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히노데소학교의 덕혜옹주 : 기억의 파편에 조우하며

        권숙인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0 일본비평 Vol.- No.2

        이 글은 필자가 우연히 발견한 덕혜옹주에 대한 기록을 소개한다. 단편적으로 알려진 바대로 덕혜옹주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녀로 태어났지만 일본의 식민통치에 의해 기구하고 비극적 인 인생을 살았다. 그러나 패망한 황실의 일원인 까닭에 그간의 역사에서 거의 가시화되지 못 한 인물이다. 이글에서 소개하는 내용은 옹주가 일본으로 강제유학을 떠나기 전에 4년간 수학 했던 경성 히노데소학교의 일본인 동급생들이 옹주의 학교생활에 대한 기억을 기록한 단편적 인 글들이다. 기껏해야 사소한 비공식 자료에 그칠 내용을 소개할 수 있는 것은 역설적으로 옹 주의 삶에 대한 기록이나 기억이 아직 많은 부분 누락되어 있는 덕분일 것이다. 나아가 불편한 역사적 기억의 복구란 과제가 조금은 더 강조될 수밖에 없는 이즈음, 무엇을 어떻게 복구하고 기억할 것인가를 질문하는 조그마한 에피소드가 될 수도 있겠다.

      • KCI등재

        디아스포라 재일한인의 '귀환': 한국사회에서의 경험과 정체성

        권숙인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8 국제지역연구 Vol.17 No.4

        This paper examines ethnic Korean 'returnees' from Japan focusing on their experiences in Korea and reception/perception of returning Koreans-in-Japan in Korean society. I also explore how experiences in Korea affect ethno-national identities and sense of belonging and loyalty for the returnees. Among the overseas diasporic Korean groups, the distinct feature of Koreans-in-Japan lies in that their history originat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and attitudes toward them in Korea are deeply influenced by the (post)coloni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which is not always congenial. Because of the (post)colonial relationship, many Koreans keep negative attitudes toward Japan, the Japanese, and Japanese culture and these negative feelings are often projected on ethnic returnees from Japan. Another characteristic of Koreans-in- Japan as an ethnic minority group within a nation-state is their high level of cultural assimilation coupled with a low level of structural assimilation. Thus, most of the second or third generation returnees have legal nationality of Korea and/but are inept in Korean culture including the language. But for many Koreans who tend to think Korean blood, culture, and nationality as a set required to make ‘a proper Korean,’ cultural incompetence of the returnees is hard to understand. What is worse, the native culture and language of the returnees in this case is ‘Japanese.’ Thus, Korean people often show high level of intolerance toward the returnees and hesitate to include them as fellow Koreans. The returnees, on the other hand, go through unexpected institutional barriers and prejudices and become disenchanted with their 'homeland'. Their former identities as a 'Korean' become challenged and problematized, and many come to embrace “jaeilgyopo” identities instead. 이 연구에서는 ‘조국’으로 ‘귀환’(return)한 재일한인(在日韓人)의 경험과 이들에 대한 한국사회의 수용과 인식을 고찰한다. 구체적으로는 일본에서 태어나서 자란 재일한인 젊은이들이 한국행을 선택하게 되는 배경과 목적, 한국에서의 경험, 그리고 이러한 경험이 그들의 귀속의식과 정체성에 끼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춘다. 특히 다른 디아스포라 귀환 사례들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재일한인의 사례가 갖는 독특한 이론적 함의에도 주목한다. 해외 거주 디아스포라 한인 중 재일한인이 갖는 특수성은 그 역사가 식민지배에 기원을 두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한국사회의 반응과 태도가 식민지배의 역사와 일본에 대한 한국인들의 태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다. 적지 않은 한국인들은 일본, 일본인, 일본문화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으며, 이런 감정은 종종 귀환한 재일한인에게 투사된다. 국민국가 속에 살아가는 소수 민족집단으로서 재일한인의 또 다른 특징은 이들이 문화적으로는 현지사회에 높은 동화양상을 보이면서도 구조적으로는 낮은 수준으로 동화되어 있는 점이다. 한국행을 하는 재일한인 후손 대다수는 한국국적을 유지하고 있지만, 언어를 포함해 한국문화에 대해선 무지하거나 서투르다. 그러나 많은 한국인들은 재일한인 귀환자의 한국문화에 대한 무지를 이해하기 힘들어 하며, 그들을 동료 ‘한국인’으로 포함시키길 주저한다. 그 결과 ‘보다 온전한 한국인’이 되기 위해 한국으로 온 재일한인 귀환자들은 ‘조국’에 도착해 여러 종류의 예상치 못한 어려움과 편견을 경험하면서 자신의 민족적 정체성을 수정하거나 타협해 간다. 재일한인 귀환자들은 한국에 오면 ‘더 진짜 한국인’이 될 거라 기대했지만 ‘한국인이 될 수 없음’을 깨닫게 되고, ‘자이니치’(在日), 혹은 ‘재일교포’라는 범주를 자신의 정체성으로 긍정해 간다.

