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범죄피해자의 외상 후 증후군(PTS) 진단 및 예측 도구 적용에 있어서의 법적 문제점 및 해결방안

        권솔지(Kwon, Sol ji) 한국피해자학회 2017 被害者學硏究 Vol.25 No.3

        Well-known reality is that there are too many criminal victims suffering post-traumatic symptoms (PTS) such as depression, panic disorder and suicide impulse. Reportedly, over the 40 % of victims are especially suffering from PTS after violent crimes. It is really time to make a plan for better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PTS development for a specific victim after the accident. Since it is reported that the golden-time for preventing PTS is no more than 90 days after the crime, we do not have much time to organize truly specialized experts team for providing the victim with best diagnostic and treatment skills. Which is more efficient would be to apply a simplified diagnostic tool to them and to sort out some of them as high risk group. That is the reason why we have tried to invent PTS prevention and prediction kit for criminal victims. It is made with bio-marker detection units and chemical units. These two act and react each other, and as a result, we may easily verify the signs of PTS in a bio-marker of a victim such as a blood sample. This kit should not be applied by any emergency service provider under the Medical Law of Korea. Only authorized medical personnel can use it for prediction and diagnosis of PTS, which undermines the efficacy of PTS prevention scheme that we are trying to organize. One of the best solutions would be, on the one hand, ameliorating the specificity of PTS diagnostic tools and, on the other, amending the related laws in order that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can play more active role on the scene with the PTS kit.

      • KCI등재

        아동학대 행위분류와 새로운 대응방안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아동복지법 개정을 중심으로 -

        권솔지 ( Kwon Solji ) 한국소년정책학회 2021 少年保護硏究 Vol.34 No.1

        For solving a problem, we need to know what is the reason for it. We may not properly handle the problem of child abuse if we hurry up responding to it without carefully thinking about from which point we have lost the right way and redesigning how to change the route for the final destination: effective protection of abused child. There is a crime of “child abuse” and an “act” of child abuse. Sometimes we need to prosecute the parents because they committed a crime but they are often doing bad acts on their kids even if the prosecutor may not intervene with various coercive measures for stopping their abusive act. This article is written for arguing that it is time to redefine various abusive acts and to redesign the way to respond to them. We have too much focused on child abuse crime committed by the parents: the Specific Act on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hereinafter “the Specific Act”) was in on the center of our child protection system. However, the Specific Act was not so successive in carrying out the mission. Police officers have been hesitant about arresting the parents under the Specific Act because it would be against the victim’s interest. They could not do any thing in situation where they do not have other options for protecting the victim outside the scheme of the Specific Act. Thus, we have to revisit and rewrite the Child Welfare Act for providing with proper tools for preventing parents’maltreatment, to which the Specific Act is not applicable. This Article shows the map of redesigning how to respond to child maltreatment and proposes a possible revision of the Child Welfare Act.

      • KCI등재

        주거침입죄에 관한 최근 대법원 판례의 동향 ― 주거침입죄의 구성요건적 행위로서의 침입의 의미에 관한 판례의 태도를 중심으로 ―

        권솔지 ( Kwon Solji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서울법학 Vol.30 No.4

