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WCDMA 역방향 링크에서 다중속도 트래픽에 따른 음성/데이터 얼랑용량 계산과 셀 커버리지

        권영수,한태영,김남,Kwon, Young-Soo,Han, Tae-Young,Kim, Nam 한국전자파학회 2004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5 No.4

        A scheme to evaluate the number of users and cell coverage of a WCDMA supporting multi-rate traffic is newly presented through calculation of the realizable Erlang capacity from a derived blocking probability and the path loss from the COST231 Walfisch-Ikegami(W) model. We evaluate the voice-data Erlang capacities at various data rates of 15 kbps to 960 kbps and it is shown that they have a linear relationship to each other. When the E$\_$b//N$\_$o/ is low from 4 ㏈ to 3 ㏈ in case of voice capacity of 50 Erlang at 8 kbps, the result shows the increase for the data capacity of 10 Erlang and the enlargement of 100 m for the cell coverage at low rate of 15 kbps, and the increase of 0.11 Erlang and the enlargement of 40 m at high rate of 960 kbps. The increase of the blocking probability results in the increase of the Erlang capacity, but not an effect on the cell coverage, and the increase of active users in a cell results in the decrease of the coverage. 음성과 데이터를 동시에 다양한 전송속도로 서비스하는 불완전 전력제어된 WCDMA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에서 사용자 수 분포도에 따라 유도한 차단확률로부터 얼랑용량을 계산하고, COST231 WI(Walfisch-Ikegami) 모델로부터 전파손실을 계산해서 사용자 수와 셀 커버리지의 관계를 새롭게 제안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 전송속도 15 kbps에서 960 kbps 사이 음성과 데이터 사용자에 대한 얼랑용량은 상호 역 선형관계로 나타났고, 음성사용자를 8 kbps속도에서 50얼랑 기준으로 할 때 차단확률 2 %에서 $E_{b/}$ $N_{o}$ 가 4 ㏈에서 3 ㏈로 낮출 경우 15 kbps 저속에서는 데이터 용량이 8.5 얼랑 용량증가와 함께 도시 교외지역에서 셀 커버리지가 100 m 확장되었고, 960 kbps 고속에서는 0.11 얼랑 증가와 함께 셀 커버리지도 40 m 확장되었다. 여기서 차단확률을 조금 높였을 때 얼랑용랑은 증가하지만 셀 커버리지에는 별 영향이 없었고, 셀 내 사용자 수의 증가에 따라 셀 커버리지는 감소하였다.다.

      • KCI등재후보

        가야산국립공원 까막딱다구리의 번식 현황

        권영수,전세근,설정욱,김임규,Kwon, Young Soo,Jeon, Se Kun,Seol, Jeong Wook,Kim, Im Gyu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2012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2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2012 to June 2012 to analyze breeding status of Black woodpeckers (Dryocopus martius) in the Gayasan National Park. Nest height, tree diameter which a nest built and altitude at the nest site of Black woodpeckers were 17.4 m, 63.8 cm and 587 m, respectively. A pair of Black woodpeckers completed a clutch in 4 eggs on 7 May and 3 of eggs hatched on 24 May 2012. Both female and male incubated eggs and never left eggs without one of parents. A male more contributed to build a nest than a female. Incubation duration was higher in a male than in a female. Nestlings made a begging call in a nest during the growing period. Begging frequency of nestlings increased from 11 days up to 20 days after hatching. After then, nestlings reduced begging and fledged a nest 24 days after hatching. This study provided information of breeding ecology to protect and manage population of Black woodpeckers which are endangered species in South Korea.

      • KCI등재후보

        DS/CDMA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에서 얼랑용량 계산에 따른 사용자 수와 셀 커버리지

        권영수,김항래,김남,Kwon, Young-Soo,Kim, Hang-Rae,Kim, Nam 한국전자파학회 2002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3 No.9

