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가족과 열린공동체

        권용혁(Kwon, Yong-hye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5 사회와 철학 Vol.0 No.29

        이 글에서 논자는 다문화가족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열린 국가정체성을 고찰하고 있다. 2장에서는 한중, 한일 다문화가족의 심층인터뷰 내용을 통해 그 구성원들의 자아정체성과 국가정체성이 혼성화되어 있음을 밝힌다. 그 혼성적 정체성은 두 문화와 국가가 하나의 가족 안에서 섞이면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정체성은 하나의 닫힌 국가정체성만으로는 정확히 포착되지 않는다. 오히려 두 국가 정체성이 중첩화된 중첩국가와 중첩국가 시민을 상정할 때 이 정체성은 적절하게 이해된다. 3장에서는 이 중첩성을 기반으로 한국인의 정체성과 한국사회의 국가주의, 민족주의 관(觀)에 포함된 배타성, 폐쇄성을 반성하고 그것을 보다 열린 공동체적 형태로 재구성하고 있다. 논자는 두 문화와 국가가 중첩되어 있는 공간으로 상정된 중첩국가와 그 구성원인 중첩시민을 제안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보다 개방적인 국가정체성과 공동체상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매개로 세계시민과 세계시민공동체의 모습도 구체화될 수 있다는 점도 논술하고 있다.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open national identity based on the identity of multi cultural family.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multi cultural families of Korean-Chinese and Korean-Japanese, it is found out in Chapter 2 that personal identity of the family members is mixed with two national and cultural identities. This hybrid identity is not accurately detected with one closed national identity. It can be understood by introducing overlapped countries and overlapped citizens of two national identities. In Chapter 3, exclusiveness and shutdown of Koreans that underly in democracy and ethnicity of Korean society and Korean identity are criticized based on the overlappingness and reconstruct them in the form of m ore open community. In other words, the author presents ‘overlapped countries’ introduced as overlapped spaces for two cultures and countries as well as ‘overlapped citizens’ and suggests more opened national identity and community based on them. In addition, it is discussed that idea of world civic society and world citizen can be materialized by using it as a medium.

      • KCI등재

        열린공동체주의 : 국민국가 이후의 공동체론 모색

        권용혁(Kwon, Yong-Hye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5 사회와 철학 Vol.0 No.30

        이 글은 국민국가를 넘어서서도 작동될 수 있는 공동체론을 모색하고 있다. 논자는 우선 재일코리안과 다문화가족의 사례를 들어 국민국가 정체성의 한계를 지적한다. 덧붙여 이들이 제안한 국민국가를 넘어서는 대안들을 정리하고 재해석한다. 논자는 이들 사례를 바탕으로 두 국가가 중첩되는 공간을 상정하고 그것을 중첩국가라 지칭했으며 그 구성원들을 중첩시민이라고 규정한다. 그 다음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공동체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친밀성과 연대성의 관계를 재구성한다. 논자는 이 둘을 상호보완적으로 연계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논자는 국민국가를 넘어서서도 작동될 수 있는 새로운 틀로서 열린공동체주의를 제안하고 정당화하고 있다. This article seeks community theory that can be operated beyond nation. The writer points out limitation of identity of nation as an example of Koreans living in Japan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 addition, alternatives they have suggested are organized and re-interpreted. The writer presumes logical space that two nations are overlapped, which he or she names overlapped nation and the members of the nation are overlapped citizens based on these examples. Nex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losed and exclusive communities, relations of intimacy and solidarity are reorganized. The writer connects these two complementarily. Based on this, the writer suggests and justifies open communitarianism as a new frame that can be operated beyond nation.

