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법 제17조와 인과관계

        권영법 대한변호사협회 2012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30

        Bisher hat es bei der Theorie über die Kausalzusammenhang mit dem Art. 17 des Strafgesetzes keine nennenswerte Diskussion, die auf dem Verständnis über das Wesen der Kausalität und das Bewertungs-und Bestimmungsnormen für Kausalität basiert. Daher hat die vorliegende Arbeit die Theorien über das Wesen der Kausalzusammenhang, vor allem die problemorientierten angelsächsischen überprüft. Auch in der angelsächsischen Diskussion wie in der Lehre von der objektiven Zurechnung wird zwischen sachlich Kausalität und Normkausalität unterschieden, und ‘Adäquanz’, ‘Vorsehbarkeit’, ‘Effektivität der Interventionsursache’ usw. dienen bis heute als Kriterien für Rechtsurteile in konkreten Fällen. Die Lehre von der objektiven Zurechnung, die bei der Theorie der Verursachung zwischen sachlich Kausaliät und Normkausalität unterscheidet und konkrete Kriterien anbietet, hat Nachteil, dass diese Kriterien zu abstrakt und zu normativ sind, um in konkreten Rechtsfällen als Bewertungs- und Bestimmungsnormen zu dienen. Zumal Artikel 17 des Strafgesetzes nicht ‘die objektive Zurechnung’ als Oberbegriff vorsieht, ist bei der entsprechenden Rechtsauslegung nicht ohne weiteres die deutsche Lehre von der objektiven Zurechnung anzuwenden, sondern die aus dem objektiven Willen des Gesetzgebers abgeleiteten Risikobegriffe ‘Verletzung des Rechtsinteresses’ bzw. ‘Risiko der Erfolgsverursachung’ sollten als Schlüsselbegriffe bei der Frage der Kausalität dienen. In diesem Fall lässt sich die Zusammenhang in Sach- und Normenbeziehung unterteilen, wobei beim Normenbeziehung Zumutbarkeit bei objektiven Umständen von Handlungen, Adäqanz der Verursachungshandlung für Erfolgsverursachung und Effektivität der Interventionshandlung als Kriterien dafür dienen, ob die Kausalzusammenhangt abgebrochen wird. 그동안 형법 제17조를 중심으로 한 인과관계론에서 인과관계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인과관계의 평가규범과 의사결정규범에 대한 이해 내지 이를 전제로 한 실질적인 논의의 전개가 없었다. 이에본고에서는 인과관계본질론에 대하여 검토를 하였으며 문제중심적으로 접근하는 영국과 미국에서의 인과관계론을 검토하였다. 영미에서도 객관적 귀속이론과 유사하게 인과관계에서 사실관계와 규범관계로나누어 검토하고 있고, 상당설 내지 객관적 귀속이론과 유사한 척도인 ‘상당성’, ‘예견가능성’, ‘개입원인의 실질성’ 등을 기준으로 하여 구체적인 사안에 대한 판례를 통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객관적 귀속이론이 인과관계론에서 사실관계와 규범관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고, 구체적인 척도를 제시하고 있지만제시된 척도들이 지나치게 추상적이고 규범적이어서 구체적인 사안에서 평가규범과 의사결정규범으로적용되기 어렵다는 난점이 있다. 형법 제17조에서는 ‘객관적 귀속’이라는 상위개념을 두고 있지 않으므로 이를 해석함에 있어서 독일의 객관적 귀속이론을 그대로 수용할 것이 아니라 입법자의 객관적인 의지를 통해 추론해 낸 위험개념인 ‘법익침해’ 내지 ‘결과야기에 대한 위험’을 핵심개념으로 하여 인과관계론을 전개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의할 때 인과관계는 사실관계와 규범관계로 나누어 볼 수 있고, 규범관계에서 행위 당시의 객관적인 사정을 종합할 때의 기대가능성, 원인행위의 결과야기에 대한 상당성, 개입행위의 실질성을 기준으로 하여 인과관계 단절 여부를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형벌의 기능론적 분석과 그 형사정책적 함의

