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반 고형연료제품(SRF) 원료 중 폐합성수지류의 연료특성 평가 연구

        권준화 ( Jun-hwa Kwon ),강준구 ( Jun-gu Kang ),이영진 ( Young-jin Lee ),권영현 ( Young-hyun Kwon ),전태완 ( Tae-wan Jeon ),이영기 ( Young-kee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제4차 신ㆍ재생에너지 기본계획’에 따라 2035년까지 1차 에너지의 11 %, 전체 전력량의 13.4 %를 신ㆍ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폐기물에너지의 신ㆍ재생에너지 생산량 순 증가 기여도는 2015년을 기준으로 87.2%에 달하며, 잠재량 또한 이론적, 지리적으로 약 13,000,000 toe/yr를 초과하고 기술적으로도 약 10,450,000 toe/yr에 달한다. 따라서 폐기물에너지를 제외하고 신ㆍ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의 보급 목표의 실현을 논하기 어려우며, 사회적으로도 폐기물을 자원으로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형연료제품(SRF)은 가연성 고형폐기물을 원료로 제조된 폐자원에너지로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품질기준에 따라 생산ㆍ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SRF 사용시설의 입지문제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며 폐기물을 원료로 하는 것에 대한 환경 위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 제도 및 운영 관리의 문제점 파악과 개선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RF의 품질관리 체계 개선을 통한 고품질 SRF 제조ㆍ사용을 유도하기 위하여 현재 일반 SRF 제조시설에 반입되는 물질의 연료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원료 물질 중 폐합성수지류를 PET, PP, PS, PVC 등 재질별로 구분하였으며, SRF 품질기준에 따라 수분, 저위발 열량, 회분, 염소, 황분, 수은, 카드뮴, 납, 비소, 크롬 항목의 분석을 수행하고 검토하였다.

      • EV Formula 전륜 멀티링크 최적화 설계

        권준연(Jun Yeon Kwon),이동현(Dong Hyun Lee),박민석(Min Seok Park),천재영(Jae Young Cheon),김하성(Ha Sung Kim),정도현(Do Hyun Jung),김유정(You Jung Kim),이지윤(Ji Youn Lee),권영록(Young Rok Kwon),이채은(Chae Eun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23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23 No.11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mprove the turning performance of a 10-inch wheel packaging design with a multi-link suspension to compensate for existing vehicle issues. For this purpose, the wheel alignment elements, which vary according to the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suspension, were efficiently optimized using Catia DMU Kinematics. Toe, camber, and longitudinal wheel center displacement were optimized for up-and-down movement, and steering moment arm distance, caster, and ackerman percentage were optimized for steering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vehicle. Then, with the benefit of a virtual kingpin axis, we were able to free up wheel packaging space to maintain clearance between each component as the vehicle drives. Finally, Adams car was used to simulate the vehicles turning behavior. The yaw rate and lateral acceleration,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the vehicles turning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s vehicle. This was plotted graphically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athletic performance improvements. This was plotted graphically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athletic performance improvements.

      • KCI등재

        폐기물 소각시설의 표면 방열손실률 산정 및 특성에 따른 평가

        권준화 ( Jun Hwa Kwon ),강준구 ( Jun Gu Kang ),권영현 ( Young Hyun Kwon ),유하녕 ( Ha Nyoung Yoo ),고영재 ( Young Jae Ko ),박호연 ( Ho Yeun Park ),전태완 ( Tae Wan Jeon ),이영기 ( Young Kee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6 No.1

        Heat loss is one of the output heat factors of the thermal method, which lowers energy recovery efficiency. However, heat loss is not the index to evaluate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incineration facilities. Because characteristics such as incinerator type, incineration temperature, capacity, and the surface area of the incinerator and waste heat boiler of each incineration facility are different, the results of heat loss cannot be compared among fac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heat loss rates (i.e., heat loss compared to heat input). In this study, three municipal solid waste and three industrial waste incineration facilities were selected that had a general stoker type incinerator. A Rotary Kiln- Stokes type and a fluidized bed incineration facility were also selected. The heat loss rate of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ion facilities is 1.83%. This is lower than the heat loss rate of industrial waste incineration facilities of 2.26%. The heat loss rates of the Rotary Kiln-Stokes type and the fluidized bed incineration facilities were 11.04% and 3.08%, which are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stoker type facilities.

