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이후 6·25전쟁기까지의 임시 초중등교원 양성 연구

        국성하 ( Kook Sungha ) 한국교육사학회 2018 한국교육사학 Vol.40 No.2

        이 글에서는 해방 이후 6·25전쟁 때까지의 임시 초등, 중등 교원 양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일본이 교사가 물러나면서, 문교부는 교원의 빠른 충원을 통한 학교의 정상화를 이루고자 했다. 의무교육 실시는 정규적인 교원양성과 더불어 임시 교원양성에 의존하게 했다. 임시 교원양성은 사범학교 등의 정규교육기관에서 속성과, 강습과 등의 형태로 있었다. 국민학교 교원양성의 경우 중등학교 또는 지역별 교원양성소에서도 있었고, 중등교원양성은 대학 등에 위탁한 경우도 있었다. 교원양성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도 있었다. 남한과 북한이 대치하는 상황에서 학교현장의 공산주의자의 검거가 그 하나의 문제였다. 1946년 9월은 대대적인 좌익 검거가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져, 그 해 가을학기 수업이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못할 정도였다. 교원의 열악한 처우 문제는 교사의 잦은 결근, 이직 등의 문제로 표출되었다. 단기 양성과정에 의지하는 교원양성은 무자격 교원 문제와 함께 학교 수업현장의 질적 저하를 가지고 오기도 했다. 6·25전쟁으로 교원부족 현상이 다시 나타났고, 임시 교원양성이 계속되었다. 교원양성 기관에 소속되어 있으면, 징집에서 보류되기도 했고, 현직 학교 교사일 경우도 징집이 보류되기도 했다. 이는 초중등학교의 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였다. 1950년대 말이 되면 임시 교원양성은 폐지되었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study the temporary teachers’ train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education from the Korean Liberation to the Korean War. As the withdrew of Japanese teachers from Korea,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Korea wanted to normalize the school through the rapid recruitment of teachers. The implementation of compulsory education has led to the recruitment of temporary teachers ’ training along with the regular teachers’ training. This temporary teacher training was in the form of rapid training at regular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teachers' schools. In some case, there were teachers’ training courses in secondary schools or regional teachers’ training institution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e secondary teachers, there were teachers’ training courses in the universities. There was also a problem to be solved in teachers’ training. One problem was the arrest of communists at the schools in the situation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September 1946, a massive leftist arrest took place on the schools, so that the fall semester classes could not be operated normally. Problems of teachers' poor treatment were expressed. The problems were absent from class, job changing, etc. The training of teachers who rely on the short-term training course has brought about a decline in the quality of the school as well as the problem of unqualified teachers. Due to the Korean war, the shortage of teachers reappeared, and the temporary training of teachers continued. If they belong to a teacher training institute, they may not be held in conscription, or they may not be suspended even if they are teachers at the school. This was an essential step to normalize the educ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By the end of the 1950s, the temporary training of teachers was abolished.

      • 한국 박물관에서의 포용(inclusion)의 의미

        국성하(Kook, SungHa)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20 박물관교육연구 Vol.- No.24

        우리나라에서 박물관교육은 포용성 확대의 방법으로 기능했다. 누구를 교육의 대상으로 삼을 것인가(포용), 누가 교육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나(배제)의 관점에서 교육을 실행하기 시작한다. 소외계층교육, 다문화교육 등이 박물관·미술관을 통해서 이루어졌고, 이는 우리나라의 포용성 또는 다문화성의 시초가 된다. 또한 법적, 제도적, 정책적 장치들에서 그 방법이 나타나 있다. 국내에서는 「문화기본법」, 「문화다양성 보호와 증진에 관한 법률」등을 제정·시행하였고, 「문화다양성 보호 및 증진 계획」, 「박물관·미술관 진흥 중장기 계획」 등을 성안했으며, 「무지개다리 사업」 등 다양한 포용적 사업이 운영되었다. 박물관교육이 보편화되기 전에는 박물관교육이 곧 포용으로 생각되었지만, 박물관교육이 보편화되면서는 박물관에서 배제되는 계층이 없는 것이 포용으로 생각되기에 이르렀다. Museum education was a way of increasing inclusion in Korea. Museum educator started museum education from these questions; who should be the education participants(inclusion), who were the left over(exclusion). Education for the neglected classes, multi-cultural education carried out from museums, and these are the bases of museum inclusion or multi-culturalism. The ways of inclusion are in the various laws, institutions, and policies, such as 「Framework Act on Cultur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Cultural Diversity」etc. Before the generalization of museum education one regarded the museum education as inclusion, after the generalization inclusion regarded as no left over in museums.