        우리 대법원은 사실상의 평온을 해하지는 않으나 거주자의 의사에는 반하는 출입에 관하여 주거침입죄를 인정해왔다. 즉, 주거침입죄를 구성하는 행위로서의 ‘침입’을 거주자인 등의 의사에 반하여 주거에 들어가는 것이라고 해석하는 태도를 보여왔다. 그런데 최근 대법원은 위와 같은 태도를 정면으로 변경하였다. 간통 목적의 주거침입에 관한 사건에서 전원합의체 판결로 주거침입죄의 구성요건적 행위로서의 ‘침입’의 의미와 판단 기준을 다르게 판단한 것이다. 이후 2022년 선고된 주거침입에 관한 판례들이 모두 위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선언한 ‘침입’의 의미를 따르고 있다. 주거침입죄의 구성요건으로서의 침입의 의미 자체에 이미 거주자의 허락 없이 함부로 들어오는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한 침입행위를 하는데 거주자의 의사를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 거주자의 의사를 완전히 배제한 채, 사실관계에서 확인되는 객관적·외부적인 요소로만 억지로 한정 지어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자칫 공허한 판단이 될 수 있으며 어떤 행위가 사실상의 평온을 깨트리는 행위 태양으로 들어온 것이라고 인정할 수 있는지도 불명확하여 오히려 일반인은 물론 법률가들에게도 혼란만 가중시키는 상황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주거침입죄의 성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침입행위’를 해석할 때에는 거주자의 의사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즉, 주거침입에서의 침입행위는 거주자의 명시적·묵시적 허락을 받지 않은 채 사회적 평온을 깨트린다고 인정될 수 있는 행위 - 폭력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들어가거나 몰래 들어가거나 다수의 위력을 보이거나 거주자, 관리자를 속여 들어가는 등 - 로 들어간 경우에 인정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이렇게 평가해야만 주거침입의 성립 여부를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거주자의 의사와 행위자의 침입 목적이 필연적으로 결부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대법원이 침입행위를 해석함에 있어 범죄 목적으로 주거나 건조물에 들어간 행위에 관하여 단순히 행위 태양만을 고려하여 주거침입죄의 성립을 부인한 것은 타당한 평가라고 할 수 없다. 범죄 목적으로 출입을 한 경우에도 거주자 또는 관리자의 묵시적인 반대의사가 출입 당시 존재할 수 있고 그렇다면 범죄 목적을 가지고 들어가는 행위는 거주자의 사실상 평온을 깨트리는 행위가 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석해야만 일반인들의 법 감정에도 부합하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outh Korean Supreme Court had pleaded guilty to breaking into a house in violation of the residents' permission, although it did not harm the actual peace of the residency. It was the result of interpreting ‘invasion’ as an act of entering into house without the residents’s consent on it. However, recently, the Supreme Court has changed the way of interpretation and reconstructed the word ‘invasion’ in a totally different direction. In the case of entering for adultery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innocent spouse, the meaning and criteria of ‘invasion’ as a constituent element of the crime of residential intrusion was pronounced differently from that of previous majority opinion. Since then, all the cases dealing with various house-breaking in 2022 have followed this new majority rule and interpreted the “invasion” as breaking into the house in the mode which is not acceptable by the occupants as not provoking the actual peace of housing. Now further clarification is needed regarding the entering with a criminal intent. In case of entering a house or a mart for larceny or other criminal purposes, the owner will be opposing to it, whether openly or impliedly, and this act should be decided as a criminal breaking, even though it did not disturb any actual peace of the occupancy. It would be also a good option to revise the actual wording of burglary code, since there are so many different cases or accidents where it is enormously hard to decern what is legal from what is illegal.

      • KCI등재

        아동학대 판단척도(Child Abuse Assessment Tool)의 활용에 관한 연구

        권솔지(KWON, Solji),이경주(LEE, Kyungjoo),김희균(Kim Heekyoon) 대검찰청 2018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59

        우리는 오래도록 아동학대를 문제로 생각하지 않는 사회에서 살아 왔다. 특히 가정 내에서의 아동학대가 사회문제가 된다는 생각 자체가 20세기 미국이 발견해낸 성과다. 당시 학대 받는 아동을 최초로 도운 단체는 뉴욕의 동물보호단체였다. 가정 내에서의 아동은 동물보다 못한 취급을 받아 왔다는 점이 아동학대 문제의 뿌리를 짐작케 해 준다. 아동학대는 특이한 범죄가 아니다. 우리 중 많은 수가 이미 해오던 일이다. 그러다가 범죄로 규정되었고, 처벌이 두려워서 지금은 덜하고 있을 뿐이다. 그렇다고 우리의 본성이 다 바뀌어서 대부분의 성인들은 아동학대를 하지 않는데, 몇몇 사회화가 잘못된 성인이나 사는데 찌든 부모들이 무지막지하게 애들을 때리고 있는 것일까. 그렇게 생각하는 한 아동학대 문제의 해법은 잘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아동학대가 우리들 본성에 알게 모르게 오래 전부터 자리 잡아 온 행위라는 점을 인정하는 데서 해법 찾기를 시작해야 한다. The definition of ‘maltreatment’ includes a wide range of illegal acts committed to children and resulted in physical harms on their body and mind. The term ‘child abuse’ which is extensively employed in describing parents’ malicious acts on their kids is, in a certain sense, defined as one of ‘maltreatments’. Thus, by using the term ‘maltreatment’, we may not clarify what kind of act we want to deal with. We need more practical and clearer definition if we talk about a specific act of an adult, and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its meaning and implications. I propose that we should employ several terms to depict various illegal acts done by parents according to their severity or influence upon the welfare of a child. For example, with ‘child abuse’, I want to define a criminal maltreatment upon a child, and which should entail a penalty of imprisonment for the actor. To the contrary, regarding ‘illegal treatment’ or ‘reasonable punishment’, I do not think that the society make harsher response to the actor. It would suffice that the authorities, in addition to giving a warning for the actor, order preventive measures to the parent taking consideration of the welfare of a child. Certainly, a reasonable punishment is not a criminal act and we do not need to impose any deterrent measures to the actor. Child Abuse Assessment Tool is an index that we have invented for measuring the severeness of an act of maltreatment. If it amounts to between the range of 6 and 81, we may conclude that there was severe maltreatment or a child abuse for which a criminal sanction should be imposed. However, the CAAT scores under 6 or even under 2, a specific act resulted in that number should be defined as an illegal act or a resonable punishment. The CAAT will help ordinary parents or caretakers correctly screen their everyday abusive act on children with or without intent, and better understand which kind of act they can do against minors and which they cannot.