      • 폐합성수지류의 고형연료제품 원료 가능성 연구

        이영진 ( Young Jin Lee ),강준구 ( Jun Gu Kang ),권영현 ( Young Hyun Kwon ),유하녕 ( Ha Nyoung Yoo ),권준화 ( Jun Hwa Kwon ),고영재 ( Young Jae Ko ),전태완 ( Tae Wan Jeon ),신선경 ( Sun Kyoung Shi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전 세계적 화석연료의 수급불안과 연료 사용에 수반되는 환경위기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폐기물에너지 분야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수입 에너지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 RPS)를 통해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있으며, 2016년 기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의 약 56%를 폐기물에너지가 차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형연료제품(Solid Refuse Fuel, SRF)은 폐기물 에너지재활용의 한 방안으로, RPS 제도에서는 0.25의 가중치를 받고 있다. 고형연료제품은 일반폐기물과 비교하여 완전연소가 용이하고, 유해가스 발생이 적어 소각로 운전과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운영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이하 자원재활용법)」의 개정 이후 가공되지 않은 비성형 고형연료제품의 품질저하 문제와 원료 폐기물 범위의 확대로 일부 사업장 및 건설폐기물 등이 혼합되며 유해물질 함량 증가 문제가 초래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형연료제품 중 원료로 사용하는 폐합 성수지류에 대한 정량적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생활폐기물 열분해·고온용융 소각시설의 저위발열량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고영재 ( Young Jae Ko ),박호연 ( Ho Yeun Park ),강준구 ( Jun Gu Kang ),권영현 ( Young Hyun Kwon ),유하녕 ( Ha Nyoung Yoo ),권준화 ( Jun Hwa Kwon ),이영진 ( Young Jin Lee ),전태완 ( Tae Wan Jeon ),이영기 ( Young Kee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소각시설에서의 폐기물 저위발열량은 소각로의 연소성능 및 특성 파악 측면에서 핵심적 요소로 작용하는 인자이다. 기존 저위발열량 측정 방법은 시료 채취를 통하여 발열량계 측정, 원소분석법 등을 적용하도록 규정하였으며, 소량의 시료를 바탕으로 함에 따라 폐기물의 불균질성 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여 결과의 객관성이 부족한 문제점을 야기하여 왔다. 이에 환경부는 저위발열량 산정 관련 지침의 개정을 통하여 산정방법의 객관화를 추진하였다. 그러나 개정된 지침의 생활폐기물 저위발열량 산정식은 일반·고온 소각시설에 적용되는 산정방법이다. 현재 국내에는 17개소의 열분해(가스화)·고온용융 소각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투입 보조연료, 연소로 운전 온도, 잔재물 배출 특성 등 일반소각방식과 달리 열분해·용융 처리방식의 공정 특성을 반영한 산정식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열분해·고온용융 소각시설에서의 열정산을 통하여 열분해·고온용융 처리방식의 특성이 반영된 저위발열량 산정방법의 산정계수와 최종 산정식을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산정식을 바탕으로 대상 시설에서의 투입 폐기물에 대한 저위발열량을 산정·평가하였다. 입·출열 특성 분석결과 출열에너지 중 증기흡수열이 약 77.1%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배출가스 보유열은 약 15.3%, 그 밖의 기타 출열에너지는 약 7.6%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열정산 결과를 바탕으로 저위발열량 산정식의 상수값과 최종 산정식을 도출하였으며, 미연 및 방열손실 계수( )는 1.098, 부가 입열량 계수()는 1.189, 배출가스 열손실 계수()는 0.002의 상수값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도출된 열분해·고온용융 시설 LHVw 산정식을 적용을 적용한 저위발열량 산정 결과 11개호기 평균 약 2,160.8 kcal/kg 수준으로 나타났다. 산정식 도출결과는 현재 운영 중인 시설에서의 실측데이터를 적용한 결과로, 국내 열분해·용융 시설에 적용가능한 객관적이고 정형화된 저위발열량 산정방법일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저위발열량 산정방법 개정 등을 위한 소각시설에서의 주요 모니터링 인자 도출 및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의 에너지 회수효율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권영현 ( Young-hyun Kwon ),강준구 ( Jun-gu Kang ),손지환 ( Ji-hwan Son ),유하녕 ( Han-young Yoo ),고영재 ( Young-jae Ko ),장미정 ( Mi-jeong Jang ),권준화 ( Jun-hwa Kwon ),전태완 ( Tae-wan Jeon ),신선경 ( Sun-kyoung Shi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현행 폐기물 소각시설에서의 에너지회수 관련 규정으로는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3조에 명시되어 있으며, 에너지 회수기준 및 검사방법, 검사기관 등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에너지 회수기준으로는 75 % 이상(생산량 기준)으로써 회수된 열에너지를 스스로 이용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공급할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에너지회수 기준마련에 대한 근거가 미비하며, 생산된 에너지를 기준으로 산정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유효 이용에 대한 평가가 곤란하다. 또한, 폐기물 소각시설에서의 연소 성능 및 경제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저위발열량은 연료가 완전히 연소될 때 단위질량당 발생하는 열량(수증기 잠열 제외)으로써 에너지 시장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저위발열량 산정방법으로는 원소분석에 의한 저위발열량, 단열열량계에 의한 저위발열량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있으나 폐기물공정시험 기준에 따라 시료를 분할 채취하여 균일화하여도 폐기물의 대표성을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현행 산정방법으로는 지역적 특성 및 계절적 영향 등 소각로에 투입되는 폐기물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생활폐기물 소각시설(4개소)에서의 폐기물 투입량, 증기 생산량 및 사용량 등의 실제 계측기 측정데이터와 배출가스 보유에너지, 방열손실, 바닥재 배출열 등의 현장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저위발열량(Lower Heating Value) 및 에너지 회수효율(Energy Recovery)을 산정하였다. 산정결과를 바탕으로 「자원순환기본법」 시행(2018년 1월 1일부터)에 앞서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에서의 에너지 회수기준 및 산정방법에 대한 제도적 검토와 에너지회수율 기준 및 법적·제도적 정비 방향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에서의 폐기물 조성별 성상 및 발열량 특성에 관한 연구

