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영국도서관 소장 『翻譯名義集』에 대하여

        국어사학회 국어사학회 2018 국어사연구 Vol.0 No.27

        본고는 영국도서관에 소장된 『번역명의집』(翻譯名義集)의 서지와 소장 경위를 소개하고, 국어사적 탐구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 책은 불경의 한역 과정에서 다종다기하게, 때로는 잘못 사용되는 용어를 그 내력을 밝혀 가며 올바른 용법과 의미를 찾아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사전이다. 영국도서관에 소장된 『翻譯名義集』은 1143년에 송나라 법운(法雲)이 편저한 책의 1300년 이전 보완본을 저본으로 하여, 조선 세조 3년 의경세자의 훙서를 기화로 을해자 활자본으로 펴낸 책이다. 같은 시기 같은 절차를 거쳐 간행된 것으로 보이는 『翻譯名義集』 낙질본이 서울역사박물관에도 소장되어 있다. 이 책은 1089개 불교 용어를 64개 편(篇)과 속보에 나누어 편저하여 7권으로 간행되었다. 각 편명도 표제항처럼 풀이하고 있으므로 사실상 1153개 표제항이 집필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표제항과 설명에는 음주와 내용주가 추가되기도 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본문과 난상에 수정이 가해졌다. 권7 다음에는 간행 경위를 알려주는 세조의 어제발을 비롯하여 여덟 권신의 발문이 부재되어 있다. This paper aims at introducing PŎNYŎK-MYŎNGŬIJIP (BYEONYEOK-MYEONGEUIJIP) that has been owned in The British Library since 1907. This book is a dictionary for Buddhist terminology that comprise sino-calque from Sanskrit. This book was published as replica of the revised edition that was imported to Joseon until 1300. The original edition had published by Beopun (法雲) in Song Dynasty. This Joseon edition was for praying for the repose of Euigyeong prince, who died as “Donggung,” the son of Sejo in 1457. This book has 1089 headings categoried with 64 themes, each is the chapters of the dictionary. And for the headings and main explananda thereof, there are notes for pronounce on the one hand, and for content on the other. And for the repose project of Dynasty there are one epilogue of Sejo, and eight of courti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大韓每日申報』 1910년 사설의 문체 특성

        국어사학회 국어사학회 2018 국어사연구 Vol.0 No.27

        이 글은 19세기말에 출현한 여러 유형의 국한혼용문이 19세기말에서 1910년에 이르는 사이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는지, 그리고 그 결과는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1910년의 신문 사설에 쓰인 국한혼용문이 지니고 있는 문체 특성을 바탕으로 이해하는 데에 일차적인 목적을 두었다. 아울러 그러한 특성이 현대 한국어 문체 형성사의 이해라는 측면에서 지니는 의미를 용언류 용법에서 고유어 용언의 사용 확대와 한문구 용언의 해체를 통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근대계몽기 국한혼용문 유형론에서 유형 구분의 근거로 삼았던 요소들이 1910년의 사설 텍스트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분석 대상이 된 사설 텍스트에는 이전 시기의 여러 유형의 국한혼용문이 지니고 있던 특성이 섞여 있지만, 전체적인 문체는 이전 시기의 국한혼용문보다 한문 문법의 영향을 벗어나려는 모습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대한매일신보』의 사설과 19세기말 국한혼용문의 대표적 문체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는 『서유견문』 텍스트를 용언류의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대조하여, 두 국한혼용문이 보여주는 차이가 문체 현대화의 특징인 한문구의 해체 및 한자어 용언의 고유어화에서 기인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한문구의 해체는 특히 부정표현의 방식이 한문구 용언를 이용하는 방식에서 고유어 용언을 이용한 표현으로 바뀐 것이 대표적인 예로, 이를 통해 텍스트 안에서의 부정 표현 용언류의 용례가 대폭 늘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way how the 4 types of writing style in the mixed-scripts influenced each other during the ends of 19th century and the year of 1910, by analy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style of the editorials of Dae-Han Mae-Il Shin-Bo in 1910. In chapter 2, by counting the numbers of editorials which are containing the defining factors of 4 the types of Mixed-scripts, the author concluded that the writing style of the editorials are based on the writing style of Seo-Yu-Gyeon-Mun, but various defining factors of the other types are included in one editorial,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he signs of unification of the writing styles of pre-modern mixed-scripts and progress in the modernizations of mixed-scripts. In chapter 3, by comparing the usages of the verbs in the editorials of Dae-Han Mae-Il Shin-Bo and Seo-Yu-Gyeon-Mun, statistical differences of the two texts are caused by deconstructions of chino-korean phrasal verbs, especially the bi-syllabic verbs used for expressing negation, and changing the chino-korean mono-syllabic verbs into Korean words. As a consequence, the ratio of word-forms in Han-gul scripts are increased almost three times, which shows that the modernizations of mixed-scripts already have started in 191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