      • KCI등재

        한국 근대가족에 대한 철학적 성찰

        권용혁(Kwon Yong-Hyek)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1 사회와 철학 Vol.0 No.22

        What I wanted to discuss in this paper was that a unique family model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nge of Korean family, not the western-style family model, is possible. To make this happen, I have positively interpreted the complex situations faced by Korean family in the stream of modern age. I also put forth my hope that such an interpretation could become a general model not only for Korea but also on the international level - especially for countries that are late starters in a race toward democracy. I wished to emphasize in this paper that all theories have to be reorganized in relation to their suitability for reality. Family theories are no exceptions. This is because experts attempting to theorize Korean family will have to organize and reinterpret their theories through constant dialogues with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Korean family. Thanks to the previous accomplishments of putting together this historical trajectory, I was able to put forth my arguments. My assertion stressing reflection needs to be substantiated by embracing specific issues. This might be an inherent limitation of a philosophical argument, and such argument will have to be supplemented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Nevertheless, the structure of philosophical argument on family has its own merits. That is, solutions to the discontinuance and discrepancy between reality and theory can be reorganized with the consistency of an argument. When theory becomes powerless in reality and when theory is estranged from reality, philosophy will once again prepare for the return of theory to reality. As if the solution is possible.

      • KCI등재

        개인과 공동체

        권용혁(Kwon Yong-Hyek)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2 사회와 철학 Vol.0 No.23

        In this paper I have discussed a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I have analyzed the process where the relationship of them was developed actually. After that, I searched the possibility to get the better relationship between them. At first, I arranged the merit and demerit of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The issue between these two theories is different philosophic interpretation about an individual identity. I evaluated th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theory of communications community. I handled the problem of complex identities in second place which the members of the Korean-Chinese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keep in themselves. In the base of this instance I revealed the overlapped complex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and examined the complexity of their personal identities. Lastly on the base of this complex and multilayered structure of the community, I conceptualized the features of open-universalizable communitarianism in a postnational state with a case of residing Korean in Japan. 이 논문은 개인과 공동체 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이 논문에서 논자는 이것이 현실적으로 전개되는 과정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보다 나은 관계를 설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논자는 이를 위해서 먼저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장단점을 정리한다. 여기서의 쟁점은 개인의 정체성에 대한 상이한 철학적 해석이다. 논자는 이 해석을 보편화가능한 의사소통 공동체이론에 의거해서 평가한다. 다음으로 한중 국제결혼 가족의 구성원들이 지니고 있는 복합 정체성의 문제를 다룬다. 논자는 이 사례를 기반으로 개인과 공동체 사이에 형성된 중층적이고 복합적인 관계를 밝히고 개인 정체성의 복합성을 규명한다. 마지막으로는 재일코리안의 사례를 기반으로 개인과 공동체 간의 이러한 복합적, 다층적 구조를 국민국가 이후의 열린 공동체의 모습과 연관 지어 재구조화 한다.

      • KCI등재

        개인과 가족

        권용혁(Kwon Yong-Hyek)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1 사회와 철학 Vol.0 No.21

        논자는 이 글에서 정상적인 학문의 길을 걷는, 세상과 정상적으로 소통하는 한 방법으로서, 가족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시도하고 있다. 20세기 한국의 가족이 처해 있던 특정한 역사적 ·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고 일반 가족 이론의 수준에서 그 특수성을 비교 · 분석 · 평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논자는 20세기형 모방적 학문정체성 및 자아정체성 구성에 안주하지 않고 스스로 생각하는 정상적 철학함의 장이 그리고 자율적 자아정체성 구성의 장이 가능함을 논변하고 있다. 논자는 2장에서의 논의를 기반으로 한국의 가족 문제에 대한 사회철학적 논점을 가설적인 형태로나마 제안하고 있다. 그것은 한국의 가족의 독특성을 복합적 성찰성으로 볼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한국 가족과 사회를 더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는 중첩적 복합적 개념틀을 제안하고 있다. 논자는 자유주의/공동체주의, 개인/공동체, 사적 영역/공적 영역이라는 이분법을 한국 가족 및 개인에게 적합하게 적용하기 위해서 최소한 오분법으로 세분화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가설적인 제안은 앞으로 정교화해 갈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가 한국의 사회철학이 정상적인 학문의 길로 들어서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이해되었으면 한다. I have introduce in this paper 5 Theses. First, the Korean family has been forged through a compressive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eriod - a so-called “reiteration (or overlapping complexity) of tradition and modern times” ? which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peculiar complex nature of the modern family. Compared with Western Europe, the family members of Korea have been affected by this “reiteration resulting in a composite and multi-layered characteristic”. Second, the model, indigenous of a modernization strategy, leads to accommodating and the imitation of Western theory. With industrialization, a case in point specifically unique to Korean history, simultaneous attainment of the successful circulation relationships of democratization shapes society to reflect, philosophically, “a good circulation based on complex reflection characteristic”. Within the parallel objectives of achieving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a complex relationship unveils the situation ? “reiteration and composite”. Third, within the family community of Korea, there is an attempt at reconstitution - the relationship of the individual, relative to the whole, revolves around the Western and the local community. This case will analyze the Korean family with respect to time; the liberalistic large community fractionates with (1) liberalism, (2) communitarian liberalism, (3)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4) liberalistic communitarianism, and (5) communitarianism. Fourth, in the nations advancing the late start modernization/industrialization the situation of family is quite similar to Korea. The model of the Korean family theory will be able to provide an actual persuasive Model for the late start capitalist countries in Latin America, Asia, Africa and east Europe. This model could be another new one, which is more acceptable and correspondent in the not-West European countries. Fifth, Korean society is closed and nepotism in its relationship, which is supported by the closed familial relationship. For examples, parents sacrifice only for the family. They have no concerns on the others. Nepotism cannot escape such a family’s egoism; this tendency is antisocial towards another family and others. A plan which overcomes this dilemma is necessary. The 21st century listens from this point and there is a necessity to be aware of the ever-evolving world of human relations. With advanced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infrastructure from Korea, the new cyber community, on multiple levels, is changing the norms and traditions of human relations.