        고영재 ( Young Jae Ko ),강준구 ( Jun Gu Kang ),권영현 ( Young Hyun Kwon ),유하녕 ( Ha Nyoung Yoo ),이영진 ( Young Jin Lee ),권준화 ( Jun Hwa Kwon ),전태완 ( Tae Wan Jeon ),이영기 ( Young Kee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최근 「자원순환기본법」의 시행으로 폐자원에너지의 선순환을 위한 자원순환형 사회구조로의 전환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폐기물 처리 시장에서는 물질 재활용 및 에너지 회수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으며, 특히 에너지회수효율 산정방법의 개정과 폐기물 처분부담금 감면정책으로 소각열에너지 회수ㆍ사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이 더욱 확대될 전망으로 보인다. 그러나 자원순환 정책 도입에도 불구하고 일부 산업분야에서 물리적ㆍ경제적인 이유로 분리배출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소각시설의 경우 반입되는 불연물로 인하여 통계자료 기준 잔재물 발생비율이 40%를 초과하는 현상이 야기되고 있다. 소각시설에 반입되는 불연성 혼합폐기물은 소각로 내화물, 재처리 설비 등의 수명을 단축시키며 투입열량의 저감으로 공정운영 및 에너지회수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 실태조사를 통하여 반입 폐기물 중 불연물의 혼합 비율과 투입폐기물 열량, 잔재물 발생비율 등을 조사하고 소각시설 반입부터 배출까지의 물질흐름을 파악하였다. 반입 폐기물의 불연물 비율 산정을 위하여 1차적으로 저장고의 폐기물을 혼합ㆍ채취 후 수선별을 통하여 조성별 구성비율을 파악하였으며, 2차적으로 조성별 시료의 삼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시설 4개소의 반입 폐기물 중 평균 불연분의 비율은 약 26.7%, 가연분은 약 63.0%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출되는 잔재물의 수분 보정을 통하여 실질적 소각잔재물 발생비율을 파악하였으며, 분석결과 약 26.4%로 투입 폐기물중 불연분의 비율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통계자료에서 확인되는 40%를 초과하는 잔재물 발생비율은 소각시설에서의 잔재물 최종배출 신고자료를 바탕으로 집계되는 것이며, 잔재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과 비산재량이 모두 포함되어있어 이를 제외한 양을 실질적 소각잔재물 발생량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폐기물 조성별 발열량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지정폐기물 혼소비율과 조성별 발열량 분석 결과를 반영한 소각로 투입폐기물의 보유열량 산정 결과 약 4,000∼5,000kcal/kg 수준으로 산정되었다. 실태조사 결과 일반적으로 사업장폐기물 소각 시설에 반입되는 폐기물의 보유열량은 보조연료의 사용 없이 연소실 적정온도 유지가 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단 택지개발현장 과거불법 매립폐기물, 공사장 생활폐기물과 같이 토사류 등의 불연물이 다량 혼합되는 경우에 대해 보다 철저한 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사업장폐기물 분리ㆍ배출 단계 및 처리단계 관리 방안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국내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의 소각열에너지회수·사용률 산정에 관한 연구

