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수업 상황학습 프로그램이 통합학급에서의 수업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권주석(Ju-Seak Kwon) 한국발달장애학회 2018 발달장애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일반학급에 통합된 지적장애아동이 수업을 받는데 필요한 수업 상황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통합학급에서의 수업 적응행동에 미친 효과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2학년인 3명의 지적장애아동에게 12회기의 수업 상황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수업 상황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통합학급의 수업상황에서 연구대상자가 나타낸 수업 적응행동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업 상황학습 프로그램은 지적장애아동이 개념을 습득하는 사고 과정과 관련된 수업 상황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행동의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수업 상황학습 프로그램은 지적장애아동이 수업도구 및 자료를 활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업 상황학습 프로그램은 지적장애아동이 수업상황에 필요한 규칙을 준수하는 행동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수업 상황학습 이론의 적용가능성, 개념 습득, 학습도구의 시용, 그리고 학습규칙 준수 등에 대한 수업 적응행동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classroom adaptation behavior in an inclusive classroom,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situated learning program. To that end, we instructed 12 sessions of situated learning program to three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the course of the program, the behavior of class application to the study participant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The situated learning program showed changes in behavior in which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thought process of learning concepts by participating in the Korean language classes. In addition, the situated learning program was cited as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abi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utilize classroom tools and materials. Finally, the situated learning program has also shown tha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more likely to follow the rules required for instru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composition of situated learning programs, knowledge of concepts, use of learning tools, and instruction adaptation behavior in compliance with learning rules.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특수학교 장애아동 학부모의 특수교육 만족도와 그의 관련 변인 탐색

        권주석 ( Ju Seak Kwo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초등 특수학교 장애아동 학부모가 지각한 특수교육 만족도와 그의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것은 학부모와 장애아동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변인을 밝힘으로써 장애아동의 교육권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특수학교 장애아동 학부모 29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특수학교 학부모의 특수교육 만족도는 지적장애와 시각장애 아동의 학부모가 높았으며, 국립 특수학교 학부모의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초등 특수학교 학부모의 특수교육 만족도는 교육활동과 관련 서비스 영역과 관련되며, 교육활동은 개별화 교육, 개인생활 기능 그리고 교과활동 순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관련 서비스는 서비스의 개방성, 유연성, 적절성의 차원 순으로 관련됨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특수학교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재구조화되어야 하는 지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ents for special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nd the factors related with their satisfaction level. This study would clarify the factors which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s perceived as their children``s educational needs, which will be fundamental to find a way to secure the right of education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were 294 parents of children of disabilities, and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these parents. The data were analysed by one way ANOVA, t-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follow. First, in elementary schools,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ents with visually handicapped children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high, and they showed high level of satisfaction on schooling at national special schools. Second, the satisfaction level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ents were closely related to their children``s schooling and related services for special education, and they showed high relevance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schooling activities in order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ersonal activity function and curriculum activity. Also, in terms of related services, they showed high relevance in order of openness, flexibility, and appropriation of the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special school education should be reconstructed.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지식과 이해 수준 분석

        권주석 ( Ju Seak Kwo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통합학급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지식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이해 수준 차이를 분석하고 그의 관계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것은 통학학급 교사의 특수교육에 대한 책무성을 강화하고 교육과정의 이해 수준을 높일 방안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통합학급 교사 16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일원변량분석, t검증, 그리고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교사의 경력, 연수횟수, 교과연구 단체활동 유무 등은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지식을 설명하는 중요요인이었다. 둘째, 통합학급 교사의 특수교육 교육과정 이해 수준은 일반학교 교육과정 이해 수준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실천지식은 일반학교 교육과정의 이해 수준보다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이해 수준이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통합학급 교사의 특수교육 책무성을 강화하고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이해 수준을 향상시킬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relationships comprehension level between curricular practical knowledges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of inclusive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These would be a baseline data strengthening responsibilities of special education and improving comprehension level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This subjects were 161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and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these teachers. This study materials analyzed one way ANOVA, t-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are analyze as follow. First, it was major factors to explain curricular practical knowledges that inclusive teachers` career, the number of inservice training,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academic activity. Second, curriculum comprehensive the level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was higher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a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ird, the curricular practical knowledges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were close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a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these results, this study was come up with strengthening responsibilities of special education and improving comprehension level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장애학생의 기능 수준에 대한 일반교사의 요구 분석

        권주석 ( Ju Seak Kwo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일반교사가 장애학생이 일반학급에 통합될 때 요구하는 기능 수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306명의 유치원, 초등학교, 그리고 중·고등학교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요구 기능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급학교 교사가 요구하는 기능은 일상생활, 교과학습, 사회생활 영역 순이었다. 또한 그들의 요구 수준이 높은 기능은 자기 이름쓰기 등이었으며, 낮은 기능은 분위기에 맞는 행동하기 등이었다. 둘째, 각급학교 교사의 요구 수준은 사회생활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초등학교 교사가 유치원 교사보다 더 높은 수준의 기능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급학교 교사들이 장애학생에게 요구하는 기능은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학생을 일반학급에 통합하기 위해서 우선 지도해야 할 기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general educator`s need skills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general education classes. The subjects were 306 teachers who has served at the school among kindergarten, primary, middle-high school.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general educator`s need skills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ordered the domain of basic living skills, academic learning skills, and social living skills. Their highest need skills were the writing skill of self name, and lowest need skills were the taking learning behavior according to learning situati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primary school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for the domain of social living skills among general educator`s need skills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 were also difference among schools` teachers for the needed skills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conclusion, there were presented to the of priority teaching skill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ward inclusive classroom.

