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 이용유형이 청소년 온-오프라인 비행에 미치는 영향

        권은낭,강정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4

        청소년의 인터넷 활동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청소년 인터넷 활동 규제의 중요한 기준이나 이러한 영향에 대해서는 이론적, 경험적으로 합의를 보지 못하고 있다. 이는 종속변수인 청소년 비행과 독립변수인 인터넷 활동 모두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세부적인 인터넷 이용유형(정보검색, 온라인 교류, 온라인 게임, 성인 사이트 열람 등)이 각각 어떤 유형의 온-오프라인 비행과 연관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러한 연관성이 어떠한 사회적, 심리적 조건 하에서 증폭되는지를 비행친구 수와 자기 통제력을 조절변수로 선정하여 살펴봄으로써 비행 위험을 높이는 맥락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2 청소년을 5년간(2003년~2007년) 조사한 한국청소년패널을 활용하여 고정효과 패널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온라인 비행 분석결과 성인용 사이트 열람이 6가지 온라인 비행 항목 모두에 강한 영향을 미쳤으며 온라인 교류형 활동이 네 항목으로 그 뒤를 이었다. 온라인 게임은 어떤 온라인 비행 항목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오프라인 비행에 대한 분석 결과 중, 성인용 사이트 열람은 자기 통제력이 낮아진 상황에서 특히 폭력비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온라인 교류형 활동은 낮은 자기통제력 뿐 아니라 비행친구의 수가 많을 경우 지위비행을 특히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인터넷 활동이 광범위하게 퍼진 추세 속에서 모든 인터넷 활동을 잠재적 비행요인으로 간주하고 억제하기 보다는 어떤 활용 유형을 어떤 환경적 맥락에서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논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ssociations between types of Internet use and online and offline delinquency, and to investigate under which soci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those associations can be amplified. Data harvested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2003-2007) was analyzed using fixed-effects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regarding online delinquency, pornography significantly increased all 6 types of delinquency, whereas social media fostered only 4 types. Interestingly, online game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ny type of online delinquency. Regarding offline delinquency, pornography specifically facilitated engaging in violent delinquency when students' self-control was poor. On the other hand, social media encouraged status delinquency, not only when self-control was poorer but also when the subjects had more delinquent peers. Based on these findings, we argue that in terms of policy, greater attention needs to be focused on identifying both the type of delinquency and the level of self-control and/or the number of delinquent peers, rather than trying to suppress all internet activities.

      • KCI등재

        온라인 공론장에서 참여와 다양성의 실현과 숙의적 합의의 가능성 -제19대 대선 기간 ‘다음아고라’를 중심으로

        권은낭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50

        본 연구는 온라인 공론장에서 참여와 다양성 그리고 Word2Vec의 코사인 유사도 로 합의를 측정하여 숙의가 실현될 수 있는가에 대한 상반된 입장을 검증함으로써 숙 의적 합의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대 대통령 선거기간 동안의 다음아 고라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당시 주요 후보였던 문재인 후보, 홍준표 후보, 안철수 후 보를 세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참여도와 다양성의 경우, 문재인 후보 집단에서 가장 높았으나 문재인 후보 지지와 홍준표 후보 반대로 양분되어 있어 내용 적 다양성의 수준이 낮았다. 합의의 경우, 문재인 후보 지지 집단에서 집단 내 합의만 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홍준표와 안철수 후보 지지 집단의 경우 집단 내 합의의 수 준이 낮았다. 따라서 집단 내/집단 간 합의가 모두 충족된 긍정적 합의가 발생하지 않 아 온라인 공론장에서 숙의가 실현될 수 없다는 입장을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다음아고라가 전반적으로 유사한 지지 성향을 보이고 있음에도, 전체 집단 내 에서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진 집단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공론장의 성향이 자신과 일치 하지 않는 상황에도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숙의의 가능성을 보였다. This paper examines two different positions about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of deliberation in the online public sphere using Word2Vec model’s cosine similarity and whether this space increases participation and diversity. This study proceeds analysis focused on the discussion on about three major candidates “Moon Jae-in”, “Hong Joon-pyo”, “Ahn Cheol-Soo” in DaumAgora during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In the results of measuring participation and diversity, the two indicator’s level is the highest in Moon Jae-in’s group. However, diversity of content is low in DaumAgora, because it is divided into two positions supporting Moon Jae-in and opposing Hong Joon-pyo. Next, in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of deliberative agreement, agreement within group is only formed in Moon Jae-In supportive group. It means that negative agreement occurs in Moon Jae-In supporting groups. On the other hand, agreement within groups is low in Hong Joon-pyo and Ahn Cheol-Soo’s supporting groups. These results reinforce the argument that deliberation can not be realized in online public spheres. Nevertheless, It cannot be said that this analysis supports only pessimistic positions. Even though DaumAgora shows a similar tendency of support, there are several groups with different stances, expressing their own opinions in the whole group.