      • KCI등재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의 민속학 체계와 사회교육적 영향

        국성하(Kook Sungha) 교육사학회 2009 교육사학연구 Vol.19 No.2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는 민속학자로 일제 강점기 때에는 조신민소학회를 창립하였고, 해방 후에는 국립민족박물관을 창설한 인물이다. 석남은 특히 1930년대에 신문과 잡지 등에 우리 민속과 관련된 많은 글들을 발표하여, 학자들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도 우리 민속에 대해서 알 수 있게 하였다. 석남은 조선의 민속을 이론적 또는 지역적으로 구분하여 체계화를 시도하였고, 이러한 구분에 따라 그의 글들을 발표해 나갔다. 따라서 민속에 관련된 다양한 영역의 글들을 쓸 수 있었고, 이 글들은 후학들에 의해 하나의 체계적인 한국민속 교과서로도 편찬되었다.<br/> 석남이 동시대의 다른 민속학자들과 구분된 점은 바로 현장연구를 하는 학자였다는 점이다. 석남은 자신의 현장연구를 ‘임물(臨物)’이라고 불렀는데, 당시의 상황에서는 인멸되어 가는 우리문화가 도처에 있었기에 자신은 문헌적으로 연구하는 태도보다는 ‘임물’적으로 연구하는 태도를 견지했다고 한다. 특히 이러한 현장연구의 경향성은 우리 민속을 어떻게 하면 보존시킬 수 있을까라는 생각과 연결되어, 민속자료의 수집과 사진촬영으로까지 확대되고, 이를 구체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민속관련 경연대회를 진행하는 등의 활동을 하기에 이른다.<br/> 특히 전래, 경기오락을 위한 연구위원회의 실행에서 박물관과의 연계를 강조했는데, 이는 그의 우리문화 보존을 위한 노력과 연결되어 국립민족박물관 설립으로 이어진다. 국립민족박물관은 해방 이후 우리 민족이 세운 첫 번째의 박물관이었으며, 고고학이나 역사를 중심으로 하는 박물관이 아닌 우리나라 사람들의 일상을 담는 박물관이었으며, 여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주변의 다른 민족들의 일상을 담은 ‘민족’박물관이었다. 이는 석남이 사람들에게 우리 문화를 알리려는 노력이었던 동시에, 사라져가는 우리문화를 보존하고, 발전시키며, 이를 통해 우리민족의 정체성을 지켜 나가려는 행동이었다. Seoknam, Song Seokha who was folklorist made the Society of Chosun Folklore during the Japanese colonized period and built the National Museum of Anthropology after the independence. He presented lots of writings about the Korean folklore in the newspapers and journals and made general publics as well as scholars could know the Korean Folklore. He tried to systemized Korean folklore by dividing with theories and regions. And according to those division he presented his papers. The typical style of Song Seokha which differentiated other folklorist was that he liked the field works. He called his field works as ‘Immul’. During the 1930s to 1940s the folk of Korea was rapidly disappeared day by day so he had to document and take photos in the folklore fields. And these tendency of field work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many artifacts related to the Korean folk and national folk contests. Especially in the systemization of Korean folklore, he mansioned the connection of museum. And it was actualized by establish the National Museum of Anthropology in 1946. The museum was the first one that Korean built after the independence from Japan, and not the museum of archeological artifacts but the museum of the ordinary people’s life. And the museum also contained vision not only Korean folklore but also the another people’s folklor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해방이후 6·25전쟁기까지의 초중등학교 교원의 자격 연구 - ‘무자격 교원’을 중심으로 -