        권영법 법조협회 2014 法曹 Vol.63 No.3

        Till now scholars of criminal law, criminologists, sociologists and psychologists have studied the functions of punishment; however, they could not reach the level of overall review and analysis on the whole function of punishment. This study reviews the whole function of punishment and examines the functions of punishment by punishment theory, sociology and psychology. The positive functions of punishment are special deterrence, general deterrence, restraint, rehabilitation, education, retribution and censure, atonement(Sühne), prevention of vigilantism, restoration and social integration. The negative functions of punishment are labelling and dysfunctions of imprisonment. The functionalism of punishment should be discussed and examined by multidisciplinary way in the dimension of crimalistics. Recent trend of punitivism and the legislation of severe penalty system based on such policy only make the positive functions of punishment weaker while increase the negative functions of punishment. These systems based on punitivism had been introduced with vague expectation that they will enhance deterrence function, retribution function, making restraint function and rehabilitation function; however, overall review and examination on the function of punishment should precede the introduction of new punishment system. Righteous punishment protects Rechtsgut and protection of the social order, aims for the value of legal peace and enforces condemnation that is corresponding to the extent of offense based on the value system of social community. Therefore, study on the functions of punishment and the review of punishment policy should be done within the framework of punishment theory. In addition, criminal policies, which give punishment in accordance with retribution principle but consider special and general prevention, minimize the negative functions of punishment and increase the positive functions, should be established. 그동안 형벌 기능에 대하여 형법학자, 범죄학자, 사회학자, 심리학자들이 그들 나름대로 검토하였지만 형벌 기능의 전체에 대한 조망과 분석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본고에서는 형벌 기능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과 아울러 형벌 기능에 대한 형벌 이론적 검토뿐만 아니라 사회학적, 심리학적 검토도 하였다. 이에 의할 때 형벌의 순기능으로 특별억제, 일반억제, 무해화, 재활, 교육, 응징과 비난, 속죄, 보복 방지, 회복과 사회통합 기능이 있고, 형벌의 역기능으로 낙인 기능과 수감의 역기능이 있음을 보게 된다. 형벌의 기능은 범죄과학의 차원에서 다학제적 방법으로 논의되고 검토되어야 한다. 최근의 엄벌주의 사조와 이에 입각한 중형주의 입법은 형벌의 순기능을 약화시키고 형벌의 역기능만 불러올 뿐이라고 평가된다. 중형주의에 입각한 이들 제도들이 억제 기능, 응징 기능, 무해화 기능, 재활 기능을 제고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에 의해 도입되었지만, 새로운 형벌제도의 도입에 있어서는 형벌 기능의 전체적인 조망과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정당한 형벌이란 법익을 보호하고 사회질서를 유지하며 법적 평화를 이룬다는 가치를 지향하면서, 행위자의 규범 위반의 정도에 상응하게 사회 공동체의 가치 체계에 따라 비난을 가하는 것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형벌 기능에 대한 연구와 이에 따른 형벌정책의 검토는 이러한 형벌 이론의 틀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응보 원칙에 따라 형을 부과하되 특별예방과 일반예방을 고려하며, 형벌의 역기능을 최소화하고 순기능이 발휘될 수 있는 형사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디엔에이(DNA) 감식결과의 허용성과 증명력

        권영법 대한변호사협회 2011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20

        ‘Act on the Utilization and Protection of Deoxyribonucleic Ac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has been enacted and is being administered. The analysis of deoxyribonucleic acid (DNA)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misjudgment, to arrest more criminals, and to purge people of wrong suspicion. On the other hand, the dependence on DNA analysis is likely to cause various problems. Currentl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based somatic chromosome analysis (short tandem repeat (STR) analysis) is the most commonly used DNA identification. DNA identification may infringe the privilege against self-incrimination, personal rights and personal inviolable rights,whereupon it should fulfill indispensability, and besides, the collection of a specimen should fulfill proportionality. The Act stipulates that DNA specimens may be collected from convicts, imprisoned suspects and crime scenes after the receipt of the written consent from the person concerned. In addition, the Act stipulates that the specimen may be collected only to predict the recidivism risk,but it can be regarded as a factor of indispensability. The collect of a specimen involves the relinquishment of the Fifth in addition to the written consent. Specifically, a notification should be given of the right to be relinquished, and testimony should be born to the voluntariness of relinquishment. The results of DNA identification are recognized as scientific evidence, and thus meet the conditions of usefulness and reliability. According to precedents, the results of DNA identification may not be independent evidence to establish the charge but may be circumstantial evidence.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시행 중에 있다. 디엔에이분석은 오판을 예방하고 범인검거율을 높일 수 있으며 억울하게 기소된 경우 혐의를 벗는데 기여할 수 있다. 반면 디엔에이분석에의 의존은 위태로운 분석방법을 확산시키게 된다. 현재 디엔에이 감식은 PCR 기술을 기본으로 한 체세포염색체분석법(STR분석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디엔에이(DNA)감식은 헌법상 국민의 기본권인 자기부죄거부특권과 인격권, 신체불가침권을 침해할 수 있으므로 ‘필요성’의 요건을 갖추어야 하고 시료채취에 있어 ‘비례성’의 원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동 법률에 의하면 디엔에이시료는 수형인, 구속 피의자, 범죄현장으로부터 채취할 수 있고, 당사자의 서면에 의한 동의를받아서 채취할 수 있다. 동 법률에서 수형인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함에 있어 ‘재범의 위험성에 대한 예측’을 그 요건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지만 이는 ‘필요성’의 한 요소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당사자의동의에 의한 시료채취의 경우 서면에 의한 동의 외에도 묵비권의 포기와 같은 요건이 필요하다. 즉, 포기되는 권리에 대하여 고지가 되어야 하고, 포기함에 있어 임의성이 있었음이 인정되어야 한다. 디엔에에감식결과 역시 과학적 증거이므로 ‘유용성’과 ‘신뢰성’의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판례는 디엔에이(DNA) 감식결과는 공소사실을 입증하는 독립된 증거가 될 수 없고 정황증거로서의 가치만 가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 KCI등재