        불완전 전력제어된 역방향 링크에서 얼랑용량과 링크마진을 구하는 각각의 차단확률을 유도하고, 시스템 파라메터와 차단확률이 같은 조건에서 그 값을 구하여 도시, 교외, 개방지역에서 사용자 수와 셀 커버리지와의 관계를 분석할 때 파라메터로 적용하였다. 이때 얼랑용량은 현실적인 셀 용량으로 적용될 수 있고, 링크마진의 적용은 셀 커버리지 계산에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었다. 차단확률이 5 % 이내에서 E$_{b}$/N$_{o}$ 값을 7 dB에서 5 dB로 낮추는 경우에 링크마진을 2.8 dB로 똑같이 적용해도 셀 용량은 18 얼랑에서 31 얼랑으로 증가하였고, 이때 도시, 교외, 개방지역에서 셀 커버리지는 각각 0.4 km, 1 km, 2.5 km씩 증가하였다. 또한 E$_{b}$/N$_{o}$ 값이 5 dB에서 차단확률을 5 %에서 2 %로 낮출 경우 링크마진은 0.88 dB 더 증가시켜야 하며, 이때 용량이 31 얼랑에서 3얼랑 감소함에 따라 0.15 km, 0.5 km, 1.5 km 씩 줄어드는 범위 내에서 신뢰성을 높이고 양질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였다. In this paper, we derive an outage probability for the Erlang capacity and the link margin respectively, calculate them with the same parameters and outage probability, and then analyze a capacity and cell coverage in city, suburban, and open area. So, the Erlang capacity is more real than in a cell, and the cell coverage can be calculated with high reliability by the margin. When the $E_b/N_o$ decreases from 7 dB to 5 dB within the outage probability of 5 %, it is observed that the capacity is increased from 18 Erlang to 31 Erlang with the same margin of 2.8 dB, then the coverage is increased to 0.4 km, 1 km, and 2.5 km in city, suburban, and open area respectively. Also if the outage probability is decreased from 5 % to 2 % in case of $E_b/N_o$ of 5 dB, the result shows a very reliable link with additional increment of 0.88 dB in the margin and a high QoS (quality of service) within decrement of 0.15 km, 0.5 km, and 1.5 km for the same areas with decrement of 3 Erlang from 31 Erlang.

      • KCI등재

        1.9 GHz 대역/14.4 kbps CDMA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에서 핸드오프 유형별 얼랑용량과 셀커버리지

        권영수,김남,Kwon, Young-Soo,Kim, Nam 한국통신학회 2003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8 No.1A

        .9 GHz/14.4 kbps CDMA시스템의 역방향 링크에서 핸드오프방식 유형별 얼랑용량과 링크마진을 구하는 차단 확률을 각각 유도하였다. 현실적인 셀 최대용량으로 얼랑용량과 링크동작의 신뢰성을 위한 마진을 동일한 시스템 파라메터로 계산하고, COST-231모델을 적용한 전파손실을 구해 여러 지역에서 셀 커버리지와의 관계를 새로운 관점에서 제안하여 분석하였다. 소프트핸드오프를 하는 상황에서 $E_b/N_0$=5 dB에서 차단확률을 5%에서 2%로 낮출 경우 마진은 0.88 dB 더 높여야하고 용량은 2 얼랑 감소와 도시, 교외, 개방지역의 셀 커버리지가 0.12 km, 0.25 km, 1 km씩 줄어드는 정도에서 신뢰성과 서비스품질을 높일 수 있었다. 차단확률 5%인 경우 $E_b/N_0$=7 dB에서 5 dB로 맞춘다면 똑같은 2.8 dB 마진으로 9 얼랑 증가와 도시지역에서 0.2 km가 늘어났다. 이때 단일 셀 경우에 비해 용량은 10 얼랑 이상 줄어들어도 1.31 dB의 마진을 줄일 수 있어 각각의 지역에서 0.17 km, 0.3 km, 1 km 씩 커버리지가 증가하였다 또한 하드핸드오프에 비하면 2.16 dB의 마진을 더 줄일 수 있어 10 얼랑 증가와 0.22 km, 0.5 km, 2 km씩 늘어나는 소프트핸드오프 이득이 함께 발생하였다. We derive the outage probabilities for the Erlang capacity and link margin based on handoffs in the reverse link of a CDMA system of 14.4 kbps/1.9 GHz band, calculate them with the same parameters, and then with the maximum realizable Erlang capacity analyze newly the cell coverage in different areas by the COST-231 model If it decreases from 5 % to 2 % in case of $E_b/N_0$=5 dB under a soft handoff, the result shows a very reliable link with additional increment of 0.88 dB in the margin and a high quality of service within the coverage decrease of 0.12 km, 0.25 km, and 1 km in a city, suburban, and open areas respectively on the decrease of 2 Erlang in the capacity. When the $E_b/N_0$ decreases from 7 dB to 5 dB within the outage probability of 5 %, it shows the increase of 9 Erlang and of 0.2 km in a city on the same margin of 2.8 dB. Then, comparing it with a single cell, it shows the decrease of more than 10 Erlang in the capacity, but the enlargement of 0.17 km, 0.3 km, and 1 km in them on the margin decrease of 1.31 dB, also, with a hard handoff, the soft handoff gain of the increase of 10 Erlang and of 0.22 km, 0.5 km, and 2 km on the decrease of 2.16 dB.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상가임대차법 제10조의 위헌성 및 개선방안

