판 행위의 권위를 지키지 못한 책임은 편찬자 및 출판 관계자들에 있음을 부인하기 어려울 것이다. 또한 새로운 한국고전문학전집 전집 발간 및 정전 구성 작업을 위해서 유의할 점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먼저 현재까지 간행된 작품들이 ``민족 고전``으로서 적절한 자격을 갖추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후 작업에서 대중들의 교양 충동을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획·선집 작업이 필요하며, 또한 독자층의 분화에 따른 다양한 연령대별 출판물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a new approach to the compilation of Korean classic works of literature based on an analysis of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in the publication, composition and consciousness of such compilations, an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works included. Firstly, starting with The Collection of Korean Classic Works of Literature, which was published by Minjung-seokwan in 1961, 21 kinds of Collections of Korean Classic Works of Literature have been published, with a wide rang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collections, ranging from ``interesting cultural books`` for the public to ``academic fundamental materials`` for elite readers with a high interest in Korean classic works of literature. For this reason, the readers have widely ranged from everyday people to collegians and specialized researchers, but the focus has moved to readers with special knowledge. The works of literature included mainly consist of poems, folk tales and stories written in Chinese. Secondly, in terms of composition and consciousness in compilation, 6 collections were analyzed. Early collections were planned to give the public general information on and familiarity with Korean classic works of literature by introducing popular novels. However, as time went on, more and more works of literature from different literary genres were included in the collection published by Seongeum (1970), and the collection was published by Seoyeong Publishing, leading to the intensif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fundamental academic materials with the original texts included and comments on the original texts reinforced. The collection published by the Korean Studies Institute(1993) included both original texts and versions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modern readers. As the distinctive feature, diverse editions on the same text can be found. In a nutshell, before publishing a new collection of Korean classic works of literature, a publishing company should check whether the collections published so far have qualified as a ``Korea`s representative classics.`` Based on this process, it should pay more careful attention to the selection of works of literature to be included. Moreo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age of the readers of such works has become younger than adolescents, different types of collections should be published for different age groups.

      • KCI등재

        옛이야기 형제담의 양상과 의미 -1910~1945년 설화,전래동화집을 대상으로-

        권혁래 ( Hyeok Rae Kwon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10 동화와 번역 Vol.19 No.-

        이 글은 구비설화가 활자로 정착되기 시작한 1910년대부터 1940년대 전반에 이르는 시기의 설화집 및 전래동화집을 대상으로 옛이야기 형제담의 양상을 파악하고, 작품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총 61편의 형제담은 형제 불화담 34편, 형제 협력담 15편, 바보 형제담 12편으로 분류된다. 형제 불화담에는 대체로 ‘동생 따라하다 망한 형’의 구조가 나타난다. 형제 협력담에는 민담형 작품과 전래동화형 작품이 있다. 민담형 작품은 선악 관념이 약하며, 형제들의 재주와 협력을 강조하는 신이담의 성격을 드러낸다. 이에 비해 전래동화형 작품들은 좀더 윤리적 성격이 강화된다. 바보 형제담은 지적 장애자인 형으로 인해 겪는 형제의 정신적 고통을 서사화하였다. 옛이야기 형제담에서 ‘재산’은 형제간 불화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으로 그려지며, 우애의 권장과 탐욕에 대한 경계가 이야기 산출의 동인이 되었다. 또한 옛이야기에서도 민담형 작품과 전래동화형 작품은 흥미성이나 윤리의식 면에서 서로 성격을 달리하는 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brother” tales found in Anthologies of Korean Folk Tales that dated from 1910 to 1940, when most tales handed down by mouth started to be collected as books, and to consider the meaning of such tales. A total of 61 “brother” stories were investigated, and these were categorized into 34 tales with a theme of discord, 15 tales of collaboration, and 12 tales of foolish brothers. In the tales of discord, their plots generally give the story of an elder brother who follows the example set by his younger brother, only to lose his fortune. The tales of collaboration fall into two general types: folk tales and classic fairy tales. While the folk tales of this type do present moral lessons, these tend not to be overbearing, and most reveal special abilities and collaboration between brothers, similarly to Miracle Tales. On the other hand, the classic fairy tales of this type are more clearly intended to be taken as moral lessons. The tales of foolish brothers are works that depict in a narrative manner the emotional affliction of brothers caused by an elder brother with a character flaw. In these old tales, ‘property’ is the most common cause of discord between brothers, and the most common theme of the “brother” tales are “brotherly affection” and “restraining greed.”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동화집』(1924)의 인물형상과 이데올로기