      • KCI등재

        한국의 가족주의에 대한 사회철학적 성찰

        권용혁(Kwon, Yong-Hye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3 사회와 철학 Vol.0 No.25

        이 논문은 첫째, 논자는 한국 가족주의의 특성을 시기별로 구분해서 개념화하고 있다.(2장) 둘째, 한국 가족주의의 근현대적 변화의 경향을 분석․개념화하고 있다.(3장) 셋째, 가족주의의 내용변화를 중심으로 그 변화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덧붙여 그 변화의 규범적 지향점을 논증적으로 정당화하고 있다.(4장) First, I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amilism along different time periods and then conceptualized it. (Chapter 2) Secondly, modernistic changes in Korean familism are analyzed and conceptualized. (Chapter 3) Thirdly, the direction of transition is suggest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fundamental concept of Korean familism. In addition,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familism"s normative aims are argumentatively justified. (Chapter 4)

      • KCI등재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권용혁(Kwon, Yong-Hye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3 사회와 철학 Vol.0 No.26

        이 글은 한국 근대가족을 공과 사 개념에 의거해서 분석하고 있다. 한국 근대가족은 서구나 동양에서 개념화된 공/사 영역에 대응하는 내용을 그 안에 복합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근대 가족은 특정한 하나의 이론에 의거해서 설명되지 않는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공과 사 개념을 이러한 복합적 현실에 의거해서 재구성하고 있다. 서구에서뿐만 아니라 동양에서도 공과 사 개념은 사회 현실의 변화에 따라 재해석되어 왔다.(2장) 이러한 논점은 한국 근대 가족을 고찰할 경우에도 적용된다. 한국 근대 가족도 그 빠른 변화에 맞추어 그 해석 틀을 변경해왔다.(3장) 이를 통해 논자는 한국의 가족 및 가족주의가 복합적인 구조로 되어있으며 이에 대한 복합적인 성찰이 요구된다는 점을 논증한다. 4장에서는 이러한 복합적 모습을 보다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틀을 제안하고 있다. 이 작업은 사유 실험적이기에 많은 보강이 필요하겠지만, 그것이 현실 사태의 변화를 보다 잘 포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안적 가치를 지닐 것이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expound Korean modern family based on its notions within the public sphere and the private sphere. The Korean modern family is complicated in nature, having to cope with spheres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which are well established in the West as well as in the East. Therefore, it can hardly be explained by sticking to one specific theory. This is the reason why I have tried to reconstruct the existing “public” and “private” notions of Korean modern family, choosing to focus on its compound reality. As an advocate posits in Ch. 2, the notions regarding the public and the private have been constantly reinterpreted in both the East and the West. There is no reason that this trend should not be applied to the study of the modern Korean family as well. In fact, this very approach is subsequently explored in Ch. 3. Here, I stress the compound structure of family, or the “family culture,” in modern Korean society and argue for the need to take this complexity into consideration. In Ch. 4, I propose a new conceptual paradigm by which the complexity of the Korean modern family can be properly explained. I am well aware that my proposal is still in its experimental stages and requires further support and verification. However, I am confident in its worthiness as an alternative account that can aid in better understanding the rapid dynamism of the social reality of the Korean modern society.

