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콩 종간교잡에서 주요형질의 유전분석

        이정동,권택화,조호영,황영현 慶北大學校農業科學技術硏究所 2002 慶北大農學誌 Vol.20 No.-

        재배종과 야생종의 인공교잡 분리세대에서 주요형질들의 변이와 유전력을 조사하여 야생종을 이용한 콩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두 인공교배의 F_2 집단에서 100립중을 제외한 나머지 조사 형질들은 초원분리를 보였다. F_1과 F_2의 평균 개화일수는 양친의 중간정도로 정규 분포를 보였다. 백립중의 F_1 평균은 은하콩, 소백나물콩 두 조합 각각6.5, 5.7g으로 소립종 쪽으로 치우친 정규분포를 보였다. F_2의 평균수량은 양친의 중간정도이었다. F_1의 덩굴성은 두 조합 각각 6.4, 6.6이었으며 F_2 평균은 은하콩 조합이 6.0으로 덩굴성 쪽으로 치우쳐 덩굴성이 부분적인 우성으로 보였으나, 소백나물콩 조합에서는 4.6으로 은하콩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경장, 개회일수, 개체당 협수, 수량, 도복, 덩굴성 등은 높은 광의의 유전력을 보였으며 100립중은 협의의 유전력이 은하콩 조합에서 52.3%, 소백나물콩 조합에서 65.6%로 평가되어 초기세대에서의 선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information of varietal development using wild soybean through investigation of variation and heredity of major agronomic characters in F_2 generation of interspecific cross between Glycine max and G. soja. In segregating populations of two crosses, all characters observed except 100-seed weight showed transgressive segregation. Days to flowering showed normal distribution; mean days to flowering in F_1 and F_2 was approximately mean of parent. Mean of F_1 for 100-seed weight was 6.2g and 5.7g for Eunhakong/KLG10084 and Sobaegnamulkong/KLG10084, respectively, which were somewhat skewed distribution to small seeded parent. Mean of F_2 was about mean of two parents. Degree of vine was 6.4 and 5.7 in F_1 for two crosses but it was 6.0 in F_2 for Eunhakong/KLG10084, which revealed the degree of vine as partial dominance while 4.6 for Sobasgnamulkong/KLG10084, somewhat different results from the previous cross. Broad-sense heritability(h^2B) for plant height, days to flowering, pods per plant, seed yield, and degree of vine was comparatively high and narrow-sense heritability(h^2N) for 100-seed weigh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 in the development of small seed-size sprout soybean was 52.3% and 65.6% for Eunhakong/KLG10084 and Sobaegnamulkong/KLG10084, respectively, which indicated that selection for the character in early generation was possible.

      • 한국 재래 나물콩 품종 및 계통의 콩나물 특성

        황영현,이정동,조호영,권택화,정연신 慶北大學校農業科學技術硏究所 2002 慶北大農學誌 Vol.20 No.-

        우수한 특성을 가진 나물콩 품종 육성을 위하여 국내 재래 나물콩 계통의 콩나물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301품종 및 계통의 콩나물 전체길이의 범위는 9.5∼23.0cm, 하배축 길이는 5.9∼15.1cm, 뿌리 길이는 3.2∼9.2cm로 다양한 변이를 보였고, 수율에서도 121∼695%로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다. 2. 공시된 301품종 및 계통의 종피색에 따른 콩나물 수율은 혼색종피종에서 40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백립중에 따른 콩나물 수율은 소립종일수록 높은 경향이었으며, 잔뿌리수는 흑색종피종과 갈색 종피종에서 현저히 적었다. 3. 콩나물 길이와 전체길이에 대한 뿌리길이의 비율, 수율을 기준으로 한 공시품종 및 계통들의 분포에서 장려품종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다수의 재래계통이 분포하고 있었다. 4. 콩나물 하배축의 색도는 백색도(L값)에서 장려품종이 재래계통에 비해 백색에 더 가까웠고, 적색도(a값)와 황색도(c값)는 장려품종보다 재래계통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To develop good soybean varieties for sprouts. 285 indigenous lines and 16 recommending varieties were evaluated by the sprout and agronomic characteristics. The range of whole length, hypocotyl length, root length, and yield rate of sprouts was 9.5~23.0cm, 5.9~15.1cm, 3.2~9.2cm, and 121~695%, respectively. Yield rate of sprouts was the highest, 409%, in the lines of mixed seed coat color. At the same time, it was reversely proportional to seed weight : the smaller the seed weight, the higher the yield rate as in all other reports. The number of roots was significantly fewer in the lines of the black and the green seed coat color than others. Based on whole length, rate of root length, and yield rate of sprouts, many indigenous lines were evaluated much better than recommending varieties. In the hypocotyl color of sprouts, the brightness was higher in improved variety than indigenous lines but vice versa in redness and yellowness in gener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