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ase of encephalitis in a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patient treated with etanercept

        권아름,박은정,김기환,김동수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3 No.2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s a major proinflammatory cytokine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y of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Etanercept is an effective inhibitor of TNF-α and has shown a beneficial effect in patients with JRA. However, the most important cause of concern related to etanercept administration is infection. We report a case of encephalitis in a JRA patient receiving long-term treatment with etanercept. The patient was a 4-year-old boy with refractory JRA, and he received etanercept subcutaneously at a dose of 0.4 mg kg-1 day-1 twice a week for 14 months, along with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methotrexate, oral steroids, and sulfasalazine. The patient presented with sudden fever, headache, vomiting, a generalized tonic seizure, and changes in mental status. We suspected a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 and simultaneously administered antibiotics, an antiviral agent, and steroids. After 2 days of hospitalization, his mental function returned to normal, and he showed no further seizure-like movements.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can of the patient showed a multifocal cortical lesion on both sides of the temporoparietooccipital lobe, which indicated encephalitis. Although we were unable to identify the causative organism of encephalitis, we think that the encephalitis may be attributed to infection, and the use of etanercept may have increased the risk of severe infection. Therefore, etanercept was discontinued and the patient recovered shortly aft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of encephalitis in a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patient treated with etanercept.

      • KCI등재후보

        Chinese speakers perceptibility of the Korean voiceless obstruents

        권아름 한국언어연구학회 2014 언어학연구 Vol.19 No.3

        One characteristic of Korean consonants is that there are three distinctive voiceless sounds in the stop category. Since Chinese has two-way contrast stop consonants while Korean has three-way contrast stop consonants, it was anticipated that the Chinese group selected for the experiment would demonstrate particular difficulties i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with a different system of contrast consonants. This paper suggests factors in two aspects as major factors in distinguishing the three-way contrast in the Korean voiceless obstruents. The first aspect is speech production, including VOT (Voice Onset Time) and F0 (fundamental frequency). The second aspect is speech perception, including the factor of the pronunciation of Korean learners. Generalizing from the results of Perception Test 1 and 2, adult learners of a foreign language seem to exhibit a correlation between articulation and auditory perception. Perception Test 3 shows how both Korean and Chinese participants can use F0 and VOT values as the major factors in distinguishing three-way contrast stop consonants in Korean.

      • KCI등재

        WRF-Chem 모델과 결합된 CFD 모델을 활용한 도시 지역의 일산화탄소 확산 연구

        권아름,박수진,강건,김재진 대한원격탐사학회 2020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6 No.5

