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완전 코눈물관막힘이 있는 성인 환자에서 실리콘관 삽입술의 장기효과

        권용혁,이용재,Yong Hyuk Kwon,Yong Jae Lee 대한안과학회 2008 대한안과학회지 Vol.49 No.2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long-term follow-up of silicone tube intubation in patients with acquired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NLDO) that is incomplete.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outcomes of silicone intubation performed between 1998 and 2003. During that period, we performed silicone intubation on 109 eyes, but only 45 eyes that completed at least 6 months of follow-up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Result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0.4 months (6~76 months), and silicone tubes remained in place an average of 6.5 months (1~18months). The success rate, which is defined as the improvement of epiphora symptoms with patent nasolacrimal irrigation. Conclusions: Silicone tube intubation is a simple, cost-effective, and beneficial treatment for patients, but the recurrence rate increases over time, especially several years after the operation.`

      • KCI등재

        한국 근대가족에 대한 철학적 성찰

        권용혁(Kwon Yong-Hyek)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1 사회와 철학 Vol.0 No.22

        What I wanted to discuss in this paper was that a unique family model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nge of Korean family, not the western-style family model, is possible. To make this happen, I have positively interpreted the complex situations faced by Korean family in the stream of modern age. I also put forth my hope that such an interpretation could become a general model not only for Korea but also on the international level - especially for countries that are late starters in a race toward democracy. I wished to emphasize in this paper that all theories have to be reorganized in relation to their suitability for reality. Family theories are no exceptions. This is because experts attempting to theorize Korean family will have to organize and reinterpret their theories through constant dialogues with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Korean family. Thanks to the previous accomplishments of putting together this historical trajectory, I was able to put forth my arguments. My assertion stressing reflection needs to be substantiated by embracing specific issues. This might be an inherent limitation of a philosophical argument, and such argument will have to be supplemented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Nevertheless, the structure of philosophical argument on family has its own merits. That is, solutions to the discontinuance and discrepancy between reality and theory can be reorganized with the consistency of an argument. When theory becomes powerless in reality and when theory is estranged from reality, philosophy will once again prepare for the return of theory to reality. As if the solution is possible.

      • KCI등재

        열린공동체주의 : 국민국가 이후의 공동체론 모색

        권용혁(Kwon, Yong-Hye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5 사회와 철학 Vol.0 No.30

        이 글은 국민국가를 넘어서서도 작동될 수 있는 공동체론을 모색하고 있다. 논자는 우선 재일코리안과 다문화가족의 사례를 들어 국민국가 정체성의 한계를 지적한다. 덧붙여 이들이 제안한 국민국가를 넘어서는 대안들을 정리하고 재해석한다. 논자는 이들 사례를 바탕으로 두 국가가 중첩되는 공간을 상정하고 그것을 중첩국가라 지칭했으며 그 구성원들을 중첩시민이라고 규정한다. 그 다음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공동체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친밀성과 연대성의 관계를 재구성한다. 논자는 이 둘을 상호보완적으로 연계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논자는 국민국가를 넘어서서도 작동될 수 있는 새로운 틀로서 열린공동체주의를 제안하고 정당화하고 있다. This article seeks community theory that can be operated beyond nation. The writer points out limitation of identity of nation as an example of Koreans living in Japan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 addition, alternatives they have suggested are organized and re-interpreted. The writer presumes logical space that two nations are overlapped, which he or she names overlapped nation and the members of the nation are overlapped citizens based on these examples. Nex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losed and exclusive communities, relations of intimacy and solidarity are reorganized. The writer connects these two complementarily. Based on this, the writer suggests and justifies open communitarianism as a new frame that can be operated beyond nation.

      • KCI등재

        한국의 근대화와 근대성

        권용혁(Kwon Yonghye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7 사회와 철학 Vol.0 No.34

