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업준비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절망감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효과

        권주훈 ( Juhoon Kwon ),김호영 ( Hoyoung Kim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지역과 세계 Vol.45 No.1

        본 연구에서는 취업준비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절망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취업스트레스와 절망감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 변수들 간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취업을 준비 중인 전국의 대학교 4학년생 및 졸업생 246명을 대상으로 취업스트레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및 절망감을 설문조사하였다.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해당 변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쥐업준비생 남녀 모두 취업스트레스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절망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절망감 간의 관계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한 경향을 보였다. 둘째, 취업스트레스와 절망감 간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효과가 남성에서는 유의하였으나, 여성에서는 유의하지 않아 성별 간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한 남성 취업준비생들에서 취업스트레스가 절망감으로 이어지기 더 쉽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나타난 성차는 취업준비생들의 절망감의 심리적 기전이 성별에 따라 다를 가능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seeking stress on hopelessness and to evaluate the moder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hopelessness. We also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se effects. Via online and offline surveys, the Job-seeking stress questionnaire, Korean-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14 (K-IUS-14), and Korea-Beck Hopelessness Scale (K-BHS) were administered to 246 undergraduates or graduates who were preparing to get a job. Based on these data, the effect of job-seeking stress on hopeless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job-seeking stress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hopelessness in both male and female job seekers. Furthermore, the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hopelessness was stronger in females than in male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hopelessness was significant only in males, while it was not in female job seek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job-seeking stress is more likely to lead to hopelessness in male job seekers with a higher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addition, the gender difference in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hopelessness among job seekers vary by ge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