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ainting과 Phanism의 시지각적 이미지

        권순왕 예술과미디어학회 2022 예술과 미디어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in new language that memory is needed in the process of image creation, and in the fusion process with drawing through physicality after this memory action, the image becomes a material picture through the plate. In addition, I would like to illuminate the points that are combined in the form of printing and painting, which served as a catalyst for convergence in modern art, with the new word "Prainting." This is because fusion characteristics exist in the expression of modern art, and new terms and perspectives on these images are needed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structure. The material picture is completed and sustained within the system of reproduction and repetition. Images are settled on one non-material surface within our vision or consciousness, or reproduced images are taken out and derived and synthesized into materials. In addition, image reproduction is accompanied by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and the process of reproduction of painting functions as an important point in art history. In this way,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materialistic creation of an image, a frame is selectively generated, and the direct physicality of drawing is the source of creation.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 integrated framework called 'Phan' as a structure of image generation and proposes a term for the relationship called 'Prainting', and attempts to verbalize the method of picture in art history from a postmodern perspective in the 21st century. 이 논문은 이미지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기억 작용이 필요하며 이러한 기억 작용 이후 신체성을 통한 그리기와의 융합적 과정에서 이미지는 판을 통한 물질적인 그림이 된다는 것을 새로운 언어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현대미술에서 융합의 촉매로서 작용 되었던 프린트와 페인팅의 형태로 조합되는 지점들을 ‘프레인팅’이라는 신조어로 조명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현대미술의 표현에서 융합적 특성이 존재하고 언어 구조적인 관점에서 이러한 이미지에 대한 새로운 용어와 시각이 필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물질적인 그림은 복제의 과정과 반복의 체계 안에서 완성되어 지속된다. 이미지는 우리의 시각이나 의식 안에 하나의 비물질적 표면에 안착되어 있거나 복제 이미지가 꺼내어져 질료들로 파생되고 종합된다. 또한 이미지 복제는 인류 문명사와 함께하며 그림이 되는 재현의 과정이 미술사에서 중요한 지점으로서 작동한다. 이렇게 이미지의 유물적 창조의 발현과정에서 프레임은 선택적으로 생성되고 그리기의 직접적 신체성은 창조발현의 원천이 된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이미지 생성의 구조체로서 ‘Phan’이라는 통합적 틀을 제시하고 ‘Prainting’이라는 관계의 조어를 제안하여, 미술사에 나타난 그림의 방법을 21세기의 포스트모던 이후의 시각으로 언어화하고자 했다.

      • KCI등재

        현대미술의 프린트미디어 특성과 한국 아방가르드 미술

        권순왕 예술과미디어학회 2024 예술과 미디어 Vol.23 No.1

        이 연구는 현대미술의 매개 역할을 한 프린트의 미디어적 속성이 한국의 실험미술의 태동기에도 주요하게 작동했다는 것을 규명하고자 한다. 서구의 현대미술이나 한국의 1960~70년대 아방가르드 운동기에도 프린트의 속성이 매체 확장적으로 쓰였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은 한국미술에서 나타나는 표현방식에 있어서 흔적의 이미지가 비 물질적인 개념적 방식으로 연결되어 나타나는데 이것은 프린트 미디어의 표현과 관련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현대판화의 방법적인 프린트가 미디어적인 특성으로 나타났고 이것을 판화적 특성으로 명명하고 동시대미술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현대미술에 나타난 프린트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러한 프린트의 특징은 한국 아방가르드 운동에도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그 판화적 과정의 의미를 찾는 것이다. 이것은 전후 한국의 아방가르드 미술이 갖는 개념적인 행위의 특성에서 그 표현의 지표와 흔적을 프린트미디어로 찾을 것이며 이러한 실험적 태도와 과정의 이미지들은 한국의 실험미술이 프린트 매체로서 확산되고 있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현대미술사에 나타난 프린트 형식을 고찰하고 한국현대 미술의 1960년대 1970년대 아방가르드 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int media characteristics in Western modern art and aims to reveal that the media properties of print which have served as a medium for such modern art, also played a key role in the early years of Korean experimental art. The intention is to examine the medium-expansive use of the properties of print in contemporary art in the West and in the Korean avant-garde movement of the 1960s and 1970s. In Korean experimental art, the image of traces is connected in a dematerialized conceptual way, which is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print media.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ual behavior of avant-garde art in post-war Korea, we will find the indexes and traces of its expre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print media, and by focusing on the experimental attitude and the print images in the process, I will confirm that Korean experimental art was spreading through print media.

