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권세현,김영석 대한지질공학회 2016 대한지질공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16 No.1
주향이동단층대의 기하적인 불규칙성은 주단층의 운동감각과 단층의 굴곡방향에 따라 인장성(releasing) 내지 압축성(restraining)의 변형구조를 발달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부지각에서이러한 단층운동에 수반된 취성 응력변형(strain)은 단층발달과 지표변형뿐만 아니라 유체거동을 제어함으로써, 지반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자원배태 특성을 좌우할 수 있다. 연구지역인 울산시신암리 지역은 각섬석화강암을 기반암으로 하여 이를 관입하고 있는 규장질 및 고철질 암맥, 석영맥 그리고 단층파쇄대가 형성되어 있다. 역학적으로 균질한 암석인 화강암체(Ca. 65Ma)를 관입한 ENE-WSW 방향의 고철질 암맥(ca. 44Ma)은 후기 변형작용 시 불연속면으로 작용하여,주단층의 재활시 응력집중을 유발하여 지반의 불안정성을 유도하였다. 고철질 암맥에 집중된응력변형의 특성을 해석하기 위하여 N-S방향으로 트렌치를 개설하였으며, 이를 통해 노출된 지질구조요소들의 상호절단관계를 토대로 기하학적 및 운동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구조변형사를 수립하였으며, 단열발달 시 작용한 고응력 방향을 유추하였다. 단열분석 결과(1) 기반암 관입 이후 적어도 NNE-SSW, ENE-WSW, E-W, WNW-ESE 방향의 단열들이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2) NNE 내지 N-S 방향의 σHmax/E-W 방향의 σHmin 하에서 NNE-SSW 및 E-W방향의 규장질 암맥이 관입하고, (3) E-W 내지 ENE-WSW 방향의 σHmax/N-S내지 NNW-SSE 방향의 σHmin 하에서 E-W 내지 ENE-WSW 방향의 고철질 암맥이 관입하였으며, (4) E-W 내지 WNW-ESE 방향의 σHmax/N-S 내지 NNE-SSW 방향의 σHmin 하에서 열수주입과 관련된 석영맥들의 발달, ENE-WSW 방향의 주단층 우수향 운동이 있었고, (5) NNE-SSW 내지 NE-SW 방향의 σHmax/WNW-ESE 내지 NW-SE 방향에서 작용하는 σHmin 하에서 E-W 주향의 열수관련 석영맥 좌수향 재활과 ENE-WSW 방향 주단층의 정이동성 좌수향 재활운동이 있었고, 최종적으로 (6) NW-SE 방향의 σHmax/NE-SW 방향의 σHmin 하에서 ENE-WSW 방향의 주단층은 역이동성 우수향 재활을 겪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는 암맥의 전체적인 기하에 규제된 국지적인 인장성 및 압축성 응력변형에 의한 주단층 재활 및 소단층들의 발달로 해석된다. 따라서 연구지역 내 고철질 암맥의 전체적인 기하가 우수감각 굴곡(right bend)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단층 및 단열은 주단층 재활시 작용한 고응력 방향에 따라 횡인장성 혹은 횡압축성 응력변형에 의해 제어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등방성암체 내에서의 단층발달 시 암맥의 기하적형태가 하나의 중요한 제어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화강암의 암반내에 위치한 주요 시설물의 부지 안정성 평가 및 차후의 지진재해 대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복소쌍입력 기술함수를 갖는 비선형 보상기를 이용한 유연한 빔의 진동제어
권세현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1999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Vol.23 No.2
In this paper a vibration control fo a one-link flexible beam is considered. At first a state-space model for a flexible beam is derived by using the assumed-modes approach. Based on this model the transfer function between the applied torque and the tip deflection fo the beam is presented because it is convenient to apply our method. In general there exist some control difference due to flexibility of the beam so we adop a forward-passive controller to reduce these phenomena. And a complex dual-input describing function compensator is used to control the tip deflection. The stabiltiy and the performance of the closed-loop system are analyzed. Finally the validity of the derived model and the effectiveness of proposed controller are confirmed throuth simula-tions and experiments.
직무도전성, 학습민첩성, 업무몰입, 혁신적 업무행동의 구조적 관계 - K기업을 중심으로
권세현,이진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2 No.2
Reviewing and demonstrating the leading factors for innovative work behavior as a key factor that can guarantee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is to pro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workplace environment following the new management paradigm and to identify factors necessary for the organization's continued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job challenge, learning agility, work engagement,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for manufacturing-based firms, which have not yet studi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novative work behavior of employe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rvey responses of 331 employees in the headquarters of K enterprise-based on manufacturing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pre-analysis of the input data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challenge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challenge and learning ag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challenge and work engag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work engag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ixth,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ork engagement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and work engagement between job challenge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artial. Based on these finding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조직의 경쟁우위 확보와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의 혁신적 업무행동이 필수적이다. 더불어 조직에서는 혁신을 위한 중요 요소로 구성원의 직무도전성, 학습민첩성, 업무몰입 등을 계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적 업무행동의 선행변인으로 직무도전성, 학습민첩성, 업무몰입을 선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실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조업 기반의 K기업을 대상으로 본사 직원 331명의 설문응답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고, SPSS 21.0과 AMOS 21.0을 활용하여 예비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직무도전성과 혁신적 업무행동 간의 정(+)적인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직무도전성과 학습민첩성 간의 정(+)적인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직무도전성과 업무몰입 간의 정(+)적인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학습민첩성과 혁신적 업무행동 간의 정(+)적인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학습민첩성과 업무몰입 간의 정(+)적인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여섯째, 업무몰입과 혁신적 업무행동 간의 정(+)적인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직무도전성과 혁신적 업무행동 사이에서 학습민첩성과 업무몰입의 매개효과는 모든 경로에서 유의하게 확인되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권세현,Kwon, Se-Hyun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9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10 No.3
PID controllers are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for implementation. However, they may produce large overshoots and over-oscillatory responses. Combining PID control with other control techniques often results in advanced hybrid schemes that are able to improve pure PID controllers. This paper proposes hybrid controller for position control system of servo motor. The proposed controller is composed of a subcontroller and a parallel PID controller. The subcontroller improves the transient system performance while the PID controller is mainly responsible for the steady-state system performance. A very promising advantage of this hybrid scheme, in terms of controller synthesis, is that the subcontrollers and controller components can be designed separately. Systematic design methods for various controller components are developed. The proposed hybrid scheme is applied to a DC motor position servo syste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ontroller is verified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results.
마스크 필터의 효율 최적화 및 호흡 저항 감소에 관한 연구
권세현,홍자영,정상빈,허기준,이병욱,Kwon, Sehyun,Hong, Jayoung,Jeong, Sang Bin,Heo, Ki Joon,Lee, Byung Uk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 2016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Vol.12 No.3
We conducted experiments on mask filters. We measured filtering efficiencies of several new mask filters which were manufactured by disassembling and reassembling of one type of mask filter. New filter (A+C: combination of the first layer and the third layer of the tested mask filter)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97.7%) with the respiratory resistance of 98 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