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리학의 서(恕) 개념과 그 현대적 변용: 仁, 公, 신뢰, 자율성을 중심으로 사이버 윤리의 모색

        권향숙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4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5 No.2

        성리학에서 서(恕)는 인(仁), 공(公), 신뢰[信] 개념과 연계되어 자기 부모부터 만물까지 포괄하는 배려윤리를 형성한다. 주희에 따르면, 배려는 타자의 삶이 번영하도록[仁] 북돋우는 태도[恕]인데 상대를 자기와 동등한 존엄성을 가진존재로 인정하여 신뢰[信]를 얻기까지 최선을 다하는 자세를 의미한다. 이일(理 一)은 동일화가 아니라 특수한 타자들을 포괄한다는 의미이며, 추기(推己)는타인의 신뢰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배려의 수용이나 평가의 결정권은 타자에게 있다. 사사로운 자기 잇속 챙기기가 배제되고 공명정대함[公]을 갖추어야소통이 가능하기에 수양공부는 필수적이다. 사이버 윤리에서도 ‘인간의 번영’ (삶, 행복, 자율성)을 핵심 선으로 간주하지만, 규제 정책이 주를 이룬다. 성리학의 배려윤리와 수양공부를 사이버 윤리교육에 정례화한다면 인터멧 공간은 악성 댓글로 등으로 인한 불행을 예방할 수 있고, 소통을 통해 번영을 이루는 장이될것이다. In Neo-Confucianism, Seo(恕) is linked to the concepts of benevolence(仁), righteousness(公), and trust(信), forming a comprehensive ethics of conderation that encompasses everything from parents to all things. In somebody’s attitude of encouraging others with all his(her) sincerity, Zhu Xi recognizes others as beings with equal dignity, not as beings governed by the ethics of identification. Gaining the trust of others requires continuous patience and effort. The emphasis on trust means that the subject of evaluation is others, and this is the basis for recognizing the decision-making authority of others. The consideration is recognized as justified when one excludes personal interests through self-discipline and becomes fair to oneself. It is believed that the right to decide on acceptance or evaluation of consideration lies with the other. Cyber ​​ethics also considers ‘human prosperity’, such as humanity[仁], as a core good, but it is difficult to prevent evil because it focuses on regulatory policies. Accordingly, Neo-Confucianism's ethics of care an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study can provide guidelines for autonomy for common happiness.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조선족의 도일과 정주화: 가족 분산과 재결합의 관점에서

        권향숙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6 일본비평 Vol.- No.1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ighlight the re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jok residing across various East Asian countries by looking at their immigration and settlement process from a particular viewpoint of the scattering and reunion of families. The advent of Joseon-jok in Japan has started in the early 1980s when foreign students came to study in Japan with the Chinese government’s sponsorship. The number of Joseon-jok immigrant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1990s and since then, the history of Joseon-jok’s immigration to Japan has reached more than a quarter of the century. The financial support of parent generations who decided to go to South Korea for work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immigration process of the foreign students who are the core members of the Joseon-jok society in Japan. Therefore, when analyzing and studying Joseon-jok’s immigration to Japan and their society in Japan toda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not only the Joseon-jok students who came to Japan but also the role of their parent generations. In other words, Joseon-jok’s migration to both Japan and South Korea has to be comprehensively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organic connection between two generations of families. For them, the scattering and reunion of families is their survival strategy and life practice itself. Therefore, its implication can be grasped from a transnational and regional perspective.