      • KCI등재후보

        판화란 무엇인가?

        권순왕 ( Soon Wang Qwo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3 예술과 미디어 Vol.12 No.3

        이 논문의 목적은 판화에 대한 또 다른 시각을 제시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판화는 회화와의 관계에서 창조적인 지평으로부터 소외된 것으로 잘못 알고 있다. 판화는 단지 단색으로 찍어내는 단순한 복제쯤으로 알고 있다는 것이다. 어디까지나 판화는 점을 찍는 행위와 선을 긋는 것, 그리고 면을 드러내거나 빠른 붓놀림으로 담아내어 표현된 회화성을 넘는 질료들을 포괄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존재에 대한 근원적인 사유에 해당하는 철학적인 용어이기도 하다. 판화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몸으로 담고 있으며 이러한 시지각적 생산들을 소통시키고 조합하는 매커니즘을 갖고 있다. 특히 미술가가 창조적 과정에서 겪는 사고의 지평을 판화의 순간으로 대체해 보면 판화는 그리는 행위를 말하는 명백한 단어이다. 이러한 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Ⅰ장의 서론은 표현의 과정을 다루게 된다. Ⅱ장 이미지 흔적의 과정은 판화가 관념이 시작되는 사물과의 대립각으로부터 생성되는 것이고 양자간에 이루어지는 마주보기로 설정된다. 첫째로 판화의 매개를 다루기 위해 거울장치의 예를 든다. 둘째로는 콜라주와 사물을 기술하면서 판화가 장치로서 현대미술에 개입되는 상황을 설명한다. Ⅲ장은 중첩된 판화로 이미지가 지표라는 구조를 만들어내는 창조적 역할을 미술사의 관점에서 강조한다. 후기모더니즘 시기 있었던 회화가 탈 신체를 통해 지각이 강조된 측면을 다룬다. Ⅳ장은 불가능한 가능성의 판화를 포스트모던을 다루었던 방식들로 살펴보는 것이다. 결국 판화가 표현성에 입각하여 그림에 이바지함을 매체 특정적 회화로 주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Ⅴ장은 결론으로 포스트모던 이후를 가능하게 하는 그림을 표방함으로써 판화가 21세기에 새로운 매체의 회화로 활약할 것을 창조적인 관점에서 주장할 것이다. 판화는 모든 장르에 걸쳐져 있는 특수한 촉매회화라는 용어이다. 미술이 단지 나타난 형식만으로 내용을 결정하고자하는 모더니티의 특성만을 고려함이 아니라면 모든 창조적 과정들이 관념의 씨앗으로부터 싹이 난다는 것과 개별적 입장들이 동시에 공존하게 될 창조의 마당이 되는 포스트모던 이후를 바란다면 판화적 방법이 중심이 된 그림은 더욱 풍부함을 갖게 될 것이다. 특히 동시대미술이 사고와 표현의 공존을 더욱더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안다면 그린다는 행위 속에 내포된 절대정신과 몸을 통해 기록되는 모든 표현들은 판화라는 용어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new sight of the printmaking. Many people have an incorrect conception of printmaking, considering it as something alienated from the creative work in relationships with painting. In other words, a print is misunderstood as a simple copy produced in monochrome. However, it is crucial to realize that a print embraces matters beyond the nature of paintings depicted by such activities as putting dots, drawing lines, creating planes and skilled brushstrokes. It is also a philosophical term relevant to the fundamental reasoning of existence. A print incorporates the process of creating images and includes the mechanism of communicating and combining such visual-perceptual creations. In particular, if the prospect of an artist`s thought during the process of creation is applied to the moment of printmaking, a print is a word clearly indicating the act of drawing. In order to explain this, the process of expression is presented in the introduction of Chapter I. In Chapter II, the process of image trace, a print is described as the output of the stance opposite to objects from which an idea comes into existence and explained as facing each other between both sides. At first, this study presents a mirror device as an example to deal with the medium of print. Secondly, it explains the circumstances where printmaking is involved with modern art as a method, describing collages and objects. In Chapter III, the creative role of duplicated print images to make an index structure is emphasized in the context of art history. This study also mentions the post-modernism paintings` emphasis on perception through focusing on objects beyond human body. Chapter IV focuses on describing printmaking of impossible possibility in the ways dealing with post modernism. What I suggest is that printmaking is a medium-specific art form contributing to paintings based on expressivity. Chapter V is the conclusion, in which I present a creative perspective that printmaking will play a role of a new medium of painting in the 21st century opening a new realm of painting beyond the post-modern period. The term of a print refers to a special catalytic painting that embraces all types of art genres. Given that fine arts does not simply mea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where the content is decided by only expressed form, the entire creative processes sprout from the seed of idea and people desire the creative period after the post modernism where individual stances co-exist at the same time, printmaking methods will impart more richness to paintings. Furthermore, the absolute idea implicit in the act of drawing and the entire expressions recorded by body can be substituted by the term of print if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temporary fine arts puts more emphasis on the coexistence of thought and expression.