        대안 제재로서 미국의 수치형에 관한 연구

        권영법 대한변호사협회 2014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43

        Since 1980s in United States, shaming punishment drew attention as an alternativesanction of imprisonment and it became a popular alternative punishment only next toimprisonment by acquiring extensive supports from academia, practitionors and political world.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and categories of shaming punishment, examinedshaming punishment from the viewpoint of punishment theory and reviewed the possibility ofintroducing shaming punishment to Korea. Shaming punishment tells people that the norms in society does not approve certain illegal act and let the criminal have uncomfortable feeling byopening the illegal act of the criminal to public. The core of shaming punishment is to let acriminal have shame, guilt and humiliation. From the viewpoint of punishment theory, it is acceptedthat shaming punishment has the functions of deterrence, restriction, rehabilitation, restraint andeducation. However, in order for shaming punishment to become a universal sanction, it should beadjusted by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he various models of shame should be carefullyexamined whether they violate the aspects of communication, stigma and human dignity or not. Since imprisonment takes too many criminals for too long period, the necessity of shamingpunishment as an alternative sanction is being acknowledged. Further, shaming punishment has themerit that it enables economic, individual and communicative punishment. However, it is requiredto check whether such merit is exaggerated or not and the punishment is based on inaccurateassumption or not. It is believ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is shaming punishment system intoKorea should be done by elaborate and accurate evaluation of the culture of our society, which hasimpact on the control of such norms. Korea is now enforcing public notification policy for sexualassault crime and it is a kind of shaming punishment. Therefor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on the prohibition of double jeopardy and in consideration of the punishment character of publicnotification policy, a criminal should be given an option to choose criminal punishment or publicnotification and the sentence of punishment should consider the punishment character. It is believedthat a shaming punishment should not be sentenced as a form of a ‘punishment’ under the currentlaw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nulla poena sine lege’. Popular participation is essential inshaming punishment and the cultural aspect and behavior norms of the society define the popularparticipation and its significance. Therefore, a study on the culture and law-culture of our societyis required before the introduction of shaming punishment system and more in-depth concretestudies by each model should also follow. 미국에서 1980년대 이후 수감에 대한 대안 제재로서 수치형이 부상하였고, 그후 학계와 실무계, 그리고 정치권에서의 광범위한 지지를 얻게 되었으며, 지금은 구금에 버금하는 대안 형벌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수치형의 의의와 유형을 살펴보고 수치형에 대한 형벌 이론적 검토를 하였고, 제도의 도입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수치형은 범죄인의 위법 행위를 공개함으로써 사회규범이 그러한 행위를 용납하지 않음을 알리고 범죄자에게 불쾌한 감정을 유발케 하는 형벌이다. 수치형은수치감, 죄책감, 굴욕감을 조정하는 것을 핵심으로 삼고 있다. 형벌 이론적으로 볼 때, 수치형에 응보,억제, 재활, 무해화, 교육 기능이 있음이 긍정되고 있다. 다만 수치형이 보편적 제재로 자리매김되기 위해서는 비례성의 원칙에 따라 조율될 필요가 있고, 수치형의 여러 모델들이 소통, 낙인, 인간의 존엄성의 측면에 위배됨이 없는지 면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수감이 장기간, 또 너무 많은 범죄자를 다루고 있으므로 수감을 대신하는 대안 제재로서 수치형의 필요성은 긍정되고 있다. 나아가 수치형은 경제적이고 개별적이며, 소통적인 형벌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도 있다. 다만 이러한 장점이 과장되고 정확하지 않은 추정에 입각하고 있지 않은지 경계해야 하며, 이러한 제도의 도입은 규범 통제에 영향을 주는 우리 사회의 문화에 대한 정교하고 정확한 평가에 의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우리나라에서는 성폭력범죄 등의 경우 신상공개제도를 도입하여 실시하고 있는데, 이는 실제 수치형의 일종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이중처벌금지 원칙에 따라 신상공개가 갖는 형벌적 성질을 감안하여 당사자의 동의에따라 형벌과 신상공개를 택일하도록 하거나, 그 형벌적 성격을 감안한 형의 선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죄형법정주의 원칙에 따라 현행법 하에서는 ‘형벌’이라고 할 수치형을 선고할 수는 없다고 본다. 수치형에서는 대중의 참여가 필수적이며, 해당 사회의 문화적 양상이나 행동 규범이 대중의 참여 여부와 그 의미를 규정한다. 따라서 이러한 제도의 도입에 앞서 우리 사회의 문화 내지 법 문화와 관련된연구가 필요하며, 추후 각 모델별로 심층적이고 구체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의 예외