      • KCI등재

        성폭력 범죄피해자의 PTSD 관련 법적 쟁점 연구 - 범죄사실의 입증과 피해자보호의 관점에서 -

        권솔지 ( Kwon Sol-ji ),김희균 ( Kim Hee-kyoo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7 No.4

        뼈가 부러지거나 살갗이 찢겨나가는 것보다 더 아프고 깊을 수 있는 상처가 바로 PTSD다. PTSD가 발병했다는 점을 우리 사회가 보다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여러 뇌과학 연구결과들이 얘기하고 있다. ‘약간 안정을 취하면 되는 거 아니야?’라고 쉽게 보아 넘겨서는 안 된다. 그럴수록 수많은 성범죄 피해자들이 보호의 사각지대로 몰리고, 가해자들에게 죄에 상응하는 처벌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제라도 경각심을 가지고 PTSD 발병 성폭력 범죄피해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범죄피해자 연구와 관련해서 PTSD가 특별한 이유는, 그것이 양날의 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PTSD는 피해자의 의식 속에 깊이 남아 있는 상처이고, 생체지표를 통해서 과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처이기 때문에, 가해자 처벌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하지만 그 상처를 기억 속에서 꺼내 놓음으로 해서 2차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2차피해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피해 사실이 가해자 처벌에 정황증거나 양형자료로 쓰일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PTSD를 앓고 있는 성범죄 피해자들이 원하는 것은 정당한 처벌과 피해회복, 정상적인 사회생활로의 복귀이다. 그들이 겪는 정신적 상처도 육체적 상처와 다르지 않다. 치료하는 데 비용이 들고, 여파가 남고, 정상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장애가 된다. 그런 상처를 안긴 사람들에 대해서는 상처 값만큼 가중처벌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건해당성과 위법성 판단의 보조자료, 또는 양형자료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정신적 상처는 육체적 상처와 달리 아직도 ‘진행 중’인 상처라는 특징이 있다. 치료계획을 세우는 데 있어서도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고, 피해자들을 사법절차에 참여시키는 데에도 신중한 배려가 필요하다. 배상명령 제도 등 사용 가능한 모든 제도를 통해 최대한 신속하게 피해회복에 나서고, 그러면서도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법절차 상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s a type of disease which affects badly upon the lives of criminal victims but our legal system has not paid much attention on it for a long time. It is also true regarding sexual assault. The victims of sexual assault could not raise an issue about the disease they were suffering, for the purpose of proving that the offender had committed the criminal act upon them and, as a consequence, their lives had been totally ruined and their mental health critically damaged. All that they could do was just to attend at the trial despite of the danger that they had to re-experience the life-threatening event in the course of confronting the defendant at the court. PTSD is a mental disease the effect of which may be severer than even the cerebral infarction. Some say that it is no less dangerous than cancer for the patient in the long run of life. It is reported that more than 30 % of victims of sexual crimes may suffer the disease, permanently or not, in their lives. We are thus insisting that our legal system must be ready to deal with those kinds of victims with various means of support such as victims’ advocate and restitution orders.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Criminal Victims announces that every victim is supposed to participate in the criminal process for the purpose of prosecuting the offender without any risk on their safety and health. However, as a matter of reality, PTSD victims are not effectively and carefully protected by the law enforcement personnel and the participants of the criminal process. It is the time to re-evaluate our legal system and find out what we have to do for keeping them safe from the secondary damage in the course of rebuilding justice and resuming their normal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