      • KCI등재

        유연근무가 기혼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연근무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권은낭,엄승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1 여성연구 Vol.108 No.1

        본 연구는 기혼 여성 관리자를 대상으로 유연근무의 활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여성관리자패널조사(KWMP)의 7차 조사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여성이 근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시간빈곤으로 인해 일-가정 양립에 갈등을 겪는다는 논의의 측면에서 유연근무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여성 관리자와 남성 관리자 모두 배우자의 직장에 대한태도가 협조적일수록 만족도가 증가하였으며, 유연근무는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여성 관리자만이 양육에 대한 협조 태도가 높을수록 개인생활과 가족생활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 관리자에게 양육이 사적 영역과 관련된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유연근무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항은 여성 관리자의 개인생활과 직업생활 만족도에는 유의미하지 않았고 가족생활 만족도만 증가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근무를 활용하지 않을 경우근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가족생활 만족도가 감소한다. 때문에 근무시간이 길 경우 유연근무 활용집단은 비활용 집단보다 가족생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다. 한편 남성 관리자는 모든 유형의 만족도에 대해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리하면 배우자의 양육협조태도, 그리고 유연근무와근무시간의 상호작용항이 여성 관리자의 가족생활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유연근무가 제공하는 시공간의 유연성이 근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가족 내 시간빈곤이나역할갈등의 감소로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유연근무는 여성 관리자들의 가족생활 만족도를 유지하는 긍정적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가족에 대한 부담을 여성 관리자에게 집중시키는 부정적 기능 역시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유튜브 생산자의 행동에 따른 이용자의 감정 변화

        권은낭,강정한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6

        Users form positive emotions while watching personal media, and these emotions can be undermined by the creators' negative actions, that is, a controvers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the emotions of users change based on the controversy of creators. For the analysis, the YouTube channel “Korean Englishman” was selected. We performed emotion analysis using KoBERT and cosine similarity analysis using Word2Vec on the com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happy” decreased and “surprise” related to content positive responses also decreased after the controversy. We also found that the top 20 words with high cosine similarity to the creators' name and channel name were associated with negative emotions, particularly hate, in after-controversy comments. Before the controversy, positive emotions were more frequently formed in comments containing the creators' name rather than the channel name. However, negative emotions were more associated with the creator than the channel after the controversy. This analysis methodologically separated negative emotions toward malicious comments that frequently appeared in after-controversy comments. 이용자들은 1인 미디어를 시청하면서 긍정적 감정을 형성하며 이러한 감정은 생산자의 부정적 행동 즉, 논란에 따라 훼손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자의 논란을 기점으로 이용자들의 감정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했다. 분석을 위해 유튜브 채널인 “영국남자”를 선정했으며, 댓글을 논란 전과 후로 나누어 KoBERT를 이용한 감정분석, Word2Vec을 이용한 코사인 유사도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행복한 감정 및 콘텐츠 반응에 대한 긍정적 놀라움이 논란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자 이름 및 채널 이름과 코사인 유사도가 높은 상위 20위 단어들을 산출한 뒤, 각 단어가 포함된 댓글 집단별로 가장 많이 등장한 감정을 살펴본 결과에서도 논란 후 행복이 감소하여 혐오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았다. 긍정적 감정은 채널 이름보다 생산자 이름이 포함된 댓글에서 더 높게 형성되어 있었는데, 논란 후에는 부정적 감정이 채널 이름보다는 생산자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특히 이러한 결과는 논란 이후 댓글에 빈번히 등장하는 악플을 향한 부정적 감정을 분리해낸 후 관찰했다는 점에서 분석방법론적으로도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경찰청의 변호사 경력채용·운영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우병관,권은낭,김지온 경찰대학 경찰대학 2022 경찰학연구 Vol.22 No.3

