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초등학생의 읽기동기에 관한 연구

        권민균(Min Gyun Kwon) 한국아동학회 2002 아동학회지 Vol.23 No.3

        This study analyzed various factors of reading motivation and motivational differences between grades and gender. An urban sample of first-, third- and fifth- grade children completed the Motivation for Reading Questionnaire (MRQ; Wigfield & Guthrie, 1997). The MRQ assesses such possible factors of reading motivation as self-efficacy, intrinsic-extrinsic reading motives, and social aspects of reading. Factor analyses and cronbach`s a demonstrated that 10 factors of children`s reading motivation could be identified and measured reliably. Mean scores on most of the factors differed by grade and gender, with girls and lower grades reporting stronger motivation. This study found that children`s reading motivation is various and decreases as children mature. Various efforts to encourage children`s motivation for reading are suggested in this study.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동화시간에서의 독서관점과 이에 대한 유아의 반응에 관한 연구

        권민균,최보가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0

        본 관찰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동화시간에 유아도서를 읽어 줄 때 취하는 독서관점은 무엇이며 이에 따라서 유아도서 읽어주는 모습은 어떠한 가를 기술한 것이다. Rosenblatt (1978)의 심미적 혹은 전달적 독서관점 이론이 유치원 교사의 유아도서 읽어 주는 목적 및 의도를 판단하는데 활용되었다. 연구의 참여자는 7세 두 개 반 유치원 교사와 유아들이었다. 각 교사의 동화를 읽어 주는 모습은 특징적 차이가 있었다. 한 교사는 동화에 대한 주관적 혹은 개인적 느낌의 표현을 장려하고 상상의 이야기 세계와 현실세계를 동일시하도록 하고, 이야기의 전개에 있어서 다양한 예측을 장려하며 결말에 대한 여러 가지의 가능성을 열어 놓고 극놀이 활동을 통한 유아들의 참여를 유도하였다. 이는 Rosenblatt의 독서관점 중 심미적 독서관점에 의한 활동이라고 기술할 수 있다. 반면 다른 교사는 동화를 읽어 줄 때 구체적이고 객관적 사실을 설명하고 이야기의 등장 인물과 해설자의 분리적 관계를 분명히 하였고 이야기 줄거리를 요약하였으며 결론적으로 도덕적 교훈의 습득을 강조하였다. 이는 Rosenblatt의 독서관점 중 전달적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각 교사의 관점은 유아의 반응을 관점의 특징에 유사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유치원 교사가 유아에게 책을 읽어 줄 때에는 한 가지 의도로만 읽어 주기보다는 유아들의 이야기 세계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위하여 두 가지 관점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되었다.

      • 학령기 아동의 읽기에 대한 태도의 발달

        권민균 창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1 생활과학연구 Vol.5 No.-

        This review study explored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of positive attitude toward reading on a child's reading ability. First, the role of the parents, teachers and peers on a child's experience of reading was discussed. The role of parents, teachers and peers were important for fostering a child's positive attitude toward reading in that they introduce a meaning, purpose and processes of reading activity to the child. Second, the role of a child's sex, age and the context were discussed. Depending on a child's sex, age and context, the reading attitude can be fostered differently. Finally,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fostering a child's positive attitude toward reading were proposed, This review study should be extended for future empirical research on a child's development of reading attitude.

      • KCI등재

        『漢書』 「五行志」 譯註 Ⅷ

        권민균 중국사학회 2023 中國史硏究 Vol.- No.142

        본 譯註의 대상은 漢書 卷27下之上, 「五行志」第7下之上이다. 저본은 北京 中華書局 2002년판 標點本을 사용하였으며 역주 범위는 pp.1441~1457이다.