        권영법 대한변호사협회 2010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06

        Paragraph 2 of Article 308, the revised Criminal Procedure Law is enforced from Jan. 1, 2008 and the Supreme Court declared judgment accepting the exclusionary rule of illegally obtained evidences that has not admitted physical evidence so far before the same clause is enforced. Meanwhile, the same clause specifies vague provisions called ‘due process of law’ and there is need to establish the criteria of evidence exclusion according to theories and case studies and the Supreme Court decides adoption of the Exclusionary Rule or exclusion of evidence in terms of ‘Interest-balancing (Abwägung)’ under effect of the Exclusionary Rule in America and evidence prohibition theory in Germany. In this viewpoint, there is need to newly examine the Exclusionary Rule in America. As the same clause expressly specifies the provision that illegally obtained evidences should be excluded, it is considered that detailed examination about the Fruit of Poisonous Tree Doctrine and the exceptional theory of the Exclusionary Rule, and the exceptional theory of the Exclusionary Rule is required. The exceptional theory of the Exclusionary Rule has been developed because i) the Exclusionary Rule is considered as case study made by the judge, not as the rule on the Federal Constitutional Law ⅱ) it is on logical basis of deterrence effect. Thus, the Exclusionary Rule can be used as reference in interpretation of the same clause but it will be wrong to accord the same clause as it is. The exceptional theory of the Fruit of the Poisonous Tree Doctrine and Application of exceptional theory of the Exclusionary Rule is exceptionally permitted in consideration of ⅰ) possible infringement of the basic rights on the Constitutional Law ⅱ) Purpose of the Norm of paragraph 2 of Article 308, the Criminal Procedure Law in terms of substantial concept ⅲ) compliance with purpose of the Procedure or Norm infringed. As shown in the judgment of the Supreme Court, the exceptional theory of the Exclusionary Rule in America gives a lot of suggestions and so it is considered that particular discussion about the exceptional theory of the Exclusionary Rule and possibility of its acceptance will be developed in future. 개정 형사소송법 제308조의 2가 2008. 1. 1.부터 시행 중에 있고, 동 조항이 시행되기 전 대법원은 종래 물적증거에 대하여 인정하지 않던 위법수집배제법칙을 인정하는 판결을 내렸다. 그런데 동 조에서 ‘적법한 절차’라는 막연한 규정을 두고 있어 학설과 판례에 의하여 증거배제의 기준을 정립할 필요가 있고, 대법원은 독일의 증거금지론(Beweisverbotelehre)과 미국의 배제법칙(Exclusionary Rule)의 영향을 받아 ‘이익형량(Abwägung)’의 관점에서 증거배제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미국의 배제법칙을 새로이 검토할 필요가 있겠다. 동 조에서 명문의 규정으로 위법수집증거(Illegally Obtained Evidence)에 대하여 배제한다는 규정을 두고 있으므로 특히 배제법칙 중 독수의 과실과 그 예외법리, 배제법칙의 예외법리에 대하여 상세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미국에서 배제법칙의 예외법리가 발전되어 온 것은 ⅰ) 배제법칙을 연방헌법상의 법칙이 아닌 법관이 만든 판례법으로 보고 있고, ⅱ) 억지효(deterrence effect)의 논거에 의한 것이다. 동 조를 해석함에 있어 이러한 논거를 참고로 할 수는 있겠으나 그대로 준용하는 것은 잘못이라 할 것이다. 독수의 과실(Fruit of the Poisonous Tree)의 예외법리와 배제법칙의 예외법리의 적용여부는 ⅰ) 헌법상 기본권의 침해여부, ⅱ) 실체적인 개념으로 파악한 형사소송법 제308조의 2의 규범의 목적, ⅲ) 침해된 절차의 규범의 목적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입니다. 대법원 판결에서 보듯 미국의 배제법칙의 예외법리가 동조를 해석함에 있어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으므로 앞으로 배제법칙의 예외법리 및 그 수용가능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전개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후보