      • KCI등재

        전후 천황제와 젠더 : 황태자비 마사코의 시련과 황실의 위기를 중심으로

        권숙인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3 일본비평 Vol.- No.9

        이 연구에서는 황태자와 혼인 후 장기간에 걸쳐 ‘적응장애’를 앓고 있는 황태자비 마사코의 ‘시련’ 을 창구로 삼아 일본 천황제에 내포된 젠더 문제를 고찰했다. 마사코의 시련을 통해 천황제를 조망 하는 것은 천황제도가 고수해 온 강고한 남성중심주의를 드러내 줄 뿐만 아니라 현대 일본사회에 서 천황제가 겪고 있는 ‘위기’의 한 중요한 원인을 살펴볼 수 있게 해준다. 황태자 나루히토와 마사 코의 혼인이 “황실의 새로운 시대의 개막”이라는 수사 속에 적극적으로 해석되기도 했지만 실제로 는 마사코에게 기대되었던 최우선의 역할은 황위 후계자 아들을 낳는 것이었다. 전후 상징천황제 가 ‘열린 황실’을 표방하며 새로운 모색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천황제의 핵심에는 시대의 변화를 부정하는 남계 왕조시대의 논리가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에 황위 계승의 위기에 직면 한 2000년대 초두 여제의 가능성이 적극 타진되었으나 남계 후계자가 확보되자마자 여제 논쟁은 서둘러 봉합되었다. 남계 계승자 확보 문제 외에도 마사코의 시련을 가중시킨 것은 사회 전반의 변화와 무관히 천황가 가 고수해 온 가부장적 이에(家)제도와 일종의 ‘극장국가’로서의 상징천황제가 내포한 근본적인 취약성, 그리고 이런 속성들을 뒷받침하는 논리로서 ‘만세일계’에 대한 믿음 등이 있다. 천황제가 고수하고자 하는 이들 ‘유구한 전통’은 일본사회의 여러 영역에서 불협화음을 일으키고 있으며 마 사코의 시련은 그 한 징후로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마사코의 ‘시련’은 현대 일본사회에서 천황제 의 존재방식에 대한 질문과 황실이 경험하고 있는 ‘위기’의 핵심과 맞닿아 있다. Taking Princess Masako’s prolonged ‘ordeal’ as a vantage point, this article explores the gender issues involved in the postwar emperor system of Japan. Even though many Japanese wanted to see the marriage of Masako and Crown Prince Naruhito as signaling “the beginning of a new era for the imperial house,” Masako’s first and foremost duty was giving birth to a babyson who will succeed the imperial throne. And Masako’s difficulties of and eventual failure in fulfilling this duty lie at the core of her post-nuptial hardship. This ‘hardcore’ logic of a patrilineal dynasty defies all the social changes, and it is not simply the ultimate cause of Masako’s suffering but also the causes of current ‘crisis’ of the imperial house and emperor system. Additionally, fundamental vulnerabilities of the ‘symbolic’ emperor system which functions as a sort of ‘theater state’ as well as the conservative group’s adamant ‘belief ’ in the “emperor’s unbroken descent line for ages eternal” also challenge the emperor system, bringing about discords and conflicts in various realms of Japanese society. In this regard, Princess Masako’s suffering is merely a symptom of the crisis that surrounds the imperial household, and reflecting on her ‘ordeal’ leads to the question of how the Japanese emperor system is to survive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소토코모리, 일본 밖을 떠도는 젊은이들 : 시대의 폐색으로부터 탈출, 혹은 신자유주의의 희생양?