        논자는 이 글에서 근대화를 서구화로 근대성을 서구근대성으로 파악하는 서구중심주의를 비판한다. 그 대신 논자는 전통 속의 근대를 복원하는 작업을 시도한다. 근대의 원래 의미인 ‘지금, 이곳’에서 작동되고 있는 주요 특징들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근대성 탐구는 그 특징의 역사적 기원을 포착하고 재해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논자는 그 역사적 사례로 계의 조직 원리인 개체성의 원리, 평등성의 원리, 합리성의 원리를 들고 있다. 과거제도와 관료주의 그리고 문치 중심의 중앙집권화 등도 한국 근대의 특징을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들이다. 한국의 근대는 이러한 역사적 근대와 식민지적 근대 그리고 미국적 근대가 중층, 중첩, 혼성화 되어 있는 복합적 사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역사적 경로로 인해 한국의 근대화와 근대성은 독자적인 특성을 지닌다. 이를 논자는 ‘복합근대’라고 개념화한다. 논자는 한국 근대의 특징이 다른 국가와 지역에서 다양하게 구성된 다원적인 근대의 특징들과 동등한 지위를 갖는 것으로 파악한다. 논자는 이러한 다원적 근대성들이 공론장에서의 성찰적인 논박과 논증을 통해 보다 보편적인 모습으로 구성될 수 있는 틀로서 ‘열린 공동체주의’를 제안한다. In this paper, the author criticizes Westerncentrism, which sees modernization as Westernization and modernity as Western modernity. Instead, the writer attempts to restore the modernity within the tradition. It is important objectively to grasp the main features that are operating in the original meaning of modern, ‘here and now’. Because the quest for modernity is to capture and reinterpret the historical origin of its features. As a historical example, the writer holds the principle of individuality, the principle of equality, and the principle of rationality in the gye(계, 契). The system of state Examinations, bureaucracy, and centralization of power in Joseon Dynasty etc. are historical example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 The modernity of Korea is composed of a complex situation in which such historical modernity, colonial modernity and american modernity are multilayered, overlapped and hybrided. Due to this historical path, Korea has its own characteristics of modernization and modernity. This writer conceptualizes it as a ‘complex modern’. The author recogniz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Korea have the same status as the pluralistic modern features of various countries and regions. The author proposes ‘open communitarianism’ as a framework in which these pluralistic modernities can be reconstructed more universally through reflective refutation and argumentation in the public sphere.

      • KCI등재

        근대성 탐구

        권용혁(Kwon, Yong-hye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6 사회와 철학 Vol.0 No.32

        논자는 이 글에서 한국 가족을 소재 삼아 한국 근대의 특징을 정리하고 있다. 서론에서는 서구 근대의 진행과 한국 및 동아시아의 근대의 진행이 다름을 밝히고 있다. 2장에서는 근대화와 가족주의, 가족과 가족주의의 시대적 변화 양상을 정리하고 있다. 이 장에서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 그리고 개인주의가 주도한 서구 근대의 진행과는 달리, 한국사회에서는 근대화와 가족주의가 함께 강화되어왔음을 지적하고 있다. 3장에서는 근대 한국의 가족과 가족주의의 변화 내용을 정리하고 있다. 20세기 후반 한국에서는 산업화, 민주화, 지식정보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이로 인해 한국의 가족과 가족주의도 전통적인 것, 근대적인 것, 현대적인 것 등이 섞여 복합적인 형태를 띠고 있음을 논자는 밝히고 있다. 이러한 한국 근대 가족이 처한 복합적 사태를 고려한 철학적 성찰이 필요함을 논증한다. 이 사태는 서구 근대 가족이론만으로는 포착되지도, 설득력 있게 해석되지도 않는다. 그것은 독특한 자체 변화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논자는 이 논점을 통계를 통해 보강하고 있다. 결론부인 4장에서는 이러한 현실진행을 소재로 삼아 한국인의 삶과 사유의 특징을 보여주는 몇몇 철학적 개념들과 논점들을 제안하고 있다. In this paper, the author summarizes the features of modern Korea based on the subject of Korean fam ilies. The introduction reveals that the progress of Western modernity and that of Korea and the East Asian modernity are different. Chapter 2 summarizes the chronological changing traces of modernization and familism, family and familism. This chapter points out that modernization and familism have been enhanced in the Korean society, unlike the progress of Western modernity led by individualism and personal freedom and rights. Chapter 3 summarizes the changes in family and familism in modern Korea. In the late 20th century, industrialization, democratization, knowledge based informationization were conducted speedfully in Korea. The author says that family and familism of Korea also shows the complex form by the mixed form of traditional things, modern things, contemporary things. It is demonstrated that the philosophical reflection considering a complex situation Korean modern families faced is needed. This situation is not captured nor interpreted convincingly only by Western modernity family theory. Because it shows its own unique changing pattern. The author reinforces this point through the statistics. The conclusion, Chapter 4 proposes some philosophical concepts and issue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life and reason of Koreans with this reality progress as a subject matter.