        전자증거의 수집과 증거능력

        권영법 대한변호사협회 2009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97

        The provisions about coping with computer crimes had been established in criminal law and the regulations on evidence investigation of computer disk and others had been created when Criminal Procedure Law was revised in 2007. However, in case of other electronic evidences except information that had saved in computer disk, the regulation on collecting evidence and admissibility of evidence is weak and the regulation based on material things are still preserved about seizure and search object. Electronic evidences are divided into electronic text form and electronic data form, and it has structure based on documentary evidence in case of electronic one.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case law country, proves that electronic evidences can be seizure and search objects through cases, forms specified basic thesis on a case that has conflict between individual privacy protection and necessity of investigation on seizure and search objects and enacted various laws to protect privacy of persecuted individuals. In Japan, they name electronic evidence as object of seizure and search as preparing revised bill and put specified related regulations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legislatively. In case of Germany, electronic evidence does not seem to be included as an object in Article 94 of German Criminal Action Law, only allows in case of search through administration network of same law a of Article 98 and there has always been an assert on applying proportional rule between the purpose and means as a concept of ‘information control claim’. Australia, also a case law country, has formed specified basis as a case about condition of permit of electronic evidence related to applying criminal law. Seizure and search of electronic evidence should be under control of law according to warrant principal and due process of law under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In case inside data saving content is form of a statement of the person, hear-say rule as well as newly established rule of collecting prescription of illegality under Article 308 of 2 of revised Criminal Procedure Law, shall apply to electronic evidence. In addition, in order to decide whether a basic human right has been infringed through process of collecting evidence by the enforcement authority, ⅰ) infringement of basic human right based on constitutional law, ⅱ) legislative purpose of article 308 of 2 of Criminal Procedure Law and ⅲ) every norm of protecting purpose should be considered. In case of illegality through process of collecting electronic evidence, the ability of evidence is negatively affected according to rule of collecting prescription of illegality. As object of seizure and search according to current Criminal Procedure Law is interpreted as material thing, it is necessary to create regulations that enlist electronic evidence on seizure and search object and to solve this issue legislatively by putting regulation related to means of electronic evidence and its evidence ability under hear-say rules. Also we should prepare regulations in relation to integrity of electronic evidence on preserving electronic evidence and submission order about the persecuted person. Furthermore I note that it requires revision and improvement of substantial law for protection of privacy of persecuted individual whose basic right is predictively infringed during process of collecting electronic evidence. 컴퓨터범죄에 대처하기 위하여 형법에서 이에 대한 조항을 신설하였고, 2007년 형사소송법 개정시 컴퓨터디스크 등의 증거조사에 관한 규정을 두었으나 컴퓨터디스크에 저장된 정보를 제외한 기타 전자증거의 경우 증거수집과 증거능력 규정이 미비하고 압수․수색의 대상에 대하여 여전히 유체물을 전제로 한 규정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전자증거는 크게 전자문서 형태인 전자증거와 전자데이터 형태인 전자증거로 나누어지게 되고, 전자의 경우 서증에 준하는 형태를 띠게 된다. 판례법 국가인 미국은 판례를 통하여 전자증거가 압수․수색의 대상이 됨을 밝히고 있고, 압수․수색에 있어 개인의 프라이버시권 보호와 수사의 필요성이 충돌하는 사건에 있어 구체적인 기준을 정립해오고 있으며, 피처분자의 프라이버시권을 보호하기 위한 여러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일본은 개정안을 마련하여 압수․수색의 대상으로서 전자증거를 명시하고, 이와 관련된 상세한 규정을 두어 입법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전자증거가 독일형사소송법 제94조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보고 있고, 동법 제98조의 a에서 전산망을 통한 검색의 경우만 허용하고 있고 ‘정보지배청구권’이라는 개념으로 그 목적과 수단 간의 비례성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어 왔다. 판례법 국가인 호주 역시 범죄법의 적용과 관련하여 전자증거의 허용성 여부에 대하여 판례로써 구체적인 기준을 정립해오고 있다. 전자증거의 압수․수색은 헌법의 영장주의원칙, 적법절차원칙에 따라 사법적인 통제를 받아야 하고, 영장의 기재에 있어서도 원칙적으로 구체적으로 특정하여야 할 것이고, 압수․수색의 필요성과 피의사실과의 관련성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전자증거는 정보저장매체에 들어 있는 진술이 진술증거일 경우 전문법칙이 적용된다고 하겠고, 개정 형사소송법 제308조의 2에서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을 신설하였고, 동조의 ‘적법한 절차’를 위배하였는지 여부에 대하여 ⅰ) 헌법 중 기본권 조항의 침해여부 ⅱ) 적법절차의 내용은 절차 뿐만 아니라 실체로 확대하여 해석한 관점에서 본 형사소송법 제308조 2의 규범의 목적, ⅲ) 증거수집과정에서 침해된 각 규범의 보호목적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본다. 전자증거의 수집과정에서 위법이 있을 경우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에 따라 그 증거능력이 부정된다고 할 것이다. 현행 형사소송법상 압수․수색의 대상은 유체물이라 할 것이고, 따라서 압수․수색의 대상에 전자증거가 됨을 명시하는 규정을 두어야 할 것이고, 전문법칙에 관한 규정에서 전자증거에 대한 정의와 증거능력에 관한 규정을 두어 이를 입법적으로 해결하여야 하겠고 아울러 전자증거의 보전과 피처분자에 대한 제출명령 등 전자증거의 무결성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여야 하겠고, 전자증거의 수집과정에서 침해가 예상 되는 피처분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실체법의 보완․정비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테러범죄에 대한 형사법적인 대응방안의 검토 - 비교법적인 검토를 통한 입법안의 제안을 중심으로 -