      • KCI등재

        조선족의 일본 이주에 관한 시론 : 외국인 수용을 둘러싼 국가와 기업

        권향숙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3 일본비평 Vol.- No.8

        이 글은 조선족의 일본행을 일본의 유학생 및 외국인 노동자 수입정책과 결부시켜 살펴봄으로써 그 과정에 담긴 다양한 함의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첫째, 일본에 있는 조선족의 현황을 간략하게 소개하였으며, 조선족을 ‘보이지 않는 소수자’라는 개념으로 규정하였다. 둘째, 1980년대 전반부터 진행된 일본으로의 이주를 일본의 유학생 및 외국인 노동자 수입정책과 관련 시켜 고찰하며 셋째, 그 배경에 담긴 함의를 좇는다. 결론적으로 조선족의 도일과정은 일본의 유학 생 및 외국인 노동자 수입과 관련된 법제도와 정책, 다시 말해 ‘유학생10 만 명 계획’의 실시, ‘개정 입국관리법’의 시행, 신원보증인제도의 폐지 등 일련의 정책과 그에 따른 취학생 및 비합법적 외 국인 노동자들의 유입과 전문직, 기술 분야의 외국인 노동자 수입의 맥락에서 파악되어야 하며, 여 기에는 지금까지의 이민 연구 이론들이 그다지 중시하지 않았던 국가와 기업의 역할이 있었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This paper locates the problem of the Joseon-jok (the so-called Korean-Chinese)’s immigration to Japan in the context of Japan’s accepta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foreign workers, and considers the implications thereof. Firstly, it roughly describes the current state of the Joseon-jok living in Japan, defining them as the ‘Invisible Minorities.’ Secondly, it considers the Joseon-jok’s immigration to Japan, which started in the early 1980s in association with Japan’s accepta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foreign workers. Lastly, it looks into the policies that worked in the background.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Joseonjok’s immigration to Japan is deeply tied to the Japanese legal system and its policies involving Japan’s accepta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foreign workers. This means that the Joseonjok ’s immigration to Japan must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new set of policies of the time, including the execution of ‘the 100,000 international student’ plan, the enforcement of the ‘Revision Immigration Control Law,’ the abolition of the personal reference system, and other policies related to the inflow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illegal foreign workers, including the acceptance of foreign workers in either professional or technical fields. For now,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roles of the nation-state and corporate enterprises, which have not yet been thought of as a factor in the theories of immigrant studies, were important in the Joseon-jok’s immigration to Japan.

      • KCI등재

        미투 운동을 통해 본 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소고: 몸-정신 주체, 지각, 타자성, 서(恕)를 중심으로

        권향숙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9 No.4

        The fundamental assumption of this paper is that Me Too Movement, a movement against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assault, has raised some essential ethical issues, and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s through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and myself. The most noteworthy factor inherent in the Movement is the age-old, feudal social structure whose traditional ethics have forced juniors to obey the seniors in the society, which has resulted in the violation of the humans rights. The objectification of others using the social status and power can be a starting point of the most fundamental injustice. In addition, what the Movement suggests is that ethical problems can always happen between others and myself. We should approve Other as independent beings as a body-subjects and accept otherness distinct from myself, which modern philosophers like Merieau Ponty and Levinas thought as important values. Seo(恕), one of the traditional eastern ethics, is very exemplary because men with the ethic can be considerate of Other through sympathizing with Other and try to pursuit the harmonious relationship through the virtue of self-sacrifice. Mak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implies the social nature in terms of these existential, ethical aspects. Finally, it is desirable that the focus of today’s liberal and moral education should be in understanding the human relationships in the various aspects such as otherness, ambiguity of perception, hospitality and considerateness. 2018년 한국에서의 미투(Me Too) 운동의 원인을 윤리적 측면에서 분석하는과정에서 다양한 철학적 문제들을 발견하게 되었다.1) 우리 사회의 미투운동을 유발하게 된 원인에서 특징적인 것은 서열문화에 기반한 시선의 비대칭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사회적 지위를 매개로 한 가해 행위는 우선, 사회의 변화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가 수반되지 않은 채 ‘어른 대우’ 및 공경을 강요하는 데서 파생된 면이 있다. 윤리적 측면에서 보면, 인간을 대하는 태도와 인식에 있어서 타자성에 대한 이해의 부족도 그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몸-정신 주체로서의 타자를 인정하지 않은 채 자신의 욕동을 타인에게 강요하는 일종의 도발과 침투가 상대방에게 고통을 야기한 것이다. 또한다양한 주체들의 지각이 상대를 이해하고 인식하는 데서 오는 애매성이 개입되면서 의사소통에 장애가 초래된 것이다. 대안은 타자성의 수용과 환대, 그리고 서(恕)의 자세를 견지하는 것이다. 또한 타인과의 대면에서 언표되지 않은 말을 읽어내는 도덕적 공감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다. 다양한 지각의 모호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에티켓의 숙지와 연습이 필요하다. 자유로운 개인이 미래의 사회와 개인적 삶의 발전을 위한 파트너로서 타인과 조화로운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철학적 교양교육의 정례화가 요청된다.