      • KCI등재

        한초 유학부흥 배경과 『상서』의 복원

        권민균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6 泰東古典硏究 Vol.36 No.-

        본 논문에서 필자는 한초(漢初) 문제(文帝) 시기 『상서(尙書)』의 복원 배경과 목적을 분석하고, 복원 목적에 부합하는 『상서』의 정치사상적 특징에 대해 논하였다. 그리고 무제(武帝)이전 유가의 발전 과정에 대해 고찰하고 한초 황제의 ‘덕치’지향이 『상서』의 의리로부터 비롯되었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문제의 여러 조서에서 볼 수 있듯이 문제가 유가적 황제상을 지향하고 있었음은 분명하기 때문에, 이 시기 이미 황제권력이 유학을 수용해서 진(秦)과는 다른 모습의 황제권력의 상(象)을 창출하려고 했음을 충분히 상정할 수가 있다. 전한시기 상서학(尙書學)의 핵심은 요(堯)가 행했던 태평성세의 정치를 배우고, 더 나아가 성왕이 남긴 교훈을 실제 정치에 적용, 시행하고자 하는데 있었다. 또 황제의 ‘덕치’에 대한 이해가, 문제 때 조착을 제남의 복승에게 보내 『상서』를 전수받게 했던 시점으로부터 본격화된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상서』 복원 이후, 황제는 말마다 요․순 임금을 언급했고 자신의 덕을 성인과 비교하며 ‘부덕’을 탓하기도 했다. 조익(趙翼)이 언급한 전한 황제의 하늘에 대한 ‘두려움’은 마치 『상서』 군석(君奭)편에서 주공(周公) 단(旦)이 소공(召公) 석(奭)에게 경계하며 말한 ‘천명은 보존하기 쉽지 않고, 하늘은 믿기 어렵다[天命不易, 天難諶]’라는 구절을 연상케 한다. 즉 덕이 쇠하면 하늘은 통치자의 천명을 보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쇠한 덕을 회복하기 위해 전전긍긍하면서 사면령을 내리고, 백성을 보호하고, 현자를 등용하는 등의 정치행위에서 『상서』의 교훈을 표면적으로 이행하고자 했던 황제의 의지를 발견할 수 있다. 여기서 『상서』의 복원 의미와 전한시기 정치에서 그 영향을 살펴볼 수 있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restoration of Shangshu(尙書) during pre-Han[前漢] period, and discussed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 of Shangshu proper for the purpose of restoration. Also, considere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Confucianism before Wudi[武帝] and suggested a point that ‘virtue’ ruling of the emperor before Wudi came from the content of Shangshu. As in various imperial edict of Wendi, it was definite that Wendi aimed at Confucian emperor image, accordingly, Wendi period seemed to have intended to created the image[象] of emperor power in different figure from Qin(秦) dynasty by Emperor accepting Confucianism. The core of Study of Shangshu(尙書學) during pre-Han period was to learn the politics of reign of peace that Yao[堯] conducted, furthermore, to apply and conduct the sage king’s lesson in the actual politics. Also, it is remarkable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emperor’s ‘virtue ruling’ was regularized since the point when Shangshu was transmitted when Wendi sent Zaocuo[鼂錯] to Fusheng[伏勝] of Jinan[濟南]. Since the restoration of Shangshu, the emperor mentioned about emperor Yao․Shun[舜] every time, complaining about ‘lack of virtue’, comparing his own virtue to the saints. It reminds of the phrase, ‘Fear’ of emperor of pre-Han about heaven, mentioned by Zhaoyi[趙翼], ‘Heaven’s order is difficult to preserve, and the heaven is hard to believe[天命不易, 天難諶]’, Zhougong[周公] Dan(旦) talked to Shaogong[召公] Shi[奭] warning in Junshi[君奭] part of Shangshu. That is, heaven does not protect the heaven’s order on the ruler when virtue disappears. The emperor’s will could be discovered, who intended to practice the lesson of Shangshu through the political act, nervously ordering a decree of amnesty, protecting the people to recover the exhausted virtue. Here, ideological influence of Shangshu could be investig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