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레질리언스(resilience)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구희정 ( Koo Heejeo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유아 레질리언스 관련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18년 3월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유아 레질리언스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106편)과 학술지논문(66편) 172편을 대상으로 연구문제에 따라 발표시기별, 논문유형별, 연구 주제 및 내용별로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2011년 이후 유아 레질리언스에 대한 연구가 급격히 증가되어왔다. 둘째, 유아 레질리언스에 대한 다양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명확한 개념 정리가 필요하다. 셋째, 유아 레질리언스와 다른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연구와 유아 레질리언스의 변화를 모색하는 교육활동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유아 레질리언스 본질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넷째, 유아 레질리언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로 유아 자신 및 어머니와 관련된 변인이었으며, 교사와 관련된 연구는 미흡하였다. 다섯째, 유아 레질리언스의 변화를 모색하는 교육활동은 대부분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여섯째, 유아 레질리언스 증진 프로그램이 개발 되었으나 사회정서 프로그램과의 차별성을 찾기 어렵다. 일곱째, 유아 레질리언스에 대한 연구 대부분이 양적연구로 이루어졌다. 끝으로, 유아 레질리언스 척도가 개발되었으나 학문적 합의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아 레질리언스에 대한 연구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young children’s resilience in Korea. The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trends, scrutinizing the current state of theses fora degree and articles in young children’s resilience in Korea. This study reviewed 172 research papers, written from January, 2002 to March, 2018 on young children’s resilience. It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researches in this area escalated after 2011, Second, there are used several terms of young children’s resilience, and an accurate conceptual arrangement is needed. Third,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y variables of resilience and educational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s resilience were carried out a lot, but researches on the nature of young children’s resilience were lacking. Forth, factors affecting young children’s resilience were young children themselves and their mother factors, however researches related to their teachers were insufficient. Fifth, most educational activities were focused on ‘ego-resilience’ of young children. Sixth, It was difficult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young children’s resilience promotion programs and socila-emotional program for young children. Seventh, researches on young children’s resilience were almost quantitative. Scales for young children’s resilience has been developed but an academic consensus process is needed.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n young children’s resilience and supplie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topics based on the empirical data analysis.

      • KCI등재

        만 5세 유아의 리더십이 유아 - 교사 관계에 미치는 영향

        구희정 ( Koo Heejeo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유아의 리더십이 유아-교사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3개 사립유치원의 9개 반에 재원 중인 만 5세반 유아 232명(남아 121명, 여아 111명)과 담임교사 9명을 대상으로 유아 리더십과 유아-교사 관계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연구 대상 유아의 담임교사 9인이 응답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총 232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리더십은 전체적으로 중간보다 조금 높은 점수를 보였고(M=3.52), 유아의 리더십 점수는 하위요인 별로 도전과 자신감, 자기행동관리, 타인존중, 문제해결력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아의 리더십 점수가 남아보다 높았다. 또한 유아-교사 관계는 갈등이나 의존 보다는 친밀감 점수가 더 높았으며, 여아가 교사와 더 친밀했고 남아는 여아보다 갈등관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존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의 리더십은 유아-교사 관계의 갈등과 부적 상관을, 친밀감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리더십은 유아-교사 관계의 친밀감과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리더십 하위요인 중 타인존중, 자기행동관리, 문제해결력 순으로 갈등관계에 영향을 미쳤고, 친밀감에는 도전과 자신감, 문제해결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리더십 하위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고려한 유아-교사 관계 증진 프로그램 및 교수방법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effect of children`s leadership on child-teacher relationship.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children`s leadership and child-teacher relationship was conducted with 232 5-years-old children(boys 121, girls 111) and 9 teachers. These 9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nd a total of 232 questionnaires collected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leadership score showed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um(M=3.52). It was shown that the score was the highest in challenge/ confidence, being followed by management of self behavior, respect for other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leadership score was higher in girls than in boys. Besides, with regard to child-teacher relationship, the score in closeness was higher than in conflict or dependency. It was shown that girls were closer to teacher, and boys more conflicted than girl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endency. Second, children`s leadership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flict in 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closeness. Finally, children`s leadership had an effect on closeness and conflict in child-teacher relationship. According to sub factors, the respect for others had the biggest effect on conflict, being followed by management of self behavior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mong components of leadership. And it was shown that challenge/confidence had the biggest effect on closeness, being followed by problem solving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