        국성하 ( Kook Sungha ) 한국교육사학회 2018 한국교육사학 Vol.40 No.3

        해방 직후 급격하게 증가한 초중등학교의 학생 수로 인해 문교부는 사범대학, 사범학교, 임시교원강습소 등에서 양성되는 인력으로만 교사를 배치할 수 없었다. 중등학교, 대학 등을 경험한 가르칠 수 있는 사람이면 미군정 학무국 등의 허가를 통해 교직으로 나아갔다. 문교부가 자격제도를 규정화 한 것은 1948년 「초중등학교교사자격 규정」이며, 1953년 「교육공무원법」 등으로 이를 확립하였다. 그렇지만 학교 현장에 있었던 자격을 가지지 않은 교사에게 교사의 자격을 강제하는 것은 교원의 부족, 6·25전쟁 발발 등으로 쉽지 않았다. 첫째, 해방이후 급격한 교원의 필요는 교사자격이 없이도 학교현장에서 교사생활을 할 수 있게 만들었다. 교원을 희망하는 사람은 희망학교를 명기하고, 이력서를 제출하면 허가를 통해 초중등학교에서 교원생활을 시작하였다. 다수의 교사들이 일제강점기 또는 해방직후 교원자격증을 가지지 않고 교원생활을 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미군정 문교부는 교원의 자격을 강조하기보다는 현직교사 재교육에 집중하기도 했다. 둘째, 초중등학교 교원자격이 규정된 것은 1948년 5월의 「초중등학교 교사자격 규정」때부터이다. 이 규정은 실제로 1945년부터 1948년까지 미군정 학무국의 허가 등으로 교사생활을 하기 시작한 많은 교사들에게 자격증을 사후적인 방법으로 주기 위한 것이기도 했다. 이 규정이 제정된 후에는 문교부가 주최하는 자격시험도 정기적으로 진행되었고, 학교현장에서 교원의 자격이 필요도 점차 인지되었다. 셋째, 1953년의 「교육공무원법」, 「교육공무원자격검정령」 등은 그동안 규정으로만 명시되어왔던 교원의 지위와 자격을 법령 등으로 명시한 것이었다. 자격기준이 상향되었고, 이전에 받았던 자격증 등은 그대로 인정하였다. 또한 학교현장의 무자격 교원들의 자격부여는 무시험검정, 전형검정으로 용이하게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6·25전쟁 발발로 인해 교사의 자격을 강제하기는 어려웠다. 이후 문교부는 학교 현장에서 무자격 교원을 채용하지 않게 명령을 내리고, 학교현장의 무자격 교사를 퇴출시키려는 노력도 하였지만, 1960년대 초반까지도 여전히 지역에는 무자격 교사가 있었다. The number of students increases sharply after liberation. It was difficult to train teachers, which were unequal to the increased number of students, through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yone who could teach went to school through the permission process. It was from 1948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established the code of 「qualification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 However, it was difficult to enforce the qualification of teachers to ‘unqualified teachers’ at schools. First, the need for teachers after liberation allowed them to teach at school without the teacher’s qualification. Those who wanted to be a teacher were only required the permission from military government. Therefore, many teachers were able to do their jobs without having a teaching certificate. Second, it is from the 「code of qualification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 in 1948 when teacher’s qualification stipulated. This code was a way to qualify ‘unqualified teachers’. After this code was established, it was gradually recognized that teachers' qualifications were necessary at schools. Third, the 「act of Public Educational Services」 and 「regulation of the certification for the qualifications of the public education officers」 stipulating the status and qualifications of teachers, which had been stipulated only by a code, are stipulated by act and regulation. It was difficult to enforce teachers' qualifications due to the Korean War. The Ministry of Education tried to remove ‘unqualified teachers’ from schools, but until the early 1960s there were still unqualified teachers in the provinces.