        권영법 대한변호사협회 2013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36

        The United States promulgated ‘War against Terrorism’ after 9.11 Terror Attacks,and our country is not located in safety zones of terrorism any more. In National Assembly, 「The Bills against Syber-Terrorism」 has been submitted recently for the purpose of responding cyber-terrorism. Though counter-terrorism bills have been submitted to National Assembly several times as preparations and responsing measures on terrorism, they were not able to be legislated owing to worries about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etc. The state shall not neglect efforts of searching for required minimum scopes and method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rule of law in inevitably restricting individual rights as well as setting up counter-terrorism measurements for keeping individual freedom and social security. This study looked into criminal countermeasures, a post treatment, among related terror crimes. The key tasks of countermeasures on terrorists are punishments on them. However, efforts of the principle of rule of law for protecting individuals from arbitrary exercises of state power have to be continued even in these cases, and rights of individuals shall be respected. If the concept of terror crime is unclear, decisions on punishable targets are likely to be heightened, and the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f human lights rise because of state’s interventions such as tapping etc that are necessary for doing cyber-terrorism activities. Therefore, the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terrorism by synthesizing criminal behaviors regulated in conventions whose implementing laws were enacted after our country registered and ratified them among terrorism-relevant conventions having been approved internationally together with elements and concepts on terrorisms that were regulated in United Nations and legislations of each nation. Also, this study made terror crimes transferred to the criminal law and thus become keep coherence with the whole total criminal codes, and then proposed a legislative bill by transferring procedural countermeasures to the criminal procedure and communications privacy act. 9‧11 테러사건 이후 미국은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였으며, 우리나라도 더 이상 테러의 안전지대에 있지 않다. 최근 국회에는 사이버테러에 대응하기 위한 「사이버테러방지법안」이 제출된 상태이다. 테러에 대한 대비와 대응책으로 과거 몇 차례 테러방지법안이 국회에 제출되었지만 인권침해 등의우려로 인하여 입법화되지 못했다. 국가는 개인의 자유와 사회안전을 위한 테러방지책을 수립함과 동시에 불가피하게 개인의 기본권을 제한함에 있어서 법치국가적 원리에 따라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와방법을 찾는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안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테러범죄와 관련된 대응책 중 사후적인조치인 형사법적인 대응방안을 검토하였다. 테러범에 대한 대응책의 중심 과제는 테러범의 처벌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국가의 자의적인 권력 행사로부터 개인을 보호하기 위한 법치국가적인노력은 계속되어야 하고, 개인의 권익은 존중되어야 한다. 테러범죄의 개념이 불분명하면 처벌의 대상의 획정이 자의적으로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고, 대테러활동에 필요한 감청 등의 국가의 간섭으로인하여 인권 침해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제적으로 승인된 테러 관련 협약 중우리나라가 가입‧비준하여 이행법률이 제정된 협약에서 정하는 범죄행위와 국내의 입법과 국제연합과각국의 입법에서 정하는 테러의 요소와 개념을 종합하여 테러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또한 테러범죄를형법에 편입시켜 전체 형법과의 정합성을 유지하도록 하였고, 형사소송법과 통신비밀보호법에 절차법적인 대응책을 편입시켜 입법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주거방위법리 및 그 수용 가능성의 검토

        권영법(Kweon, Young-Bub) 대검찰청 2014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43