      • KCI등재

        가족과 열린공동체

        권용혁(Kwon, Yong-hye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5 사회와 철학 Vol.0 No.29

        이 글에서 논자는 다문화가족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열린 국가정체성을 고찰하고 있다. 2장에서는 한중, 한일 다문화가족의 심층인터뷰 내용을 통해 그 구성원들의 자아정체성과 국가정체성이 혼성화되어 있음을 밝힌다. 그 혼성적 정체성은 두 문화와 국가가 하나의 가족 안에서 섞이면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정체성은 하나의 닫힌 국가정체성만으로는 정확히 포착되지 않는다. 오히려 두 국가 정체성이 중첩화된 중첩국가와 중첩국가 시민을 상정할 때 이 정체성은 적절하게 이해된다. 3장에서는 이 중첩성을 기반으로 한국인의 정체성과 한국사회의 국가주의, 민족주의 관(觀)에 포함된 배타성, 폐쇄성을 반성하고 그것을 보다 열린 공동체적 형태로 재구성하고 있다. 논자는 두 문화와 국가가 중첩되어 있는 공간으로 상정된 중첩국가와 그 구성원인 중첩시민을 제안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보다 개방적인 국가정체성과 공동체상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매개로 세계시민과 세계시민공동체의 모습도 구체화될 수 있다는 점도 논술하고 있다.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open national identity based on the identity of multi cultural family.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multi cultural families of Korean-Chinese and Korean-Japanese, it is found out in Chapter 2 that personal identity of the family members is mixed with two national and cultural identities. This hybrid identity is not accurately detected with one closed national identity. It can be understood by introducing overlapped countries and overlapped citizens of two national identities. In Chapter 3, exclusiveness and shutdown of Koreans that underly in democracy and ethnicity of Korean society and Korean identity are criticized based on the overlappingness and reconstruct them in the form of m ore open community. In other words, the author presents ‘overlapped countries’ introduced as overlapped spaces for two cultures and countries as well as ‘overlapped citizens’ and suggests more opened national identity and community based on them. In addition, it is discussed that idea of world civic society and world citizen can be materialized by using it as a medium.

      • KCI등재

        민주주의 탐구 - 가족을 중심으로

        권용혁(Kwon Yong-Hyuk)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4 사회와 철학 Vol.0 No.7

        근대적인 핵가족은 부부간의 사랑과 가족 구성원 사이의 친밀감에 의해서 가족 구성원들에게 휴식을 제공하고 삶의 원동력을 부여하는 기본단위로 간주되어왔다. 그 결과 가족 구성원들의 상호 배려와 인격체로서의 존중 등의 민주주의적 덕목들은 그다지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았다. 그러나 현재는 근대적 핵가족의 이데올로기로는 포착할 수 없는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통계 수치만을 보더라도 출산율이 세계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결혼 대비 이혼율이 서구 사회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설문 조사 내용을 보더라도 세대별, 성별 편차가 두드러지며 따라서 사회의 변화가 역동적일 것임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따라서 변화하고 있는 구체적인 사안들에 대한 해결책도 기존의 논점에 의거해서 모색하는 것보다는 가족의 앞으로의 변화 방향을 고려하면서 모색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일 것이다. 이혼의 경우를 예로 들어도 현재는 이혼 사유가 부부간의 사랑이나 상호 배려와 상호 이해 등이 주류인데, 이는 기존의 권위주의나 부부 역할 분담의 논리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것으로서, 오히려 가족 구성원들이 인격적이며 수평적인 관계를 더 중요하게 고려하면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것이 더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에서 가족 문제는 사적인 영역에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어야 하며, 사회의 변화와 연관지어 파악되어야 한다. 이처럼 가족 구성원 각자의 권리와 행복이 전면에 부상하고 있으며, 여성의 사회 참여로 인한 역할 분담의 변화, 사회복지 제도의 정착으로 인한 가족의 역할 변화 등으로 인해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가 보다 수평화되고 있는데, 이는 가족과 사회를 분리된 영역으로 보지 않는 시각의 변화(말하자면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상호 영향력 증가)의 일상화로 파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앞으로의 사회 변화 방향을 염두에 두면서 가족의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들을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또한 가정과 사회의 상호 연관성을 고려한다면 사회의 실질적 민주화의 맥락에서 가정의 민주화를 보아야 하며, 사회의 민주화를 위해서는 공론장에 참가하는 사적 개인들이 길러지는 장소로서의 가정의 중요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가정에서의 민주화와사회의 민주화를 함께 고찰해야 한다는 점과 이 과정에서 서구와는 달리 한국의 가정에서의 역동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The modern nuclear family, consisting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was based on the love of married couples and the intimacy of family members. As its result, the main concerns were not the democratic values such as tolerance of each other and respect for one's personality. In a change of social circumstances, the ideology of the modern nuclear family has presented a lot of problems which are not explainable. Korean society is facing the challenges such as the increasing divorce rate and the lowest birthrate in the world. Our survey study found the generation gap and the sex differences in the value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explain the dynamics of Korean society. For these reasons, we need to consider the family matters as social problems beyond private spheres and to understand to what extent they are related to social changes. As the number of working women increases and the social welfare system provides supports and services to people at various stage of our lives, gender and family roles have been changed a lot. We also get more and more concerned with the right and happiness of each family members. So, we need to solve family problems in the direction of such social changes. Also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of family with society, on the one hand we need to understand family matters in the context of substantial democracy of a society, on the other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family as the role of raising private individuals who are to take part in the public sphere. This article stresses that we need to be more concerned about the democratization of the family and the society. It also emphases that we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dynamics of Korean families which contrasts with that of Western ones, when researching on the Korean family.