        권혁래 ( Hyeok Rae Kwo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2 퇴계학논총 Vol.20 No.-

        이 논문은 1924년 조선총독부에서 출간된 『조선동화집』의 출간 상황과 인물 형상을 분석하면서, 거기서 어떠한 서사적 의미와 이데올로기적 특성이 추출되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조선동화집』은 1916년부터 1921년까지 ``조선총독부 임시교과용 도서 편집 사무 촉탁``으로 근무한 다나카 우메키치(田中梅吉:1883~1975)가 주관하여 조선총독부 학무국 편집과에서 편찬해낸 책이다. 다나카는 ``조선 민족의 정신과 풍속을 연구하고, 이를 학교 교육의 교재로 삼아 조선의 아동들을 교육``하기 위해 조선의 동화를 모집하고 가공하였다. 그에게 동화란 ``순수한 조선 아동이, 양심 없고 창조적 정신이 고갈된 성인으로 크지 않도록 동심을 보존하고 교화시키기 위한 수단``이었다. 『조선동화집』은 처음부터 학교에서 조선 아동의 문화 ·문학 교육을 전제로한 자료집의 성격을 띠었으며, 일부 작품들은 『보통학교 국어독본』, 『보통학교 아동문고』 등에 수록되어 수십만 명의 조선 보통학교 학생들에게 읽히었다. 『조선동화집』25편의 작품들은 전형적인 민담과는 거리가 있는, 작가가 적지 않게 개입하여 고쳐쓴 흔적이 발견된다. 『조선동화집』의 작가는 교훈성 표출을 동화 쓰기의 원동력으로 삼은 듯, 교훈성을 두드러지게 강조한다. 작품에서 드러나는 주요한 덕목들은 효, 우애, 유순, 친절, 인내, 지혜, 자비, 선행, 욕심 및 악행 경계, 성실, 착함, 보은 등이다. 이와 대비적으로 악한 성격으로 그려지는 것은 욕심, 교활함, 악함, 게으름, 이기적인 마음, 사나움 등이다. 이러한 덕목들은 대개 전통 사회의 유교적 가치와 부합하지만, 이것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동화 작품의 생동감을 해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근대 학교교육을 받을 아동들의 발랄함과 적극성을 해치는 요인이 된다. 그리고 ``유순``, ``친절``과 같은 덕목은 이질적이며, 일본적인 가치이다. 이러한 윤리적 가치는 보편성을 띠기도 하지만, 한편으론 조선의 아동들에게 피지배자로서의 ``순종적이고 수동적인 인간상``이라는 식민지 부르주아지적 특질을 조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의 큰 틀은 분명 제국주의적인 세계관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었다. 이 동화집은 식민지 학교교육과 밀접한 연관을 지니고 있었다. 이것이 보통학교 학교 교재로 쓰일 때에는 ``내선융화(內鮮融和), ``일선동조(日鮮同祖)``라는 교육 목표를 이루는 데 활용되었으며, 식민지의 학령기 아이들에게 ``국민윤리``로 작용함으로써 식민지 부르주아지로서의 품행에 신경쓰게 만들고 현 상태를 유지하는 데 적극적으로 기여하였을 것이다. Between 1916 and 1921, Danaka Umekichi(田中梅吉 1883-1975) collected relevant materials by way of government offices and schools across Joseon while serving as a commissioned worker for the Japanese Governor General of Korea. The editing department of the Educational Bureau under the Japanese Governor General of Korea published Anthology of Korean Fairy Tales based on Danaka`s report in 1924. 25 works in Anthology of Korean Fairy Tales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ypical folk tales and are largely changed and reorganized by the author. The heroes in the works have the following common characteristics. First, the heroes are in a condition of abject poverty. Second, the heroes are kind, family-oriented and infinitely faithful and serve as exemplary models for the people. Third, matters surrounding the heroes are resolved at once with the help of a spiritual being, which is moved by the hero`s benign personality. The author of Anthology of Korean Fairy Tales strongly stresses instructive lessons in the process of resolving problems and conflicts between the characters, as if doing so was a driving force for his writings. Good virtues identified in those tales include "good heart, good deed, compassion, alertness to greed and wickedness, faithfulness, family love, filial piety, brotherhood, gentleness, kindness and gratitude." Good virtues are universal love for the mankind and consistent with the Confucian values in a traditional society. But, unlike the other traditional virtues, virtues such as ``mildness`` and ``kindness`` are close to the Japanese values in a modernized country. The enlightening attitude may draw much criticism because it hurts vivid descriptions in fairy tales and damages the ``liveliness,`` ``independence`` and ``active view of life`` for children to pursue under a modern capitalistic regim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civilization of children was performed through producing literary texts and conducting school education, as they desired. In the 1910s and the 1920s, the editing department of the Educational Bureau under the Governor General of Korea collected folklore materials such as tales and riddles and converted them into fairy tales in textbooks, solely for the purpose of disparaging the national cultures of Joseon and disseminating colonial ideologies. Anthology of Korean Fairy Tales was closely connected to school education in the colony. Joseon fairy tales were possibly used as literary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s in Joseon so as to achieve such educational goals as producing meek and mild children, subjects in a colony of refined and imperialistic Japan.