      • KCI등재후보

        신체접촉활동 중심의 전통놀이가 지적장애유아의 감각처리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권주석(Ju-Seak Kwon) 한국발달장애학회 2019 발달장애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신체접촉활동 중심의 전통놀이가 지적장애유아의 감각처리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애유아 어린이집에 다니는 10명의 지적장애유아를 유목표집하였다. 신체접촉활동 중심의 전통놀이는 12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지적장애유아의 감각처리와 대인관계에 미친 효과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의 평균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체접촉활동 중심의 전통놀이가 지적장애유아의 감각처리에 미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촉각, 고유각, 전정각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지적장애유아의 대인관계에 미친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만족감, 개방성, 친근감은 향상되지만 의사소통은 향상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인관계와 하위요인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만족감, 개방성, 친근감, 의사소통 등이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체접촉활동 중심의 전통놀이가 지적장애유아의 감각처리와 대인관계에 미친 효과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raditional play centered on physical contact activity on sensory process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infa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this end, 10 infa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ttend daycare center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Traditional games centered on physical contact activities were performed during 12 sessions. The effect on sensory processing and interpersonal ability of infa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average of the pre-test score with the post-test score. The results analyzed are as follows.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raditional games centered on physical contact activities on the sensory processing of infa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s shown that they are affected by tactile, vestibule and proprioceptive senses.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raditional games centered on physical contact activit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infa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und that while satisfaction, openness and friendliness are improved but, communication is not improved. However,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kills and subfactor found that satisfaction, openness, friendliness and communication were remarkabl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raditional games centered on physical contact activities for infa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children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언어훈련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RAN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승훈 ( Seung Hoon Yi ),권주석 ( Ju Seak Kw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의 대표적인 사용자 편의 기술인 음성인식 기술과 문장 읽어주기 기능을 활용하여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이것이 지적장애 학생의 빠르게 이름대기(rapid automatized naming: RAN)에 미치는 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마트기기의 음성인식 기술과 문장 읽어주기 기능을 활용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본 애플리케이션은 40개의 어휘로 구성되어 있으며, 1차시에 5개의 어휘를 총 8차시에 학습하도록 개발한 게임 학습 이론 기반의 어휘학습 프로그램이다. 개발한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은 초등학교 특수교사 10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이 설계적인 측면, 내용 구성의 적절성, 현장 적용 가능성의 타당성을 분석하여 지적장애 학생에게 적합하도록 개발되었다고 평가하였다.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초 읽기능력이 부족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지적장애 학생 27명을 실험집단(14명)과 비교집단(13명)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은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목표어휘를 학습하였고, 비교집단은 그림-단어 카드를 사용하여 목표어휘를 학습하였다. 두 집단에 적용한 언어훈련 프로그램은 1차시는 2회기로 구성하여 8차시 16회기(회기당 30분씩)를 주당 4회씩 4주간 실시하였다.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두 집단에게 RAN 검사를 사전·사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RAN의 전체 점수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높아졌으나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향상되었다. 특히, RAN의 하위영역인 숫자영역과 색깔영역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이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이 지적장애 학생의 RAN 과제 수행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고, 스마트기기 기반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이 지적장애 학생의 RAN능력을 향상에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밝혔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language training application program, which was developed to improve 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order students` RAN, using two representative user-friendly technologies of smart devices: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and text-to-speech technology. The language training application program, developed on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consists of 8 periods, each period including learning new vocabulary words and playing games with them. The application program contains a total of 40 words, and 5 words are taught each period. The validity of this application program was reviewed by 10 speci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its design, content appropriacy, and field applicability. The review group concluded that the application program was suitably designed and organized for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order, and that it is therefore applicable to other schools. The 27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peci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order who were not able to read properl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containing 14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containing 13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language training through the language training application program, 4 days a week for 30 minutes each session. The control group received language training with picture-word cards, 4 days a week for 30 minutes each session. The language training program consists of 8 periods, and each period has 2 sessions. In total, 16 sessions were provided for 4 weeks. Analysis of the data in this study included comparison of the pre-and post-test results of the two groups test were a RAN.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areas of numbers and colors in RAN tests. Similarly,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the areas of "words with meaning" in word recognition tes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anguage training application program was highly effective in improving 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order students` R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