        권영현 ( Young Hyun Kwon ),강준구 ( Jun Gu Kang ),손준익 ( Jun Ik Son ),유하녕 ( Ha Nyoung Yoo ),고영재 ( Young Jae Ko ),권준화 ( Jun Hwa Kwon ),장미정 ( Mi Jeong Jang ),전태완 ( Tae Wan Jeon ),신선경 ( Sun Kyoung Shi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최근 급속한 경제 성장과 소비 수준의 상승으로 폐기물 배출량이 급격히 증가했고, 질적으로도 다양화 되고 있다. 우리나라 폐기물 처리정책의 주요내용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자연으로부터의 자원채취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자연으로 되돌려지는 폐기물을 최소화함으로써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사람의 건강을 보존하는 것이다. 선·후진국을 막론하고 폐기물관리정책의 변화과정은 비슷하다. 이러한 폐기물의 적정처리와 국가 에너지자원의 활용측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소각시설은 현재 정부가 추진 중에 있는 「자원순환사회전환촉진법」 제정에 따라 적지 않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원순환사회전환촉진법」은 자원 및 에너지 소비량의 증가에 따라 계속적으로 폐기물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는 국내의 사회적 구조를 고려할 때 폐기물의 발생억제 및 순환이용 촉진 등 자원순환사회 실현을 위한 기반 마련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제도임에 틀림없다. 자원순환 성과관리제를 통하여 검토되고 있는 폐기물처분부담금(소각 또는 매립)은 에너지를 회수하지 않는 단순 소각시설의 경우 재활용비용에 버금가는 소각세를 부과한다. 그러나 일정기준 이상 에너지를 회수하여 사용하는 소각시설은 폐기물처분부담금의 감면혜택이 부여됨으로써 폐기물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하는 에너지회수시설과 단순 소각시설의 차별화가 뚜렷이 구분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폐기물 소각처리 시설(2개소, 3호기)을 대상으로 2015년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3조제2항에 따른 “폐자원에너지 회수·사용률 산정방법”에 따라 에너지회수율을 산정하였다. 각각의 저위발열량 및 에너지회수·사용률 산정인자(Ep, Ew, Ei, Ef)는 3개월 동안의 계측기 측정값과 현장측정(배출가스 조성, 방열손실, 바닥재 보유열 등)결과를 바탕으로 산출하였다. 폐자원에너지 회수·사용률 산정결과로는 A시설(1호기·2호기)의 경우 생산량 기준 98.6 %, 사용량 기준 26.9%로 산정되었다. B시설(1호기)에서는 생산량 기준 99.0 %, 사용량 기준 81.9 %로서 생산량 및 사용량 모두 높은 비율을 나타났다. 반면, A시설에서는 생산량 대비 사용량 기준 27.3 %로서 낮은 유효사용률을 나타내었으며, 유효사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안(소내 소비감소, 소각시설의 효율적 가동, 폐열보일러의 효율 향상, 안정적인 수요처 확보 등)을 강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고형연료제품 품질 시험·분석방법 개선 연구