        주거방위법리는 영국 보통법에서 유래하였지만 이 법리는 미국에 계수되었고, 최근에는 강력주거방위법리로 나아가고 있다. 강력주거방위법리에서는 거주자의 입장에서서 치명적 폭력의 사용도 용이하게 하고 있고, 보호되는 주거의 범위도 확대하고 있으며, 주거탈환 직후의 재진입도 허용하고 있다. 강화된 주거방위법리는 현재 미국의 대부분의 주에서 채택하고 있고, 여러 나라의 입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최근 독일 판례도 사실상 주거방위법리를 수용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은 주거방위법리를 바라보는 인식에 있어서 패러다임적인 전환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주거방위법리의 수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주거와 관련된 정당방위에 대한 판례를 검토할 때 지금까지 판례가 지속해 온 정당방위에 있어 ‘상당성’의 태도가 너무 엄격하여 부당할 뿐 아니라 방어자의 입장을 염두에 두지 않아 주거방위상황의 긴박성을 고려할 때 현실성도 없다고 평가된다. 본고에서는 주거방위법리에 대한 여러 태도 중 온건한 형태의 주거방위법리의 수용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주거’에 대한 헌법과 형법의 규정에 의할 때 주거침입은 거주자에 대한 중대한 위협으로 간주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치명적 폭력의 사용도 허용될 수 있다고 본다. 주거방위에 있어 주거는 원칙적으로 형법상 주거침입죄에 의해 보호되는 ‘주거’의 개념에 따르되 경우에 따라서는 이보다 더 넓게 이해될 필요가 있다. 주거침입의 적용 대상자에는 점유자, 동거인도 포함된다. 현행법상 자구행위는 금지되어 있으므로 주거탈환 직후의 재진입과 자력에 의한 회수는 허가되지 않는다고 본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필자는 현행법하에서도 강력주거법리는 아니더라도 온건한 형태의 주거방위법리는 해석론적으로 수용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이러한 온건한 주거방위법리에서 강력주거방위법리로 나아가는 것은 해석의 한계를 유월한 것으로 입법자의 결단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defense of habitation doctrine(“castle doctrine”) which was derived from the british common law was adopted to the United States, and has recently advanced to super castle doctrine. The castle doctrine makes it possible to use deadly force to the position of inhabitants, and the scope of protection for habitation is extended, as well as it allows the inhabitants to reenter immediately after retaking the residence. The enhanced defense of habitation doctrine has been adopted by most states of the United States, which have influenced the legislations of other countries. In addition, a recent precedent of Germany in fact is said to be accepting the castle doctrine. With such a contemporary trend, it suggests that the way of looking at the defense of habitation doctrine needs to be changed. For this reason, this paper considered the acceptability of this defense of habitation doctrine. When the precedents of self-defence relating to residence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y have been too strict to be fair in terms of reciprocity and not been very mindful of the position of defenders, and therefore, they are evaluated as impractical given the urgency of the situations at defense of habitation. In this paper, the acceptability of a moderate type out of several attitudes for the defense of habitation doctrine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according to regulations of the constitution and criminal law in habitation, trespass upon residence can be regarded as a serious menace, and in some cases, can allow the ground for deadly force. Habitation in the defense of habitation doctrine in principle following the concept of “habitation” protected by a criminal action of trespass, while, in some cases, it needs to be understood in a broader manner. The targets considered as trespassers include an occupant and cohabitant as well. Since taking action for self-help is prohibited under current law, re-entry and recovery by one's own efforts immediately after retaking the residence are not allowed. Based on the consideration above,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a moderate type of the defense of habitation doctrine are acceptable though not super castle doctrine, under current law. As such, moving forward from a moderate type of castle doctrine to the super castle doctrine goes beyond the limit of interpretation, and requires the determination of law-makers.

      • KCI우수등재

        형법 제10조 제2항에 대한 비판적 고찰

        권영법(Kweon, Young-Bub) 한국형사법학회 2013 刑事法硏究 Vol.25 No.4

        The theory of interpretation(de lege lata) and the theory of legislation(de lege fe-renda) for the Clause 2, the Article 10 of current Criminal Law mitigating the punishment have been checked in case the responsibility is weak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situation of the theory of interpretation in Germany and the p-recedent are analyzed, the diminished capacity scheme of USA similar to the li-mit of responsibility according to the mental and physical weakness is checked and the diminished responsibility scheme of England is investigated prior to thi-s consideration. It reaches the recognition necessitating the flexible responsible m-itigation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e concept of mental and physical disorder has been checked and the cause of mental and physical weakness has been Inv-estigate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Supreme Court is not including the personality disorder, etc., in the mental disorder by adhering to the previous po-sition still even though there has been the change in the classification of mental disorder in the neuropsychiatry world. However, the personality disorder, the I-mpulse control disorder, the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ll should be classifi-ed into the mental and physical disorder, the mental and physical weakness or not should be distinguished by judging if it is in the excited state at times of a-ction through the psychological analysis in case of action of passion. The judgm-ent of appraiser and the judgment of judge should be close, the concrete diagno-sis and the valuation creteria should be prepared by the reasonable method incl-uding the judgment standard for this and the judgment standard for the time of crime. The revised tentative plan has been investigated and the legislation bill h-as been presented based on this discussion. The mental and physical disorder in the current regulation is necessary to be classified into the mental disorder, the psychological disorder, the physical disorder; ‘the action owing to the damage o-f legal capacity at time of action has been caused’ should be clearly stated in t-he legislation bill. The mandatory mitigation and the discretionary mitigation are compromised for the flexible mitigation and the harmony of responsibility princi-ples, it may be reasonable for the discrimination to be placed based on the suit-ability or not. Even though there should be the legislative modification, the pre-paration of detailed criterion based on the medical diagnosis is urgent to evalua-te the mental and physical weakness reasonably; more concreted development of discussion shall have to be continued for the mental and physical weakness in the future based on this alignment.