      • KCI등재

        서울 북촌(北村)지역 박물관 형성과 그 교육적 의미

        국성하(Kook Sungha)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미래교육학연구 Vol.22 No.2

        이 글에서는 박물관이 위치한 곳, 서울 ‘북촌’ 지역을 중심으로 그 형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삼청동과 가회동을 중심으로 하는 북촌지역에는 2000년을 전후로 하여 많은 박물관과 미술관 등이 만들어졌다. 이곳에 박물관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그 공간적인 의미는 무엇인지를 알기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고찰하였다. 첫째, 북촌지역이 한옥(개량한옥)을 중심으로 한 지금의 공간으로 어떻게 변화하게 되었는가. 둘째, 북촌지역에 위치한 박물관들은 언제 만들어졌으며, 그 공간에는 어떠한 특징이 있는가. 셋째 , 북촌지역의 박물관과 이 지역 관람자 사이에서 나타나는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그리고, 다음과 같은 내용을 결과로 얻었다. 첫째, 북촌지역은 1930년대 이후 넓은 면적의 한옥들이 약 160평방미터 내외의 필지로 분할되면서 이른바 개량한옥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후 넓은 면적의 한옥, 개량한옥 일본식 가옥들이 혼재하게 된다. 북촌지역은 경복궁 인근에 있다는 이유로 죄고고도지구 등으로 정해지면서 높은 건물의 신축이 어려워졌고, 다행스럽게도 서울시내에서 가장 옛 모습을 간직한 곳으로 남게 되었다. 2001년부터는 정부 정책이 규제에서 지원으로 바뀌게 되면서, 북촌지역 주민들이 스스로 이 지역의 한옥을 보존해 나가게 된다. 대표적인 지원책으로 한옥등록제와 한옥매입시범사업이 있는데, 이 사업으로 말미암아 북촌지역은 2009년 현재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지역으로 변모하게 된다. 둘째, 북촌지역에 위치한 박물관들은 1993년 이후에 설립된다. 1993년 한국불교미술박물관, 1995년 서울교육사료관을 시작으로 수많은 박물관들이 이 지역에 생겨났다. 이 박물관들을 건물을 중심으로 생각했을 때 옛 주거공간에 위치한 박물관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공공건물, 신축건물 등에 위치하였다. 옛 주거공간은 개량한 옥 건물을 그대로 이용안 가회박물관, 동림매듭박물관, 일본식 주택을 활용한 한국불교미술박물관, 부엉이박물관, 그리고 1970년대의 양옥을 활용한 티베트박물관, 북촌생활사박물관이 있었다. 또한 공공건물에 위치한 박물관에는 서울교육사료관, 인문학박물관이, 신축건물에 들어선 박물관으로는 실크로드박물관, 닭문화관 등이 있었다. 셋째, 박물관 등의 문화시설이 북촌지역에 많이 세워지게 되고, 그 주변으로 우리 옛 모습을 그대로 체험할 수 있는 한옥, 골목, 길 등이 알려지면서 이 지역은 사람들이 몰려드는 공간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이렇게 북촌지역이 사람들과 만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한옥을 중심으로 한 친근한 공간의 형성 때문이었다. 한옥의 지붕, 담장, 문간 그리고 길에 이르는 공간이 사람들로 하여금 걸어 지나가고 싶게 만들었기 때문이었다. 이 공간 안에 세워지게 된 문화시설이 이러한 경향을 상승시켰고, 우연히 이 공간(박물관 등) 안에 들어가 보게 된 사람들은 그 공간이 갖는 친근한 느낌 때문에 그 공간을 다시금 찾게 되었고, 그 공간 안에서 행해지는 교육 프로그램 등에게 관심 갖게 되었다. 그러나, 사람들이 찾아오는 공간으로 북촌을 바뀌게 한 옛날 집들 그리고 그 집을 활용한 박물관 등은 이제 새로운 어려움들은 겪게 된다. 바로 많은 사립박물관들이 겪게 되는 경제적인 어려움이다. 2008년을 전후하여 옛주거공간을 변경하여 새로운 박물관을 만드는 경우가 생기지 않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서울특별시의 북촌 가꾸기 정책과 일종의 ‘에코 뮤지엄’의 이상을 가진 사람들의 노력이 북촌지역에 다양한 박물관을 만들었지만, 이를 계속적으로 운영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래서 북촌지역에 더 이상 박물관이 생기지 않는지도 모른다. In this study, I wanted to find some reasons why plenty of musewns were built in Bukchon area. From this study on Buckchon area, I found the following outcomes. First, there were many huge Korean traditional houses (Hanok) densely concentrated in this area before 1930s. After 1930s, some of this Hanoks in this area were divided into small pieces about 160 square meters, and was built as small Hanoks (reformed Hanoks) or Japanese style houses. Thus, big Hanoks, small reformed Hanoks and Japanese style houses coexisted in this area. Because of the Kyungbok Palace and the Blue House, the reconstruction in this area was strictly restricted from the government and this area were kept intact until 1960-70s. After 2001, with the support from government, the residents of this area started to conserve Hanoks. In the end, the area was changed into a tourist spot, one of the famous places to visit in Seoul. Second, the museums in this area have been built after 1993. Starting from Buddhistic Art Museum(1993), various musewns were built in this area. Most of musewns are located in renovated houses, official buildings, etc. The houses that renovated into musewns were Japanese style houses and modem style houses. Some middle or high school buildings were also used to renovate into musewns. Third, as this area is becoming more popular for the musewns and Hanok, more people are visiting this area. The reason why people come to this area is that Bukchon is a friendly space which consisted of traditional houses, walls, and small paths. Because of this friendliness, people want to take a walk along the walls and small paved paths and they also visit the musewns around this area. Consequently, people become more interested in educational programs of the museums in this area.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 개념과 목표의 박물관·박물관교육에의 함의