        권숙인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1 일본비평 Vol.- No.5

        이 글에서는 현재 일본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소토코모리 현상에 대해 살펴보고 그것이 갖는 의미를 고찰한다. 소토코모리는 일본 밖, 특히 ‘아시아’로 나가 은둔(“진성 소토코모리”)하거나 장기간 아시아 각지를 떠도는 일본의 젊은이들(“침몰형 배낭여행 자”)을 지칭한다. 어느 경우가 되었건 일본의 주류 사회, 혹은 규범화된 삶의 방식에 적 응하지 못하거나 그것을 거부한 젊은이들이다. 여기서 말하는 일본의 주류 사회란 학 력사회, 기업사회, 노동자 윤리로 짜인 전후 일본의 사회시스템을 지칭한다. 좀더 구체 적으로 살펴보면 소토코모리가 되는 배경에는 청년기 이행에 실패하거나 경쟁에서 낙 오한 사람들의 자폐적 도피, 방황하는 청춘의 자아 찾기, 일본적 모더니티가 초래한 폐 색, 신자유주의적 고용 구조의 확산, 일본사회의 관계적 특수성 등 스펙트럼이 다양하 다. 물론 이들은 서로 겹치며 일부 일본의 젊은이들로 하여금 아시아를 찾게 했을 것이 다. 흥미로운 지점은 이 젊은이들이 향하는 곳이 ‘아시아’란 점이다. 이때 말하는 ‘아시 아’는 근대화가 덜 되었고 분위기가 느슨한 동남아시아의 도시들이며, ‘아시아’에 일본 이 포함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일본적 모더니티의 안티테제로 설정된 ‘아시아’에서 치 유와 구원을 구하는 일본 젊은이들의 태도에서는 분명 오리엔탈리즘의 혐의가 읽히지 만, 소토코모리의 아시아 지향이 내포하고 있는 일본사회에 대한 비판의 가능성 또한 명백하다. 요컨대 90년대 이후 침몰형 배낭여행자의 등장과 최근 소토코모리의 출현은 한편으로는 불황과 구조조정 속에 일본 젊은이들이 느끼는 불안과 좌절에 덧붙여 전지 구화가 일상이 되어 버린 고도 현대가 개인에게 끊임없이 강요하는 성찰적 자아기획의 압력, 나아가 동아시아의 압축적 모더니티가 초래한 혼돈이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reviews and explores the group of young Japanese people who are referred to as ‘sotokomori’. Sotokomori are the young Japanese who migrate out of Japan into ‘Asian’ cities in oder to lead an idle and secluded life (“genuine sotokomori”), or those who wander about Asian countries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sunken backpackers”). Whether they are ‘genuine sotokomori’ or ‘sunken backpackers’, sotokomori are the people who either rejected or could not adjust to the way of life that has been established as ‘normal’ in the post-war Japanese society. There are several social and personal backgrounds for them to become sotokomori; failure to bridge oneself from school to work environments, falling behind in competition, the quest for self-identity, suffocation from Japanese modernity, expanding neoliberal employment structure, and stress from personal relationships. What is interesting about sotokomori movement is the fact that their destinations are within ‘Asia’, especially the towns and cities of Southeast Asian countries that are less modernized and more ‘relaxed’ in the atmosphere than Japan. Asia does not include Japan by definition of this context. There is a sense of orientalism among those young Japanese people who head out to the Asian cities in search of emotional healing and psychological salvations from the Japanese society, for these ‘Asian cities’ supposedly symbolize the antithesis of Japan’s modernity. At the same time, the emergence of ‘sunken backpackers’ since the 1990s and the recent rise in the number of sotokomori can be best understood as the epitome of their anxiety and frustrations toward Japan’s prolonged economic recession and industrial restructuring, which evidently have created highly-elevated pressure for reflexive project of self-making as well as the chaos caused by the compressed Japanese moder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