      • KCI등재

        형사소송에서 합리적 의심과 입증에 관한 새로운 검토

        권영법(Kwon, Young-Bub) 한국법학원 2015 저스티스 Vol.- No.147

        형사소송에서 입증이란 논리와 경험칙에 따라 검사의 주장인 가설을 증거에 의해 확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논리와 경험칙의 결합 방법은 무수히 많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합리적 의심 없는 입증이라는 원칙은 형사정책적 고려와 타협할 수 없는 적법절차라는 가치의 표현이고, 피고인의 기본권이다. 국민참여 재판에서 배심원에게 합리적 의심 없는 입증이라는 척도의 의미와 입증의 정도에 대하여 알기 쉽도록 설명해야 한다. 최근 합리적 의심 없는 의심의 수치를 계량화 할 수 있다는 견해가 제시되고 있는데, 베이즈주의자 중 다수가 지지하는 차이 측정법의 경우, 이를 수치화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므로 형사소송에서는 채택하기 어렵다. 형사소송은 동적인 절차로서 검사의 주장과 입증은 반대 당사자인 피고인 측의 주장과 입증을 견뎌내야 하며, 경쟁하는 양 당사자의 주장과 증거에 의해 진실이 드러나도록 해야 한다. 사실 인정의 합리성은 당사자주의라는 가치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므로 형사소송에서는 구두 변론과 증인의 태도 등의 관찰을 통하여 입증도를 증가시키도록 해야 한다. 합리적 의심 없는 입증이라는 원칙은 판사가 판결문을 작성할 때 규범력으로 작용하므로 판사는 판결 이유에서 합리적 의심 없는 정도로 전제가 결론을 지지하는지 밝혀야 한다. 진술 증거의 신빙성을 평가함에 있어 사실 판단자는 진술인의 상태, 물리적 환경 등을 모두 고려해야 하며, 특히 성폭행 사건에 있어서 증거 수집의 공정성도 검토해야 한다. 검사는 형사소송에서 피고인이 어떤 동기나 이유에 의해 범행에 이르렀다고 설명하는데, 인간의 행동은 제한적 합리성을 띠므로 행위자의 의도를 결과에 귀속시키는 논증 구조는 새로이 검토되어야 한다. 형사 재판에서 사실 판단자는 검사에게 우호적이지 않아야 하며, 편견과 선입견 없는 공정한 심판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형사소송은 입증과 검증, 이를 통한 확증이라는 구조 내에서 절차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이러한 검증 구조를 띤 형사소송이야말로 절차적 정당성을 띤 절차라고 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입증 구조와 가치를 ‘절차적 검증주의’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절차적 검증을 통하여 형사소송은 절차적으로 정당화되고, 올바른 형법의 집행이라는 본연의 가치를 드러낼 것이다. Proof in criminal process is a confirmation of the hypothesis of a prosecutor by logic, empirical rule and evidence; howeve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fact there can be many methods in combining logic and empirical rule. The principle of ‘proof beyond reasonable doubt’ is the fundamental right of a criminal defendant and expression of value, due process of law which should not compromise with consideration in criminal policy. In jury trial, a judge should explain the juries on the meaning of ‘proof beyond reasonable doubt’ and the degree of proof so that they can easily understand. Recently, there is a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quantify the value of ‘proof beyond reasonable doubt’. However, it is difficult to adopt the point in a criminal process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quantify in the case of the difference measurement method supported by majority of Bayesians. A criminal process is a dynamic procedure and the argument and proof of a prosecutor should be strong enough to endure the argument and proof of the defendant; while a prosecutor should expose the truth by way of argument and evidence from the competing two parties. Since the rationality of fact finding has close relation with the value of adversary system, the degree of proof in criminal process should be increased by oral proceeding and observation on the attitude of witnesses. Since the principle of ‘proof beyond reasonable doubt’ works as power of norms in the preparation of sentencing by judge, judge should clarify the reasons of decision the premise supports the conclusion beyond reasonable doubt. In evaluating the credibility of testimonies, fact-determiner should consider both the state of the witnesses and physical circumstances. Especially in a case of sexual violence, the fairness during evidence collection should also be verified. A prosecutor explains in criminal process a defendant committed crime with certain motive or reason. Since man’s behavior has limited rationality, the argumentation structure, in which the intention of a agent is vested to the result, should be newly examined. A fact-determiner in criminal process should not be amicable to a prosecutor and it should perform the role of fair referee without bias or prejudice. Criminal process should focus on procedure within the structure of proof, verification and confirmation. A criminal process with such verification structure is a righteous procedure and such proof structure and value can be called "procedural verification principle". Criminal process would have its true value in the enforcement of righteous criminal code and it would be procedurally justified only through such procedural ver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