        권영수 ( Young Soo Kwon ),김웅 ( Woong Kim ) 한국감정평가학회 2013 감정평가학논집 Vol.12 No.2

        계약의 존속은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때 그 의미를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제10조는 어떤 경우에도 임대인에게 갱신거절권만을 행사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상가임 차인의 보호 정도를 넘어선 입법이라는 의견이 제정 당시부터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상가임대차 계약기간을 규정한 本法 제10조를 분석하고 위헌성 여부를 검토함으로써 당해 규정의 개정방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민법과 주택임대차보호법과의 비교를 통해 조문의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 판례분석을 통해 동 조문이 지난 10년간 실생활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다. 또한 제정당시부터 제기된 위헌성 부분은 헌법재판소 견해에 입각하여 재산권 보호와 행복추구권 보호를 중심으로 분석하겠다. 검토한 결과 本法 제10조는 민법상 법정해지사유를 갱신거절사유로 규정함으로써 법정해지가 인정될 여지가 없으며 강행규정에 의하여 약정해지도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가임차인의 고의 및 중과실로 인하여 계약 목적이 달성될 수 없는 경우에도 상가임차인의 선택에 의하여 법률관계가 일정기간 지속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입법 태도는 상가임차인 보호의 정도를 넘는 규정으로서 비록 목적의 정당성과 방법의 정당성은 확보되었다 하더라도 침해의 최소성 및 비교형량의 요건 등은 갖추었다고 할 수 없으며, 계약기간 강제를 통해 시장의 위험을 임대인에게 일방적으로 전가하면서 위험의 회피가능성을 박탈함으로써 개인의 행복추구권 보호를 위배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계약의 존속과 관련된 헌법적 가치를 검토함으로써 법정해지 규정의 필요성을 도출하고, 개선안으로서 계약의 법정해지사유와 갱신거절사유의 구별에 대해 일정한 방향을 제시한 것은 본 연구의 성과라고 판단된다. 다만, 기 검토된 사항 이외에 충분한 사례 연구가 부족한 것은 이후의 연구에서 풀어야 할 과제이다. 앞으로 좀 더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계약의 법정해지사유와 갱신거절사유를 구분한다면 本法의 입법취지를 살리면서 좀 더 우리 법체계와 조화를 이루는 의미 있는 제도로 발전할 것이라 생각한다. Survival of the contract is significant when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contract. However, the opinion was raised from the time of enactment that the current regulations, which only specifies the veto rights to renew to the lessor, can be overly protective. In light of this background, in this study, I will investigate the Article 10 of the Shopping Center Lease Protection Act(hereinafter the Act) which defines a shopping center lease period to see the unconstitutionality and the directions of system.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practical benefit of statutory cancellation as defining the reason for statutory cancellation as the right to refuse renewal, and cancellation by contract is also not permitted by mandatory provisions. So the legal relations are actually likely to continue by choice of the lessee no matter what happens. However this regulation is overly protected, even though it meets the legitimacy of purpose, it doesn`t meet requirement of appropriateness of means, minimum of infringement and comparison sentence. And it is considered that it infringes the protection of right to pursue happiness because it deprives possibility to avoid while unilaterally imput market risk by forced period and do not allow any right of termination. It is discriminatory outcome of this paper that it derived the need for the provision of statutory cancellation reason by considering the constitutional value related to survival of the contract, and presented statutory cancellation reason and the right to refuse renewal reason. However, subjects of the study are limited to the current provisions, those missing parts are issues to be resolved in subsequent studies. If I distinguish the statutory cancellation reason and the refuse renewal reason through more variety case study, it would help develop more significant system that revives the purpose of legislation in harmony with the legal system

      • 한강 강서습지생태공원 일대의 조류

        권영수 ( Young Soo Kwon ),이현숙 ( Hyun Sook Lee ),유정칠 ( Jeong Chil Yoo ) 한국조류학회(鳥類) 2005 논문집 Vol.2005 No.-