      • KCI등재후보

        정보화 시대의 지식과 정보

        권용혁(Kwon Yong-Hyek)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4 사회와 철학 Vol.0 No.8

        이 글은 빠른 속도로 정보화되는 사회의 변화로 인해서 발생하는 문제들 중 철학적으로 다룰 수 있는 몇 가지 논점에 대해 필자 나름대로의 평가를 내린 글이다. 특히 인터넷의 보급으로 얻게 된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편리함과 더불어 나타나는 무단 복제, 해킹, 네티켓 무시, 인터넷 중독 등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에 대한 철학적 해명을 시도하고 있다. 이들이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정보의 폭증과 이에 따른 개인의 자율적인 판단 능력의 약화를 가장 근원적인 것으로 들 수 있다. 정보화가 진행되고 우리가 컴퓨터를 매개로 작업을 하면 할수록 그만큼 더 우리의 정신이 피폐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우리의 앎이 직접경험에서 간접경험으로 바뀌면서, 체험보다는 정보 및 기호에 의존하면서 우리는 우리 몸과 연결되어 있는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을 잃어만 간다. 가상공간의 발달로 인한 모든 것의 표면화, 투명화, 점멸화 등도 개인이 숨쉴 수 있는 공간을 남겨두지 않음으로써 전통적인 사적인 영역을 축소, 소멸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적 영역에서 독자적인 사유와 욕망, 행복 등이 추구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사적 영역은 보장되고 보호되어야 한다. 그것은 오히려 개개인의 자율적인 사유 능력과 판단 능력이 길러지는 모태로서 파악되어야 한다. 따라서 필자는 폭증하는 정보를 요리하고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내고 그 의미를 설득력 있게 부여할 능력을 지닌 지혜인이 되려면 개개인의 사적인 영역을 인정하고 그 안에서 사유력을 강화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data-based informations and philosophical thought. In this Information-Age, it is easy to misunderstand the raw-informations as the knowledge in general.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distinguish these two concepts clearly. The flood of diverse informations in the cyberspace, which we meet on the computer-screen and accumulate in the database for our knowledge, used to prevent us from thinking autonomously. It is because they have their own unique logic (the logic of hyperreality), which is totally different from our ordinary logic of thought. If we concentrate on the surface-logic of informations given in the cyberspace, it is possible to lose our identity, and to be submitted to the logic of cyberspace and especially of hypertext. In order to rehabilitate the power of self-based-thinking we have to conserve and enlarge our private sphere, and promote the individual motives of thinking and acting in this area. This position will be the right alternative to live ourselves as our own master in this Information-Age.

      • KCI등재

        아시아적 가치 논쟁 재론

        권용혁(Kwon Yong-Hyek)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5 사회와 철학 Vol.0 No.9

