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평적 지역주의(The Critical Regionalism)로 본 한국 성당건축의 지역성 표현 - 개화기에서 1980년대까지의 성당건축을 중심으로 -

        권태일,Kweon, Tae-Ill 한국건축역사학회 2012 건축역사연구 Vol.21 No.1

        The core idea of the critical regionalism could be summarized as a self-conscious synthesis between universal civilization and world culture. After World War II, it has been applied to architecture for overcoming the problem of Industrial Capitalism and uniformity of 20th century Modern Architecture. Naturally, religious architecture cannot also be an exception in this cultural trend, thus we can also apply the critical regionalism to the Korea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with the basic premise that the Traditional Western and Modern Style Church Architecture should be regarded as universal civilization, and the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and endemicity as one of world culture. In the context,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regionality of Korean Moder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constructed between the 19th century and 1980's, and how it has been differently transformed with the view of the critical regionalism. Its analysis will be carried out within three types;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and the influence of Japanese Modern Architecture, representa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and abstrac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with eac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 KCI등재

        지역축제로서 부산국제건축문화제의 방향성 연구(Ⅰ) - 2001-2007년 사이의 부산국제건축문화제 특성을 중심으로 -

        권태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3 No.4

        부산국제건축문화제는 올해로 11회를 맞이하는 부산지역의 대표적 문화축제(cultural festival)이다. 출범당시 지역건축문화 발전의 획기적인 계기가 되리라는 기대와 함께, 건축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시민들로부터도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이후 양적으로 많은 성장을 했고, 2008년에는 문화광광부가 지원하는 지역축제로 선정되어 국비가 지원되면서 한층 격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최초의 기대와는 달리, 10여년이 지난 지금도 지역축제로서의 뚜렷한 정체성을 형성하지는 못하면서 건축관련 전문가는 물론이고 일반 대중들로부터도 점차 관심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그 원인은 무엇보다, 지역건축문화의 정체성확보와 국제화를 선도하기위한 혁신적인 방향성 없이, 단순히 여러 프로그램을 나열하는 백화점식 행사만 매년 반복하면서 질적 흥미를 상실하게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최근에 인천, 서울, 광주, 대구 등의 우리나라 주요대도시에서도 유사한 축제를 시도하면서 독자적인 위상마저 흔들리는 상황이다. 예산의 많은 부분이 세금으로 충당되고 축제행사를 위해 수많은 전문가들의 노력과 헌신이 요구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건축문화제가 가져오는 실질적인 효과가 과연 그에 상응하는지에 대한 평가를 다시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이런 맥락에서 평가의 일환으로 부산국제건축문화제의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그것을 개선할 새로운 방향성 탐구를 목적으로 삼는다. 이 같은 시도는 부산지역은 물론이고, 유사한 지역축제를 진행 혹은 준비 중인 우리나라 주요 지자체의 정책 결정에도 중요한 참고점이 되리라 본다. Busan International Architectural Culture Festival has been held as one of main regional festivals of Busan Metropolitan City since 2001. As time passed, its fame and status has gradually improved at regional and international architecture festival market. However, compare to its growth of quantity and volume, the quality of contents has been stagnant until now and caused several problem of management; public indifference, difficulties in attracting budget, unclear direction of festival, etc. In that context, this paper suggests a new direction of Busan International Architectural Culture Festival with four major points; empathic understanding program, experiential program, fusion culture program, and economic effectual program, to reform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festival.