        본 연구에서는 CFD 모델을 WRF-Chem 모델과 결합(WRF-CFD 모델)하였고, 서울 영등포구에 소재한건물 밀집 지역에서 흐름과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 CO)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동기상관측소에서 측정한 풍속, 풍향과 도시대기측정소에서 측정한 CO 농도를 이용하여 수치 모의 결과를 검증하였다. AWS 510 지점에서는 남풍과 남서풍 계열 바람이 측정되었고, 야간 시간 보다는 주간 시간에 높은 풍속이 측정되었다. WRF-Chem 모델은 주로 동남동풍에서 서남서풍 계열의 바람을 수치 모의하였고, 측정 풍속을과대 모의하였다. WRF-CFD 모델이 수치 모의한 풍향은 WRF-Chem 모델 풍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고, 측정풍속을 상대적으로 잘 수치 모의하였다. 통계적 검증 지수에 대한 목표 값과 추천 범위를 고려하였을 때, WRFCFD 모델이 WRF-Chem 모델에 비해 측정 풍속을 통계적으로 더 현실적으로 수치 모의하였다. WRF-Chem 모델은 측정 CO 농도를 크게 과소 모의하였고, WRF-CFD 모델은 CO 농도 예측을 개선하였다. 통계적 검증 결과를 종합한 결과, WRF-CFD 모델은 도시 지역에 복잡하게 분포한 건물과 이동 오염원을 고려함으로써 CO 농도예측 성능을 개선하였다. 5월 22일 04시에는 AQMS가 위치한 지역에는 하강류가 존재하고, 상층으로부터 비교적 낮은 농도의 CO가 유입되면서 주변 지역에 비해 낮은 농도가 수치 모의되었다. 5월 22일 15시에는 AQMS 측정 지점에 약한 상승류가 형성되었고, 이에 따라 주변보다 다소 높은 CO 농도가 나타났다. WRF-CFD 모델은 상승류에 의해 도로의 이동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된 CO를 AQMS 측정 고도까지 수송하여, 결과적으로, 측정 CO 농도를 잘 재현한 것으로 판단된다. 5월 22일 18시 사례는 CO 배출량 증가, 상승류 발생 지역 증가, 풍속증가로 인한 지면 근처의 난류운동에너지 생성 증가에 따른 난류 확산 증가 등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높은 CO 농도가 수치 모의되었다. AQMS 지점에서는 하강류가 수치 모의되었지만, 풍상측에 형성된 고농도의 CO 밴드로 인해WRF-CFD 모델은 측정 CO 농도를 과대 모의하였다. We coupled a CFD model to the WRF-Chem model (WRF-CFD model)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flows and carbon monoxide (CO) distributions in a building-congested district. We validated the simulated results against the measured wind speeds, wind directions, and CO concentrations. The WRF-Chem model simulated the winds from southwesterly to southeasterly, overestimating the measured wind speeds. The statistical validation showed that the WRF-CFD model simulated the measured wind speeds more realistically than the WRF-Chem model. The WRF-Chem model significantly underestimated the measured CO concentrations, and the WRF-CFD model improved the CO concentration prediction. Based on the statistical validation results, the WRF-CFD model improved the performance in predicting the CO concentrations by taking complicatedly distributed buildings and mobiles sources of CO into account. At 04 KST on May 22, there was a downdraft around the AQMS, and airflow with a relatively low CO concentration was advected from the upper layer. Resultantly, the CO concentration was lower at the AQMS than the surrounding area. At 15 KST on May 22, there was an updraft around the AQMS. This resulted in a slightly higher CO concentration than the surroundings. The WRF-CFD model transported CO emitted from the mobile sources to the AQMS measurement altitude, well reproducing the measured CO concentration. At 18 KST on May 22, the WRF-CFD model simulated high CO concentrations because of high CO emission, broad updraft area, and an increase in turbulent diffusion cause by wind-shear increase near the ground.

      • KCI등재

        평생교육을 위한 온라인 대학원 발전방안 제안

        권아름,김승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3

        This study requires a new paradigm for universities in line with the global pandemic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ly, we propose an educational plan for the H university online graduate school in Korea. As a research method, the implications of scholars and experts on future education were synthesized, and the cases of overseas universities using it were analyzed to propose an online graduate school education plan. As a result of the study, online graduate school needs diversity as a venue for providing new opportunities as lifelong education, and to realize this, they use a microcredit. Blockchain technology is introduced so that microcredit can be transparently verified. In addition, to correspond to various convergence major programs and further develop them, problem-solving-oriented teaching methods enhance students' convergent skills as well as active learning and interaction. More detailed curriculum research at online graduate schools is needed in the future, and we hope that you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online graduate school education based on this study. 본 연구는 4차산업혁명과 글로벌 팬데믹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대학에도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한 현 상황을 배경으로 이에 따른 평생교육으로서의 온라인 대학원 신설을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학자와 전문가들의 미래 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의견을 종합하고 이를 활용한 해외 대학의 사례들을 분석하여 온라인 대학원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대학원은 평생교육으로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장이 되어 다양성이 필요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마이크로 크레디트(Micro Credit) 학사 운영 방식을 활용한다. 또한, 다양하고 융합 전공 프로그램에 상응하고 이를 더 발전시킬 수 있도록 문제해결 중심의 교수 방법으로 학생들의 융합적 문제해결 능력과 더불어 능동적인 학습과 학생 간, 교수 간 상호작용을 높이도록 한다. 추후 온라인 대학원의 더 세부적인 교과과정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를 토대로 온라인 대학원 교육 발전 연구에 기여하길 바란다.