        국성하(Sungha Kook) 한국문화교육학회 2024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9 No.2

        이 글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이 무엇이고, 박물관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기위해 지속가능발 전의 개념의 변화, 환경․교육․문화 측면에서의 지속가능발전 논의, 박물관·박물관교육에의 영 향을 검토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다양한 국제기구 등의 협약 및 자료를 중심으로 한 문헌연구를 진행했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속가능발전은 인간의 삶에 적합한 곳으로 지구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현세대와 미 래세대라는 세대 간 개념을 기초로 한다. 2015년 유엔은 지속가능발전 목표를 발표하였는데, 이는 지구를 치유와 보호하며, 우리의 세상을 회복하는 하는 방편이었다. 둘째, 지속가능발전의 요소 중에서 환경, 교육, 문화 부분은 박물관에 영향을 미친다. 지구의 환경 문제는 지속가능발전 논의의 출발점이고, 지속가능발전교육은 환경, 경제, 사회가 균형을 이루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노력이며, 문화는 문화다양성에서 역할을 담당한다. 셋째, 유네스코는 2015년 박물관과 컬렉션에 대한 보호와 증진 제언에서 문화, 문화다양성이 지속가능발전에 연결됨을 명시했다. 2023년 현재 국제박물관협의회와 각 국제위원회 등은 지속 가능발전에 참여하기 위해 실천계획을 작성하고 있다. 지속가능발전의 실천은 박물관·박물관 교육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This article examined what sustainable development is and how it is related to museum. The concepts and goals of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summarized and were discussed in terms of environment, education, and culture. First, sustainable development is to maintain the Earth as a suitable place for human life. In 2015, the United Nations announced it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e goal is to free mankind from poverty and scarcity, to heal and protect the planet, and to make the world resilient. Second, among the elemen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environment, education, and culture affect museums. The Earth's environmental problems are the starting point for discussions on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balances the three areas of sustainable development. Culture plays its role in securing cultural diversity. Third, UNESCO stated cultural diversity is link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ICOM is drawing up action plans to participate in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racti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 linked to museum education.