        The National Police Agency has implemented a lawyer career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has implemented a lawyer career recruitment system since 2014 to enhance legal expertise and public trust in police investigations. Seven year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agnose the police's personnel management process to see if lawyers with experience are working well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public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initial implementation.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was us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cause was analyzed by confirming whether lawyers with experience left the investigation department at an early stage without fulfilling the mandatory service period (5 years). As a result, 26 months after the initial deployment of the economic crime investigation team, it was confirmed that the departure from the direct investigation department to investigation support department such as the investigation reviewer increased rapidly.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preference for working in the economic team did not affect the movement.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uniform relocation of lawyers to the investigation support department due to the policy needs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rather than their preference or will, and this phenomenon has been analyzed to be accelerating more recently. Even legal experts have only two years of investigation experience and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job and are difficult to say that it is a better direction for the public. In response, this study suggested that experts in the organization can develop their expertise in the field by reorganizing the personnel system based on positions and giving them professional positions in areas requiring high expertise. In addition, by separately establishing a special promotion system for professional positions, it was proposed to prepare policies that can lead to competency through stable job performance and healthy competi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ore systematic and positive talent management process so that experts can work with job commitment and enthusiasm within the police organization. 경찰청은 경찰 수사에 관한 법률 전문성과 국민 신뢰를 높이기 위해서 2014년부터 변호사 경력 채용제도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해당 제도 시행 이후 만 7년이 지난 시점에서 최초 시행 취지에 맞게 변호사경력채용자들이 국민과 접점에서 잘 근무해 나가고 있는지 경찰의 인재관리 프로세스 진단을 위해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방법론으로는 Kaplan-Meier 생존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변호사경력채용자들이 의무복무기간(5년)을 채우지 못하고 이른 시점에 직접수사부서를 이탈하는지 확인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초 경제범죄수사팀 배치 후 26개월이 지난 시점에 수사심사관 등 직접수사부서가 아닌 수사지원부서로의 이탈이 급격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경제팀 근무 선호 여부는 경제팀에서 다른 부서로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변호사경력채용자들이 본인의 선호도나 의지보다는 경찰청의 정책적 필요에 의해 일률적으로 수사지원부서로 재배치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최근에 이러한 현상이 더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법률전문가라 할지라도 수사경력 2년에 불과한 상태로 일률적으로 수사심사관 등 수사지원 업무를 수행하는 것에 대해 변호사경채자 스스로도 직무만족도가 낮고 국민 입장에서도 더 나은 방향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필자는 이에 대해 현재와 같은 일률적 인사관리에서 벗어나 직위 중심으로 인사제도를 개편하고,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한 분야에는 전문직위를 부여함으로써 조직 내 전문가들이 해당 분야에서 전문성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개선할 것을 주문하였다. 또한, 전문직위에 대한 별도의 특별승진제도를 마련함으로써 안정적 직무수행, 건강한 경쟁을 통해 역량을 이끌어낼 수 있는 정책 마련을 제안하였다. 앞으로도 전문가가 경찰조직 내에서 직무몰입과 열의를 가지고 근무할 수 있도록 보다 체계적이고 포지티브적인 인재관리 프로세스 마련이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코로나 위기가 학술 논문 생산에 미친 영향: KCI 등록 학술지 논문 분석