        이 글에서는 기존의 아시아적 가치 논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아시아적 가치는 동아시아 문화권의 유교적 가치 규범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재해석하여 형성된 것인데, 아시아적 가치에 대한 평가는 대개 경제적 발전 상황에 따라 긍정적으로 내려지기도 하고 부정적으로 내려지기도 한다. 이처럼 경제 상황에 의거해서 시도되는 찬반 논점은 아시아적 가치를 독자적인 학적 영역으로 간주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다만 현상을 설득력 있게 설명할 수 있는 도구적 개념으로 이용하고 있음을 이 글에서는 밝히고 있다. 따라서 이것은 아시아지역 전체를 대변한다는 의미에서의 아시아적 가치가 아니라 선택적으로 강조된 동아시아적 가치의 일부분을 특정 시점에서 재해석한 것들이다. 게다가 자본과 정보가 세계화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는 유교적 가치 중 일부를 재해석하는 방식으로 전개된 기존의 아시아적 가치 논쟁은 그 설득력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점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논점이 옳다면, 보다 자립적이며 설득력이 있는 객관적인 형태의 동아시아적 가치를 미래지향적으로 설정하고 생산적인 논쟁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이를 위해 한 · 중 · 일 3국의 가족 및 기업 구성원들에게 행한 최근의 설문조사 결과를 예로 들고 있다. 그리고 결론부에서는 시론적으로나마 현실에 적합한 새로운 동아시아학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것은 동아시아인의 공존과 번영을 담보할 수 있는 정치철학적 방안을 담고 있다. Asian values have been extolled for their contribution to the miracle of Asian economic development and censured for their role in Asia´s financial meltdown. This article is to examine critically the debat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sian values and the regions´s capitalist development. The rhetorics about Asian values which tend to relate to Asia´s varied economic performance have not been used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to provide little explanation for the context of a dynamic and evolving process of international norm-setting, bearing in mind the significance of national and regional peculiarities and various historical, cultural, and religious backgrounds. They often have been used as a tool to describe the phenomena which happen at specific times and places. However, the cultural diversity of Asia is too great for there to be a single set of common values across the region, especially under the situation that both capital and information has been being globalized. Taking into account the presence of such cultural complexity, we conducted the field researches in Korea, China, and Japan to reinforce strongly the image of cultural complexity in the East Asian region. The observations made in the public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hich focus not only on day-to-day family life and practical experiences in enterprises but also on the broad influence of, and contest between, cultural traditions, also provide some critical evidence of a coherent value system across the region. This attempt includes the wishes of political philosophers to promote East Asian consciousness and to enunciate a code of East Asian values for the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of East Asian countries in a future-oriented manner.

      • KCI등재후보

        세계화 시대의 보편화 가능성 탐구

        권용혁(Kwon Yong-hyek)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6 사회와 철학 Vol.0 No.12

        세계가 하나의 문명으로 결속되고 있으며 지구촌이 시공간을 뛰어넘어 하나의 공동체화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논점은 경제 중심의 일차적 세계화 질서에 대응하는 대안으로서 세계질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차적 세계화 질서를 구성할 필요성을 제공한다. 이 글에서는 세계화 현상에 대한 철학적 정당화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 정당화는 선험화용론에서 제시한 의사소통 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 보편적으로 타당한 정의의 원칙은 필연적으로 이미 항상 논증하는 모든 사람들을 무제한적인 의사소통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상정한다. 그 원칙은 이런 의미에 있어서 특정한 공동체의 구성원들에게 뿐만 아니라, 모든 가능한 의사소통 당사자와 관련해서 인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그것은 엄격한 의미에 있어서 모든 문화전통과 관련해서 그리고 또한 모든 좋은 삶이라는 개인적인 구상과 관련해서도 비당파적이다. 이 글에서는 의사소통 공동체 이론과 선험적 공동체주의는 이러한 틀을 만드는데 있어 매우 설득력 있는 철학적 방안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을 논증하고 있다. 세계시민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그 공동체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으로서 생존권과 평등한 권리를 부여한 논점은 정당화 가능하며 현실적인 적실성도 겸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이론에 비해 변별력을 갖고 있다. As world markets become more and more integrated into a single global market, human lifestyle and way of life are getting similar. So, we need to extend our focus beyond markets to better understand a community of global civilisation. In this paper, I identify the negative effects resulted from the first order of globalization with emphasis on economic globalization, and then suggest the second order of globalization as an alternative for the first one. The second order of globalization functions in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the first one. I try to address the philosophical justification of globalization. This philosophical justification is made with focus on the transcendental pragmatics based on the theory of communication community. According to the theory of communications community, transcendental communitarianism presents world citizens as the members of communications community. The members are granted equal rights and qualification. It means that world citizens are guarnated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cations community with no limitation. Based on this logic, the theory of communications community sets up the conditions for the community of world citizens. The philosophical justification gives birth to the universally valid principles of justice. From the viewpoint of transcendental communitarianism, the theory of communications community not only acknowledges the diversity of cultural tradition, but also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maintaining the universal principles. So, the theory provides a guidline for forming a community of world citizens beyond the first order of glob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