      • KCI등재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권용혁(Kwon, Yong-Hye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8

        이 글은 한국 근대 개인과 공동체의 변화상을 기반으로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재해석하고 있다. 기존의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는 서구 근대를 그 바탕으로 하고 있어 한국사회를 해석하는 틀로 사용할 수 없는 많은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이 글에서 논자는 한국 가족 구성원의 ‘개인화’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재해석한다.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는 이 재해석을 위해 도입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이념을 중심으로 현실을 해석하는 작업을 하는 것이 아니다. 거꾸로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기초로 열린 공동체주의라는 새로운 해석 틀을 제시하고 있다. 이 논점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논자는 2장에서는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한국 근대의 흐름 속에서 정리한다. 3장에서는 구성원들이 점점 더 개인화되고 있는 한국 가족 및 가족주의의 변화된 모습을 중심으로 기존 서구의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를 재해석한다. 마지막으로 결론부에서는 가족 공동체에서 작동되고 있는 정서적 친밀성과 사회적 연대성의 상호 연관 관계를 탐구한다. 그리고 열린 공동체주의를 중심으로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재구성하고 있다. In this thesis was re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y on the basis of the change of Korean moder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he conventional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are based on the modern West. Therefore, they have many problems when being used as a tool of analyzing the Korean society. In this thesis, I analyze the ‘individualization’ process of Korean family members, and thereby reinterpret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y.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are introduced for the reanalysis. Therefore, this thesis is not aimed at analyzing the reality based on ideas, but suggests a new analysis tool of open communitarianism on the basis of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y.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points, in chapter 2, I describe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y in the flow of the modern Korea; in chapter 3, reanalyze the conventional western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by focusing on the changed features of Korean families whose members become more individualised and of familism; in the chapter of conclusion, explore the inte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imacy and social solidarity which run in family community, and reconstruct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y on the basis of open communitarianism.

      • KCI등재

        국민국가 시대의 민주주의: 가족을 중심으로

        권용혁(Kwon, Yong Hye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7

        한국 가족의 경우 기존의 폐쇄적이며 배타적인 가족주의가 약화되고 있다. 한국 사회가 실질적으로 민주화되면서 가족도 민주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가족의 민주화와 사회의 민주화가 선순환적으로 작용한다고 파악한다. 따라서 한국 가족이 변화하고 있는 모습을 바탕으로 한국의 미래지향적인 민주주의의 형태를 구상할 수 있다고 본다. 개인주의와 개인화가 정착된 서구적 가족 상황과는 달리 한국 가족에 있어서는 구성원들의 개인화가 강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동체적 유대감이 함께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 가족의 특성을 바탕으로 논자는 개인과 공동체를 함께 고려하는 민주주의의 모습을 그려보고 있다. 논자는 친밀성과 연대성의 보완을 통해서 한국 민주주의의 규범적인 모습이 열린 공동체주의적 연대의 형태를 띨 가능성이 있음을 논증하고 있다. In case of Korean family, existing closed and exclusive familism has been weakening. For the family has been democratized as Korean society has been democratized substantially. In this paper, the writer comprehends the democratization of family and the democratization of society work in a virtuous circ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futureoriented form of democracy in Korea on the basis of the situation that Korean family has been changed. Unlike the situation of western family situation which individualism and individualization settled, the communal fellowship exists along with Korean families in spite the reinforcement of the individualization of family members. On the basis of these characteristics of Korean family, the writer constructs the scene of democracy to consider individuals and community together. The writer demonstrates that it would be possible the normative situation of Korean democracy would have a form of open communitarian solidarity through supplementation of intimacy and solid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