      • KCI등재후보

        개념판화(Conceptual Printmaking)와 동시대 미술의 장치

        권순왕 ( Soon Wang Qwo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4 예술과 미디어 Vol.13 No.4

        판화개념의 변화와 확장은 판화 개념을 새로 바라보는 것이며 이러한 인식의 토대 위에서 판화는 사고를 중심으로 표현하는 것이며 동시대 미술과 함께 호흡해야 한다는 것이 본 논문의 중요한 지점이다. 무엇보다도 표현에 있어서 재현이 무엇인가는 원본성 논의의 출발점이 될 수 밖에 없다. 표현방법이 다양해지는 현대미술에서 무엇을 통해서 재현을 말하고 있는가는 어떤 지점에서 창작의 원본을 바라보느냐가 될 것이고 그런 의미에서 복수성으로 강조되는 판화의 원본성 논의는 시물라크르(simulacre)시대에 더욱 첨예한 논의일 수 밖에 없다. 원작자의 사고는 재현의 시작이요. 복제에서 오는 시각물의 차이와 유사성은 현대미술에서 지속적인 과정으로 다가오는 판화적 현상이다. 동시대미술에서 판화성은 오브제로 발견되고 이러한 사물의 반복되는 양상은 판화적인 프로세스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념미술의 주요한 전개가 판화개념에 있었고 이러한 것을 설명해 주는 반복체는 연속을 통한 개념적 미술의 축으로써 개념판화라고 제시하였다. 아울러 존재의 문제는 판화적 성찰 안에서 개진해야 되고, 그러한 맥락 속에서 판화적 관념도 새로운 시각으로 존재의 문제에 접근하였다. 또한 재현을 만들어주는 복제의 과정은 판화의 주요한 용어로서 현대미술에서 중요한 축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 논의 된다. 동시대미술에서 개념은 더욱더 중요해지고 있고 표현에 있어서도 반복되는 과정은 지속적으로 창작물에 영향을 주고 있다. 판화는 현대미술에서 중요한 지점으로서 개념을 만들어주고 형식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하나의 사고는 멀티플 오브제로서 존재하고 의미를 생산해낸다. 이러한 반복과 개념의 판화 메커니즘은 관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현대미술에 동력을 제공하고 있다. This is the main point of this study: the change and expansion of the conceptual printmaking is to have a new view on the concept of the printmaking and, based on such understanding, express the printing with a focus on thoughts and should interact with the contemporary fine arts. What is reproduction with respect to expression, above everything else, should be the starting point of discussions over the originality. In the modern art which can be as diverse as how it is expressed, how the reproduction is spoken through what is, in other words, from which point, the original creation should be looked at; in this sense, the discussion over the originality of the printmaking which is represented as plurality is becoming increasingly acute in the era of simulacre. The thinking of an original author is the beginning of reproduction and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that come from the duplication is a printmaking phenomenon that keeps occurring in the modern art as continuous process. The attributes of printmaking in the contemporary art are found as objects and their repetitive aspects can be seen as printmaking proces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ain development of conceptual fine arts lies in the printmaking concept and the repetition and continuation that explains this is the conceptual printmaking as the axis of conceptual arts. Also, the matter of existence should be stated within the introspection of printmaking and, in that context, the printmaking concept has been approached to the matter of existence from a new point of view. The process of duplication which brings reproduction is also discussed to emphasize the fact that it is an important axis in the modern arts as one of the main terminologies. A concept in the contemporary arts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and the process of repetition in expression has continually given influences. Since the printmaking, being an important part of the modern arts, makes concepts and creates forms, a single thought existsas a multiple objet and produces meanings. The mechanism of printmaking of such repetition and concept is offering powers to the modern arts through the interaction of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