      • 박람회의 교육적 성격 연구(1889~1940) : 1889~1940

        국성하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3 연세 교육연구 Vol.16 No.1

        박람회는 전시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전시주체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박람회가 처음 등장한 구한국시대부터 일제 강점기 동안은 이 박람회의 전시주체가 조선인에게서 일본인으로 변경되는 기간이었다. 특히 일제는 박람회를 그들의 동화정책의 한 방편으로 이용했으며, 이는 교육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의 보다 면밀한 고찰을 위해서 박람회가 어느 시기에 어떻게 시작되었으며, 어떻게 변화하여, 일제에게 이용되었다면 어떤 방식으로 이용되었는가를 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박람회의 교육적 성격이 무엇인가를 밝히기 위해, 다음 두 연구문제를 검토하였다. 첫째, 구한국 시대 박람회 시작의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일제 강점기 박람회는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그 결과 박람회의 교육적 성격(1889-1940)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박람회는 그 자체에 교육적 의미를 포함하고 있었다. 경성박람회 때에는 선진 산업을 배워야 한다는 당위성이 박람회 참여를 유도하는 한 요인이 되었고, 공진회, 조선박람회 때에는, 일반 관람자들의 교화가 박람회의 주요 목적이었다. 특히 일제는 공진회와 조선박람회를 일본이 조선을 강점한 후 이룩한 발전을 조선인들에 인식시키고자 하는 사회교육적 차원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박람회는 동일하게 국외적으로는 조선을 국외에 알리기 위한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구한국시대는 독립국가인 조선이라는 나라를 알리는 것이었고,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의 식민지가 된 조선을 알리는 것이었다. 이러한 국내외적 선전으로 박람회는 식민통치의 영속화에 기여했다. 셋째, 일제 강점기 내내 박람회가 성행할 수 있었던 원인은 일본이 박람회를 산업발전의 도구로 자국 내에서 이전부터 개최해왔다는 점과 구한국 시대부터 조선인들이 가졌던 박람회에 대한 긍정적 인상에도 있었다. 곧 박람회는 일본에 의해 이용되기 이전부터 조선인들에게 선호되었던 일종의 교육양식이었고, 국내외적 박람회 성행은 조선인들의 이러한 박람회에 대한 주체적 인식에서도 기인하였다. An exposition consists of display processes, which are closely connected with curator. From the Late-Chosun to the Japanese colonization, a format of exposition was introduced, and its curator initiative conferred from Chosun to Japanese. Especially Japanese took advantage of an exposition as a assimilation tool. There is much educational significance in it. For the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n exposition was started, how it changed and if it was used by Japanese how did they take advantage of it. Therefore, to define the educational roles of exposition, this dissertation examine the following two subjects. First, how did exposition start in the late Chosun period. Second, how did exposition prevail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educational characteristics(1889-1940) are revealed. Firstly, exposition itself already containe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Gyungsung exposition started to learn advanced industry. Gongjinwhae, Chosun Exposition, its intent was to enlightening the visitors. In particular, Japanese perceived Gonjinwhae and Chosun Exposition as a propaganda on development of Chosun after the colonization, which was in the domain of social education. Secondly, exposition was to make a display of Chosun internally as well as externally. In Late Chosun Period, it was to show Chosun, the independent nation, and in colonial period it was to show Chosun, the colonized country. Through these internal and external propaganda, exposition contributed to perpetuating colonial reign. Thirdly, the reasons of flourish of expositions during the entire colonization were that Japanese had used it already in Japan as a tool to develop industry. And also from the Late-Chosun period, Korean had a positive image of exposition. That is, exposition was a certain preferred education format before the colonization, so the flourish of internal and external exposition was a certain preferred education format before the colonization, so the flourish of internal and external exposition was originated from this initiative perce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