      • KCI등재

        손진태 『조선민담집』 연구

        권혁래(Kwon, Hyeok-Rae)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3 No.-

        손진태의 『조선민담집』은 1920년대 설화를 집성한 설화집으로 연구사적 가치가 큰데, 지금까지 본격적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필자는 먼저 설화 채록방식 및 수록작품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둘째, 설화 분류체계와 실제 분류작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 위에서 새로운 분류체계를 가지고 수록 작품들을 재분류하였다. 손진태가 1930년 간행한 『조선민담집』에는 1920년부터 1930년까지 채록된 조선의 민간설화 154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 설화집은 설화 채록의 초창기인 1920년대에 조선의 설화를 가장 폭넓게, 그리고 원형 그대로 채록ㆍ집성한 설화집이라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미가 크다. 손진태는 수록 작품 154편을 ‘신화ㆍ전설류’(51편), ‘민속ㆍ신앙 관련 설화’(33편), ‘우화ㆍ돈지설화ㆍ소화’(47편), ‘기타 민담’(23편)으로 분류하였다. 그런데 손진태의 분류는 신화, 전설, 설화, 우화, 돈지설화, 소화, 민담 등의 용어가 혼재되어 있어 개념의 혼란을 일으키며, 유형 간 변별성도 분명치 않다. 이에 필자는 조희웅의 설화 분류법에 의거하여 재분류하였는데, 그 결과 신이담 78편, 소담 44편, 일반담 19편, 동식물담 9편, 형식담 4편 순으로 분류되었다. 신이담에서는 창세신화, 거인설화, 대홍수설화 등 신화의 세계가 주목된다. 신화에는 창세신화를 비롯하여 인류의 탄생, 조선 산천의 유래 등을 이야기한 것이 많다. 소담은 조선인들의 발랄한 기상과 재치를 드러내는 작품이 많고, 그 외에 민중들의 해학과 풍자의 정신을 보여주는 과장담, 우행담 등이 있다. 일반담에는 전설이나 지역에 관한 기원담과 효 일화를 담은 교훈담 등이 있는데, 이에는 손진태의 민속학적 관심이 투영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손진태는 민중들의 발랄하고 대담한 상상력, 풍자와 해학의 정신, 민속의 양태 등이 나타난 설화들을 채록ㆍ집성함으로써 조선 민간설화의 민족적ㆍ문화적 성격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Joseon Folktales, an anthology compiled by Son Jin-tae, has significance in Korea’s literary history as it is the broadest and most accurate collection of folk tales from the Joseon era. Son Jin-tae divided the 154 folk tales in the book into four categories: ‘Myth and Legend’ (51), ‘Folk and Faith’ (33), ‘Fables and Short Tales’ (47), and ‘Miscellaneous Tales’ (23). But when Son Jin-tae’s categorization of the folk tales is examined more closely, it can be seen that terms such as myth, legend, tale, fable, short story and folktale were used almost interchangeably, which may cause confusion for readers, and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he categories is not sufficiently clear. For this reason, I re-categorized the folktales based on the folktale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ed by Jo Hi-wung. As a result, the folktales were classified as Mystery Tales (78), Short Tales (44), General Tales (19), Animal and Plant Tales (9), and Formula Tales (4). The world of myth is featured in the Mystery Tales, and includes genesis myths, giant myths, and deluge myths. In the Mystery Tales, most of the myth stories are about the genesis of humankind, and the origin of the mountains and streams in Joseon. In the Short Tales, most of the stories depict the vibrant and witty spirit of the Koreans, while the others are exaggeration tales and foolish act tales. The General Tales include legends, stories of the origin of a region, and anecdotes of filial duty. Likewise, Son Jin-tae aimed to present the ethn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Joseon folktales by collecting and recording the tales that showed the audacious imagination of the public, the spirit of humor and satire, and the aspect of folk.