      • KCI등재

        유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사회의 관계의 갈등 문제

        권향숙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0 No.2

        Recently the causes happened Me Too movement and Gapjil accusations movement in Korea are commonly not independent of the customs of Korea came to emphasize the vertical order. On the other hand, they stem from the lack of individual's morality, which reveal the individual's personal feelings and desires without filtration in public relations. Practically, there is a lack of fairness and discrimination at the root of these causes.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attitude toward consideration for others based on morality and human dignity. We can get alternatives from Confucian resources that regard human emotions and reasoning are completed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s and making harmonious relationship. This paper reveals that Confucius and Chu Hsi's concepts of 仁, 恕 as human dignity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is linked to the issue of impartiality(天理公) in Neo Confucianism. In addition, we look at how to make it appropriately related to others in Yi Ik’s Four-Seven theory, which emphasized humanity and the training of emotions. Yi Ik says that personal feelings are the basis for empathy with others, and that in order to achieve proper results, it is not necessary to deny feelings but it needs to be sublimated into public feelings. To bear the actors(especially leaders) always valid results in every cases should have impartiality (公) in mind, learn the epitome of exemplary practices and cultivate themselves. These Confucian alternatives suggest that we need to expose examples of behavior or cases in which a person is recognized from members of society, as well as education that continues to enhance morality today. 최근 한국 사회에서의 미투 운동1)과 갑질 고발 운동은 남녀 또는 갑을 간 갈등이라는 차원을 넘어, 인간관계에 대한 기존의 가치관 및 인식의 변화에 대한윤리적 대안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개인 간의 사적 행위가 공론화되기에 이른 것은 기본적으로 가해자의 공평한 시선 및 배려의 결여에서 기인하지만, 한국 사회에 관습적으로 자리 잡은 ‘상하관계’라는 프레임이 개인의 욕동을 만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작동된 요인도 존재한다. 이처럼 타인에 대한 태도를 좌우하는 가치관과 도덕의 제고가 요청되는 시점에서 인간관계에서 공평성과 조화를 최고의미덕으로 간주해 온 유학적 자원은 대안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공평성과 배려에 대한 문제를 공자를 비롯한 주희의 인(仁)과 서(恕), 천리공(天理 公) 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나아가 도덕성과 감정의 단련을 통해 타인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한국 유학의 사단칠정론에 주목하고, 특히 타자와의 소통의 기반인 감정의 공적 발출을 중요시한 성호 이익(李瀷)의 관점을 활용하여 일련의 대안을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유학적 해답을 도출할 수 있었다. 즉, 인간의 존엄성을 인정하는 것이 공평성의 기반이며, 공(公, 공평성)은 개인이 인간관계에서 객관성을 지님으로써 타자에게 무례를 범하지 않는 장치이다. 자신의 행동이 타자에게 수용 가능한 것이 되기 위해서는 정서적 공감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런데 개인의 감정과 욕구가 공적으로 타당한 지점을 얻기 위해서는성인의 모범을 참고할 필요성이 있고 자신의 수양공부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유학적 대안은 현대사회에서 지속적으로 타자성에 대한 인식과 도덕성을 제고하는교육과 더불어 본보기가 되는 행위나 사람이 사회구성원들로부터 시인되는 그런예를 노출시킬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반성적 자기의식으로서 사단칠정론 - 이황과 이익을 중심으로

        권향숙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7 No.3

        Yi Hwang 李滉 and Yi Ik 李瀷’s theories of four clues and seven emotions as the reflective selfconsciousness involve the following points : first,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subject can not be separated from being conscious of other people and things. The four clues that consist of some moral emotions(惻隱, 羞惡), attitude (辭讓之心) and reason(是非之心) are the senses to be considerate of others. Secondly, human beings each can perceive their competence but not perfectly, so need human relations. Finally, the four clues and seven emotions as reflective selfconsciousness, therefore, partly have appearance of public. Yi Hwang suggests that people have to face Li 理 before they meet everyday life and other people for being moral. It means that they recognize and secure the four clues from Li 理 in their mind. It is called ‘Ham Yang涵養’, which means cultivating one’s mind before the issuance of emotions(未發), and ‘Seong Chal 省察’ after the already issued(已發). If always so[主理], their behaviors bring about the effect of Jung Jeol中節 like as moderation, germaneness and gainliness. Yi Ik succeeds to the concept of 主理 and interprets it as Gong 公 which means public and impartial. It means that the fairness and justice of Li 理 always act anywhere through human impartial reason and behavior. Moreover he insists seven emotions also have possibility to result in germaneness only after it was cultivated, in that case they can be called Gong 公 as the public emotions. Yi Hwang’s ‘中節’ and Yi Ik’s ‘公’ mean harmonious state among people. So Their Four-Seven theories as reflective selfconsciousness already include the ethics of otherness. They pretend to develop responsibilities for the society especially from scholars士 and political man to protect society against the political power over ruled by letting control their private emotions and recognize four clues in their mind. It is the purpose of the Lihak理學-succeed to Silhak實學 in early Choson- in T’oegye schools to make society moral by the people cultiv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