      • KCI등재

        1형 당뇨병 환자에서 미세혈관 합병증의 발생 빈도와 위험 인자

        권아름,이슬,채현욱,김덕희,김호성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12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7 No.1

        Purpose: We observed the frequencies of microvascular complications and their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Methods: Two hundred seventy one patients (111 males and 160 females, mean age 21.9 ± 5.8 years) with type 1 diabetes were included. Subjects were all at least 10 years old and had diabetes for at least two years. Three types of microvascular complications (diabetic nephropathy, retinopathy, and neuropathy) were evaluated, and their frequencies and risk factors were analyzed. Results: The overall prevalence of microvascular disease was 83/271 (30.6%). Microalbuminuria had developed in 39 patients (14.4%), persistent microalbuminuria in 31patients (11.4%), and proteinuria in 12 (4.4%). Diabetic retinopathy had developed in 35patients (12.9%) and neuropathy in 39 patients (13.7%). The mean HbA1c for 10 yea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s with microvascular complications (10.5 ± 2.8%vs. 8.4 ± 1.4%). The rate of intensive management in the non-complication group was higher than in the microvascular complication group. The incidence of microalbuminuria was greater in males than females, but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either diabetic retinopathy or neuropathy. Puberty and the duration of diabetes may be associated with microvascular complications. Conclusion: The incidence of microvascular complications in type 1 diabetes is declining. Sex, puberty, and the duration of diabetes as well as prolonged hyperglycemia are all related to microvascular complications. Therefore, intensive insulin management and regular screening for microvascular complications should be performed in patients who have either entered into puberty or have had diabetes for more than 5 years. 목적: 본 연구에서는 1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미세혈관 합병증의 발생 빈도와 이와 관련된 인자들을 알아보고자한다. 방법: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에서 1형 당뇨병으로 진단받는 환자들 중, 만 10세가 넘고 당뇨병 유병기간이 적어도2년이 넘는, 총 271명의 1형 당뇨병 환자(남자 111명, 여자 160명, 평균 나이 21.9±5.8세)를 대상으로 당뇨병성 신증, 망막병증, 신경병증의 세가지 미세혈관 합병증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미세혈관 합병증은 전체 271명 중 83명(30.6%)에서 발생하였다. 미세알부민뇨는 39명(14.4%)에서, 지속성 미세알부민뇨는 31명(11.4%)에서 발생하였으며, 단백뇨는 12명(4.4%)에서 발생하였다. 또한, 당뇨병성 망막병증은 35명(12.9%)의 환자에서, 신경병증은 39명(13.7%)의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10년 동안의 평균 당화혈색소는 미세혈관합병증이 있는 군에서 합병증이 없는 군 보다 더 높았다(10.5±2.8% vs. 8.4±1.4%). 또한 인슐린 치료법 중 적극적치료법의 비율은 미세혈관 합병증이 없는 군에서 미세혈관 합병증이 있는 군보다 더 높았다. 미세알부민뇨는 여자보다남자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으나, 당뇨병성 망막병증이나 신경병증에서는 성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사춘기및 당뇨병의 유병기간도 미세혈관 합병증의 위험인자로 생각된다. 결론: 1형 당뇨병 환자에서 미세혈관 합병증의 발생률은 점차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고혈당뿐만 아니라 성별, 사춘기, 당뇨병의 유병기간도 미세혈관 합병증 발생과 연관된 위험인자이기 때문에, 적극적 인슐린 치료법을 통해 철저히 혈당을 관리하고, 사춘기 연령이거나 당뇨병의 유병기간이 5년이 넘는 환자에서는 미세혈관 합병증에대한 정기적인 선별검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