      • KCI등재

        다카기 도시오(高木敏雄) 편찬 『조선교육옛이야기[新日本敎育昔噺]』(1917)의 서지와 해학의 미학

        권혁래(Kwon, Hyeok-rae),조은애(Cho, Eun-ae)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7 No.-

        일본 신화학자 다카기 도시오(高木敏雄:1876-1922)는 1910년대 초부터 조선의 옛이야기들을 조사하였고, 52편의 작품을 선집하여 1917년 『조선교육옛이야기[新日本敎育昔噺]』를 간행하였다. 다카기는 1910년대 내내 ‘동화’ 연구와 함께 일본의 고전서사를 근대 동화로 재편 · 간행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같은 문제의식과 방법을 조선 문학에 적용해 문헌설화 및 구비설화작품을 선별하고 조선옛이야기선집을 간행하였다. 다카기는 ‘재미’와 ‘유익’이라는 기준으로 조선의 옛이야기 수록작품들을 선별하였다. 다카기는 『조선교육옛이야기』에 소담(笑談) 유형을 많이 수록하였고, 골탕 먹이는 이야기, 어리석은 자의 실패 이야기 등에서 고지식함을 비웃고 지혜 및 꾀를 강조하는 한편, ‘해학의 미학’을 보여주었다. 조선 옛이야기의 특성을 ‘해학’에서 찾으려 했던 다카기의 시도는 근대 한국 설화 · 동화연구사에서 매우 흥미 있고 중요한 결과물로 평가될 것이다. Japanese mythologist Toshio Takagi(1876-1922) investigated the old stories of Joseon from the early 1910s and picked up the 52 works and published An anthology of Korean educational old stories in 1917. He recorded many types of sodam (laughs), and he showed `aesthetics of humor` in the way of ridicule, comedy, satire, etc. Takagi tries to emphasize the educational and instructional character of the old story of Joseon while adding the qualification of `education`, but the works are not educational or doctrinal. Takagi published the old story of Joseon (Mukashibanashi) in terms of `laughter` and `fun` rather than `educational` factors. Takagi Toshio`s attempt to find the nature or essence of the old story of Joseon in `Haehak (humor)` will be evaluated as a very interesting and important result in modern Korean folk tales and fairy tales.