      • KCI등재

        교회사(敎會史)적 논점에서 본 미국 서부지역 성당건축의 지역성 표현 연구

        권태일 수원교회사연구소 2015 교회사학 Vol.0 No.12

        미국은 일반적으로 개신교의 나라로 알려져 있지만, 의외로 세계 4위의 가톨릭 신자수를 가진 가톨릭중심국이다. 특히, 미국 가톨릭 교회사의 시발점인 서부지역 가톨릭교회는 토착 미국 원주민과 유럽계통 이민자 외에 상다수의 중남미, 아시아계 이민자 신자들로 구성되어 성당건축(聖堂建築, Catholic Church Architecture)에서 가장 다양한 유형의 지역성이 표현되는 특성을 보인다. 그것은 교회사의 논점에 볼 때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1)미국에 가톨릭을 전래한 선교사에 의한 스페인 성당건축의 영향 유형, 2)19세기-20세기 초반 이주한 유럽계 가톨릭이민자들의 민족 혹은 국가별 전통건축양식의 영향 유형, 3)1960년대 이후로 특히 대규모의 이주가 시작된 아시아계 가톨릭이민자들의 민족 혹은 국가별 전통건축양식의 영향 유형이다. 하지만 이러한 유형들을 문화변용(文化變容)의 과정이라는 틀로 분석 해보면, 서부지역 성당건축 지역성 표현 대부분은 각각의 전통건축문화 요소를 단순히 ‘재현(再現, representation)’해서 혼합하는 표피적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한계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의 성당건축 지역성 구현을 위해서는 서로 다른 전통건축문화의 모방과 답습의 차원을 벗어나는, 즉 ‘탈-재현(post-representation)’적 차원의 창의적인 융합으로 새롭고 고유한 정체성을 확보하는 데에까지 나아가야한다. 그리고 그것은 표층적인 외부형태의 양식과 장식으로부터 심층적인 공간의 내재적 질서에 이르는 포괄적인 영역을 아우르는 표현이어야 한다. According to A merican catholic church history, the communion of the western United States catholic churches is generally regarded as one of starting points of American catholic church, and composed with the most multiple race, ethnicity, and culture. Therefore, the cultural regionality of the western United States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is also so diverse and strong with not only the communion culture of American native people, but also those of Europian, Hispanic, and Asian immigrants. However, the real expression of cultural regionality of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is usually superficial and incomplete state, because it tends to focus on the copy and representation of cultural heritages of American native people and multiple immigrants. In the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suggest the new and post-repre-sentative direction for real expression of cultural regionality of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with three points of guidelines, 1) cultural difference must be accepted not by the way of copy or representation but by the way of mutual creative transformation, 2) cultural fusion must be processed not by the way of physical juxtaposition but by the way of creative chemical fusion, 3) the meaning of cultural regionality must be expressed not by the way of fixed symbol but by the way of creating new meaning, which is profit to contemporary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 KCI등재

        들뢰즈의 '표현' 개념으로 본 현대예술의 비표상성

        권태일 범한철학회 2006 汎韓哲學 Vol.41 No.2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roblem of non-representation in contemporary art. And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object is Gilles Deleuze’s philosophical account of expression which emerges as the result of the ontological movement for creation of difference it itself between what Deleuze calls the virtual world and reality, and is originally from the Spinoza and Leibniz’s idea. According to Deleuze’s expression, there are three kinds of non-representation, “non-representation of differánce”, “non-representation of not-thing”, and “non-representation of becoming” in contemporary art. The two of former are disguised form of non-representation because those have never expressed any difference it itself. In contrast to the two of former, the latter always accompanies creativity of difference from its virtuality through the system of expression, and has a possibility that suggest a principle and way of view to verify true meaning of non-representation in contemporary art, especially contemporary painting and architecture. 이 글은 현대예술에 나타난 ‘비표상성’의 허구(虛構)와 실재(實在)를 철학적 비평에 기대어 정교하게 구분하고 해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여기서의 ‘비표상’이란 근대적 주체의 환원적 특성인 ‘표상’ 개념에 반하여, 다양성과 차이의 생성을 인식체계의 근본으로 삼는 태도를 말한다. 철학이란 좁은 뜻으로 개념들에 대한 분석과 해명을 위한 어떤 지적·논리적 활동이란 점을 감안한다면, 이처럼 예술작품에 나타난 비표상성의 해석과 적용에서 발생하는 제 문제를 철학적 논리를 바탕으로 비판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리라 본다. 그리고 만약 이와 같은 시도가 가능하다면, 우리는 먼저 그 이론적 근거와 그에 따른 방법론을 제시해야 하며, 나아가 어떤 설득력을 지닐 수 있는 지를 설명해야만 할 것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탈근대의 도주선(逃走線)을 마련한 자로 불리는 들뢰즈(Gilles Deleuze)의 ‘표현(expression)’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 하고자 한다. 그가 주장하는 표현이란 탈근대를 향한 전략적 개념으로, 어떠한 동일성에도 종속되지 않으면서 표상세계를 붕괴시키는 ‘차이 그 자체’의 존재를 밝히려는 시도를 말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현대예술에 나타난 제 문제를 이미 정립된 철학적 논리를 바탕으로 비판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은, 분명 철학 개념 자체를 논의의 주제로 삼는 방식과는 다르다. 하지만 아도르노(Theodor W. Adorno)의 지적처럼, 현대의 예술이 철학과 상보(相補)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 연구는 충분히 그 나름의 의의를 가질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그것은 철학적 논리가 단지 사변적인 차원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인 실천성을 가질 때 그 속에 내재된 힘을 더 크게 펼칠 수 있다고 보는 맥락과도 접목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