        강정한(Jeonghan Kang),권은낭(Eunrang Kwon) 한국사회학회 2021 韓國社會學 Vol.55 No.1

        본 연구는 2020년 2월 중순부터 폭증한 신종 코로나 감염 사태(팬데믹)가 국내 학계의 연구 논문 생산성에 미친 영향을 논문 수와 협업의 크기 측면에서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KCI 등록지)에 게재된 사회과학, 인문학, 자연과학 분야 전편(141,640편)을 수집하여, 인접한 연도간 증감율을 팬데믹 전후간 비교해 코로나 효과를 살펴보았다. 학술지당 논문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인문학에서 특히 학술지당 게재 논문수가 감소하여 코로나 사태가 논문 생산성을 낮춘 것으로 보인다. 논문당 저자수를 분석한 결과, 협업의 크기가 큰 자연과학에서 팬데믹 이후 논문당 저자수가 감소하였는데, 특히 2020년 전반기에 이러한 저자수 감소가 두드러졌다. 이러한 변화는 팬데믹 상황이 협업이 필요한 논문의 작성을 단기적으로 지연시켰기 때문으로 보인다. 정리하자면 코로나 위기가 닥친 이후 인문학은 논문 생산성이 감소하였고, 자연과학은 단기적으로 협업이 지연된 것으로 보인다. 사회과학 분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논문당 저자수는 2020년 후반으로 올수록 다소 증가하는 경향도 보였다. 팬데믹으로 위기를 맞은 학문 분야나 연구자의 특성에 대한 향후 연구와 정책적 대비가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estimates the effects of the COVID-19 pandemic since early 2020 on academic productivity in South Korea. We collected all the Korean Citation Index(KCI) articles from three academic fields: social sciences,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from 2018 to 2020 (N=141,640). We then selected two outcome variables, the number of scholarly articles per journal and the number of co-authors per each paper, and compared their quarterly patterns between the three years. Concerning statistical tests, we compared how much the change from 2019 to 2020 is smaller or larger than that from 2018 to 2019.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andemic decreased the number of papers per journal in both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though the decreas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natural science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Second, the number of co-authors per paper sharply decreased in the natural sciences for the first quarter of 2020 and has been recovering since then. In summary, the humanities suffered from lowered academic productivity, whereas natural sciences shortly experienced the delayed publication of co-authored papers. Social sciences were the least vulnerable to the COVID-19 pandemic. Further research would be required to identify what kinds of researchers from which academic fields have been most affected by the pandemic and support them.

      • KCI우수등재

        성별 고정관념의 문화적 유동성: 국내 기업 사례 연구

        엄승미(Eom, Seung-Mi),권은낭(Kwon, Eunrang),김영미(Kim, Young-Mi) 한국여성학회 2021 한국여성학 Vol.37 No.4

        이 연구의 목표는 성별 고정관념의 문화적 유동성에 주목하여 조직이 강조하는 문화적인 가치에 의해 변화하는 성별 고정관념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국내의 한 식품 회사를 사례기업으로 선정하여 조직 내에서 나타나는 지배적 성별 고정관념을 파악하고, 이것이 여성에게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사례기업 관리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인터뷰 자료에 대한 질적 탐색과 Word2Vec을 이용한 텍스트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사례기업의 성별 고정관념은 보편적 성별 고정관념과 비교해 유동적으로 변화된 지점이 있었다. ‘여성은 감정적 지지를 해주는 존재’에서 ‘감정적 지지를 받아야 하는 존재’로 변화했으며, 이러한 인식은 여성이 업무 효율성을 저해한다는 부정적 인식을 강화시켰다. 순응성은 남성과 여성에게 반대로 적용되었다. 기존에 여성에게 부정적으로 적용되던 순응성은 남성에게는 충성심으로 인식되지만 남성에게 적극성으로 인식되던 순응하지 않는 특성은 여성에게는 불만표출로 인식되었다. 이는 남성 고정관념의 내용은 조직에서 가장 가치 있는 것으로 유동적으로 구성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문화적 가치의 상반된 부여는 남성은 ‘함께 일하기 편한 존재’로, 여성은 ‘함께 일하기 불편한 존재’라는 상반된 인식으로 이어진다. 성별 고정관념은 기혼과 관리자 지위와 연결되었을 때 심화되어 여성은 관리자 지위에 적절하지 않다는 인식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조직의 문화적 가치가 성별 고정관념의 내용을 유동적으로 결정한다는 점을 보여주며, 그렇게 형성된 성별 고정관념이 남녀의 우열관계를 유지시키는 데 활용된다는 점을 제시한다. This research explores gender stereotypes that are changed by the cultural values emphasized by organizations focusing on the cultural fluidity of gender stereotypes. We selected a domestic food company as a case study to identify gender stereotypes and discriminatory impact on women. As a result of qualitative research and Word2Vec analysis about interview, the content of gender stereotypes fluidly changed. Women have changed from ‘beings who provide emotional support’ to ‘beings who need emotional support’. This perception reinforced women undermine work efficiency. Compliance, which was negatively applied to women, is perceived as loyalty to men, and non-compliance, which was applied positively applied to men as activeness, is perceived as an expression of complaint to women. It suggests the contents of male stereotypes are fluidly constructed as the most valuable in the organization. Contrasting assignment of cultural values leads to distinct perceptions that men are ‘easy to work with’ and women are ‘inconvenient to work with’. Gender stereotypes were reinforced when they were associated with marriage and managerial status. Thus, this study shows that an organization’s cultural values fluidly determine the contents of gender stereotypes, and the gender stereotypes are used to maintain superiority and inferiority between males and fema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