        본 연구는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회씩 총 12회에 걸쳐 한강에 접해있는 강서습지생태 공원에 도래하는 모든 조류를 대상으로 종과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관찰된 조류는 총 25과 61종 이었으며, 월별 최대개체수의 총합은 5,672개체였다. 전체 조사기간 중 최우점종은 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로서 1,150개체(20.3%)가 관찰되었으며, 다음으로 960개체(16.9%)가 관찰된 흰죽지 (Aythya ferina), 880개체(15.5%)가 관찰된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578개체(10.2%)가 관찰된 댕기흰죽지 (Aythya fuligula), 402개체(7.1%)가 관찰된 황오리 (Tadorna ferruginea), 375개체(6.6%)가 관찰된 쇠오리 (Anas crecca) 순이었다. 계절별 조류변동을 살펴보면, 동계에는 38종 3,927개체 관찰되었고, 춘계에는 33종 1,946개체, 하계에는 23종 300개체, 추계에는 38종 3,504개체가 각각 관찰되었다. 수조류는 29종(48%)이 관찰되었고, 기타조류(참새목조류와 맹금류)는 모두 32종(52%)이 관찰되었다. 개체수는 물새류가 5,011개체(88%)로 기타조류의 661개체(12%)보다 훨씬 많이 관찰되었다. 총 12종의 오리 중 수면성오라는 8종이였으며 잠수성오라는 4종이였다. 월별 종다양도지수(H′)와 보편 종지수(E(H′))는 각각 1.63~2.40와 5.11~11.00의 범위를 보였으며 월별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가장 높은 시기는 7월이었으며 다음으로 6월 10월 순으로 나타났으며 11월이 가장 낮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4 in the Gangseo wetland ecological park, Seoul, Korea. The total number of birds observed in this area was 5,672 of 61 species. The most dominant species of all survey periods was spot-billed ducks (Anas poecilorhyncha), consisting of 1,150 individuals (20.3%), followed by common pochards (Aythya ferina) of 960 individauls (16.9%), mallards (Anas platyrhynchos) of 880 individuals (15.5%), tufted ducks (Aythya fuligula) of 578 individuals (10.2%), ruddy shelducks of 402 individuals (7.1%), green-winged teals (Anas crecca) of 375 individuals (6.6%). The abundance of birds in relation to four seasons were very various. Distribution of birds observed in winter, spring, summer and autumn were 3,927 individuals of 38 species, 1,946 individuals of 33 species, 300 individuals of 23 species and 3,504 individuals of 38 species, respectively. The waterbirds was 5,011 individuals(88%) of 29 species (48%). 8 species and 4 species of total 12 species were dabbling ducks and diving ducks, respectively. Species diversity (H′) and equally Common Species (e(H′)) indexes were 1.63~2.40 and 5.11~11.00. Species diversity(H′) and Equally Common Species (e(H′)) indexes were recorded the highest in July and the lowest in November.

      • SCOPUSKCI등재
      • 금호강 수계에서 생물학적 하천 건강도 및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비교평가

        권영수 ( Young Soo Kwon ),안광국 ( Kwang Guk An ) 한국물환경학회 ( 구 한국수질보전학회 ) 2005 공동 추계학술발표회 Vol.2005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nd evaluate the multi-metric model at the five sites of the Keum-ho River during August 2004 through June 2005. The research approach was basically based upon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IBI) using fish assemblage, and the longtime water quality data (1995-2004), which was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For the biological health condition assessments, the IBI regional model in Korea (Karr,1981;Barbour et al, 1999), which was developed by An(2003).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n the Keum-ho River averaged 30 and varied from 23 to 48 depending on the sampling sites. The river health was judged to be "Fair condition", According to the stream health criteria of the US EPA(1993) and Barbour et al(1999).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hemical water quality data of the Keum-ho River, BOD, COD, conductivity, TP, TN and TSS large varied pollution density levels depending on the sites, seasons and the years sampled. Variabilities of some parameters including BOD, COD, TP, TN, and Conductivity were greater in the downstream than the upstream reach. This phenomenon was evident in the dilution by the rain during the monsoon. Community analyses showed that species diversity index was highest(H=0.781) in the site 1, while community dominance index was highest in the site 3 where Opsariichthys uncirostris largely dominated. In contrast, the proportions of omnivores and tolerant species were greater in the downstream reach, compared to the upstream reach. Overall, this study suggests that some sites in the downstream reach may need to be restored the aquatic ecosystem for better biologica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