        윤영욱 ( Young Wook Yoon ),박호연 ( Ho-yeun Park ),권영현 ( Young-hyun Kwon ),권준화 ( Jun-hwa Kwon ),강준구 ( Jun-gu Kang ),전태완 ( Tae-wan Jeon ),이영기 ( Young-kee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폐기물에너지는 폐기물을 변환시켜 연료 및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이며 고형연료제품이 이에 해당한다. 고 형연료제품은 가연성 생활폐기물, 폐플라스틱, 폐타이어, 폐목재 등의 고체폐기물을 파쇄, 분리, 건조, 성형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한다. 고형연료제품 사용은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폐기물 중 가용 자원의 재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고형연료제품은 소각을 통해 열에너지를 회수하므로 그 과정에서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오염물질 발생을 줄이기 위해 고형연료제품의 품질기준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고형연료제품의 품질기준 시험은 환경부고시 제 2014-135호 『고형연료제품 품질 시험·분석방법』을 기준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품질기준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고형연료제품 품질시험방법의 정확성이 요구된다. 하지만 현행 고형연료제품 품질시험방법은 국외 고형연료제품 품질시험방법과 폐기물공정시험기준을 참고 하여 번역·제정하였고, 그 과정에서 국내 실정에 맞지 않거나 용어, 문장의 오류가 다수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현행 시험방법을 개선하고 오류를 수정하여 고형연료제품 품질시험방법을 개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품질시험방법의 개정을 위해 고형연료제품 품질표시 시험기관의 의견을 수렴하였고 개정의견 의 타당성은 전문가 회의, 적용성 시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적용성 시험은 고형연료제품 시료 운반 온도에 따른 성분 변화 분석, 회분시험 시료량의 변화에 따른 회분함량 분석, 마이크로파 전력 및 반응시간에 따른 고형연료제품의 중금속 함량 변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 반입폐기물의 수선별을 통한 폐기물 특성 분석 연구

        유하녕 ( Ha Nyoung Yoo ),강준구 ( Jun Gu Kang ),권영현 ( Young Hyun Kwon ),고영재 ( Young Jae Ko ),이영진 ( Young Jin Lee ),권준화 ( Jun Hwa Kwon ),전태완 ( Tae Wan Jeon ),이영기 ( Young Kee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2016년 기준 국내의 사업장폐기물의 처리방법별 처리현황을 살펴보면 재활용 약 79.06%, 매립 약 14.84%, 소각 약6.0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018년 시행된 자원순환기본법에 의해 매립세와 소각세가 부과됨에 따라 직매립되는 폐기물은 감소하는 반면 소각시설에 유입되는 사업장폐기물의 양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더불어 소각세의 경우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3조제2항에 따른 에너지 회수효율 결과에 따라 감면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어 에너지 회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업장폐기물의 기본성상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수선별을 진행할 수 있는 여건을 지닌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 5개소를 선정하여 진행하였으며, 사업장폐기물의 다양성을 반영하기 위해 총 3회의 시료채취 및 수선별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5개소의 사업장폐기물 성상을 조사한 결과, 가연성폐기물 약 54.8%, 불연성폐기물 약4.1%, 혼합폐기물 약 33.0%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기서 혼합폐기물은 수선별을 통해 분리하기 어려울 정도의 작은 입자를 포함한 폐기물을 통칭하였으며, 대부분 작은 입자의 건설폐재류 및 폐토사류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