      • KCI등재

        근대 한국 전래동화집의 문예적 성격 고찰

        권혁래(Kwon, Hyeok-Rae) 한국문학회 2017 韓國文學論叢 Vol.76 No.-

        ‘동화’, ‘고래동화’, ‘옛이야기’ 등으로도 호칭되는 ‘전래동화(傳來童話)’는 고전서사 중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선정․재화된 근대 서사문학텍스트를 일컫는 용어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근대 시기 출판된 한국전래동화집의 출판과 문예적 성격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론에서는 첫째, 근대 전래동화집의 출판과정, 둘째, 근대 전래동화집의 문예적 성격, 셋째, 인물과 주제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첫째, 근대 전래동화집의 출판과정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카기 도시오(高木敏雄)가 1917년에 출판한 新日本敎育昔噺, 다나카 우메키치(田中梅吉)가 1924년 출판한 [조선동화집], 나카무라 료헤이(中村亮平)가 1926년 출판한 [조선동화집]은 일본어로 출판된 동화집이다. 한국 전래동화집의 시작은 이들 일본인 연구자들이 주도하였다. 이를 이어 사범학교 교사이자 한글 연구자인 심의린(沈宜麟)이 한글교육의 일환으로 1926년 [조선동화대집]을 출간하였고, 동화작가 박영만(朴永晩)은 1940년 조선전래동화집을 출간하였다. 둘째, 근대 시기에 출판된 다섯 편의 전래동화집을 대상으로 문예적 성격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카기 도시오는 한국과 일본의 동화가 유사하면서도 차이나는 지점이 있음을 흥미롭게 여겨 작품을 선정하였고, 재미있는 소담을 많이 수록하여 삶의 지혜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다나카 우메키치는 교훈적인 내용의 동화를 주로 선집, 재화하였다. 조선동화집은 우리 전래동화 형성과 전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것으로 파악된다. 나카무라 료헤이는 일본어로 된 선행 작품집들을 편집하여 일종의 전래동화 교합본을 출판하였는데, 작품 구성과 문예적 성격은 안이한 수준으로 평가하였다. 심의린은 조선동화대집에 어린이를 주인공으로 하여 지혜와 꾀를 강조한 작품들을 많이 선집하였다. 박영만은 자신이 현지 채록한 설화를 제재로 하여 다양한 캐릭터와 주제, 지역성을 표현하였고, 문장 표현과구성 면에서 세련된 동화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셋째, 근대 전래동화집에서 공통되며 주목되는 인물상은 바보, 의좋은형제, 욕심 많은 형과 착한 동생, 탐욕스런 중 형상 등이다. 꾀 많은 아이, 외쪽이, 효자, 혹부리 영감, 나무꾼, 흥부와 놀부, 트릭스터 형상도 자주 등장하였다. 대표적 동물상은 호랑이, 토끼이며, 이외에도 거북이, 여우, 두꺼비, 사슴, 까투리, 원숭이, 개 등이 있다. 대표적 ‘신격’은 ‘도깨비’이며, 그 다음으로 용왕, 선녀, 신선이 빈번하게 등장하였다. 주제를 고찰한 결과, 일본인 편자들은 형제 우애, 효성, 정직, 근면을 좀 더 많이 주제로 내세웠고, 한국인 편자들은 같은 주제를 그리면서도 지혜와 꾀, 분별력, 재치, 용기를 좀 더 많이 내세웠다. Fairy tales is a modern narrative literature selected and rewritten for children in classical narratives.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ublishing and literary character of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published in modern times. I wrote, first, the process of publishing modern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second, the literary character of modern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and themes. Takagi Toshio(高木敏雄), Tanaka Umekichi(田中梅吉) and Nakamura Ryohei(中村亮平) published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written by Japanese in 1917, 1924, and 1926. The beginning of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was led by these Japanese researchers. In 1926 and 1940, Shimg Yi Lin and Park Yong Man published the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written by Korean. The characteristic figures in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is the idiot, the good brother, the greedy brother, the good brother etc. A lot of children, outsiders, scorpions, hornbills, woodcutters, heungbu, nolbu, and trickster appeared frequently. The characteristic animals are tigers, rabbits, and turtles, foxes, toads, deer, fours, monkeys, and dogs. The representative ‘Goddess’ is ‘Dokkaebi(a goblin)’, followed by The Sea God, a nymph, a benevolent wizard living in the mountain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mes, the Japanese editors have put more emphasis on brotherly love, filial piety, honesty, and diligence, and Korean editors have made more wisdom, trickery, discernment, wit and courage while drawing the same subject.

      • KCI등재

        일제하 『흥부전』의 전래동화화 작업에 대한 고찰

        권혁래 ( Hyeok Rae Kwon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7 동화와 번역 Vol.13 No.-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adaptation process of Heungbu-jeon conducted within the category of ``modern inheritance of classic novels.`` Two issues are addressed in the paper. Mainly, the review traces the process of how Heungbu-jeon was changed into a fairy tale. In addition, the author compares aspects of transformation in its subject and meaning are compared with the original. Nolbu and Heungbu(1) included in the Chosun Fairy Tales(1924) was shortened and modified from the original printed version, Heungbu-jeon composed of 25 chapters. Moreover, it has succeeded to the Heungbu-jeon written in Japanese since 1910, and consolidated its base as the main axis of passing fairy tales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t is characterized that in the rewritten version the original was condensed and described in the center of the incident of splitting a gourd into two. When characters were configured, the greedy, cruel and negative personality of Nolbu and the ``congenial and kind`` personality of Heungbu were newly brought in relief. Nolbu and Heungbu(2) included in the Joseon Jeollae Donghwajip(1924)is an idiomatic work, showing characteristics of a folk tale. The writer, Park Yeong-man only highlighted the swallow and a gourd while he omitted all the other incidents. Nolbu and Heungbu`s destinies were determined by their attitude to the swallow. Here, virtue and vice between Nolbu and Heungbu were distinguished; with the incident one became happy but the other unhappy. Nolbu and Heungbu(2) never gave Nolbu an opportunity to become a new man and only focused on punishing him. In addition, the story concluded with Nolbu`s death, which is an interesting structure. This is the uniqueness of Nolbu and Heungbu(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