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높은 Mn/Fe 비를 가지는 동시베리아해 천해저 망간단괴의 성인

        구효진(Hyo Jin Koo),조현구(Hyen Goo Cho),진영근(Young Keun Jin),이동헌(Dong-Hun Lee),김지훈(Ji-Hoon Kim),이태식(Tae Siek Rhee)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최근 동시베리아해 대륙붕에서 이례적으로 높은 Mn/Fe 비를 가지는 천해저 망간단괴(shallow-water manganese nodule)들이 발견되었으며, 이 단괴들의 특성과 형성 메커니즘은 천해저 망간단괴 뿐만 아니라 북극해 해양 환경의 이해를 위해 중요하다. 동시베리아해 망간단괴는 아라온호를 이용한 4차례의 탐사들을 통해 수심 160-240 m의 대륙붕 환경에서 발견되었으며, 예비 연구 결과에서 기존의 천해저 망간단괴들과 달리 높은 Mn/Fe 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연구에서는 망간단괴의 형태적, 화학적 특징을 통해 동시베리아해 망간단괴의 독특한 특성과 성인을 알아보고, 박스코어 퇴적물, 공극수 및 해수 데이터 셋을 이용하여 망간단괴의 형성환경을 규명하고자 한다. 동시베리아해 망간단괴의 낮은 희토류 및 미량금속의 함량은 기보고된 천해저 망간단괴의 특성과 동일하며, 이는 단괴의 빠른 성장속도와 관련될 수 있다. 그러나, 관찰된 형태와 화학조성은 기보고된 천해저 망간단괴들과는 크게 다르며, 전반적으로 속성기원(diagenesis)의 심해저 망간단괴(deep-sea manganese nodule)의 특성과 유사하다. 공극수와 총유기탄소, δ<SUP>13</SUP>C 데이터는 단괴의 속성 성장이 따뜻한 기후동안 증가된 해양 생산성으로 인한 아산소(suboxic) 속성작용에 의해 발생됨을 나타낸다. 연구지역의 단괴들의 높은 Mn/Fe 비를 만드는 독특한 환경은 대서양수를 통한 용존산소의 지속적인 공급으로 제안되며, 천해저 환경에서 바닥수로의 산소가 풍부한 수괴의 유입이 Mn/Fe 비가 높은 단괴 또는 입자들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결과는 북극해의 코어 퇴적물에서 종종 발견되는 금속 입자들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고환경적 가치와 관심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 KCI등재

        황해남동니질대와 제주남서니질대 표층퇴적물의 중광물 특성 비교 연구

        구효진,조현구,이부영,이희일,Koo, Hyo Jin,Cho, Hyen Goo,Lee, Bu Yeong,Yi, Hi Il 한국광물학회 2017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30 No.3

        조립질 퇴적물의 근원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유용 광물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지니는 황해남동니질대와 제주남서니질대 표층퇴적물 내 중광물의 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두 지역에서 각각 28개씩 시료를 선정하여 중광물을 분리한 후 실체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에너지 분산형 분광분석과 전자현미분석을 실시하였다. 각섬석과 녹염석은 연구지역에서 주된 중광물로서 두 광물의 합계 함량이 70% 이상을 점유한다. 저어콘과 스핀은 황해남동니질대에서, 인회석과 금홍석은 제주남서니질대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함량을 나타내며, 모나자이트는 황해남동니질대 일부 지역에서만 산출된다. 스핀과 모나자이트 함량은 황해남동니질대 북부에서 남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황해남동니질대는 낮은 석류석-저어콘 지수와 금홍석-저어콘 지수를 가지는데 반하여, 제주남서니질대는 높은 석류석-저어콘 지수와 금홍석-저어콘 지수를 가진다. 각섬석의 경우 황해남동니질대는 대부분 보통각섬석에 해당되지만, 제주남서니질대는 파가사이트, 처마카이트, 보통각섬석, 투각섬석 등 다양한 조성을 가진다. 황해남동니질대 지역의 석류석은 높은 Mg와 낮은 Ca 함량을, 제주남서니질대 지역 석류석은 낮은 Mg와 다양한 Ca 함량을 가진다. 이와 같이 두 지역의 중광물 특성이 서로 다른 것은 두 지역의 퇴적물 기원지가 다르다는 것을 지시한다. 황해남동니질대의 퇴적물 기원지는 인접한 한반도의 서해안으로 유입되는 하천 퇴적물인 것으로 여겨지나, 추후 황해로 유입되는 강퇴적물과 해양 퇴적물에 대한 추가적인 중광물 연구가 진행되어야만 정확한 기원지와 퇴적과정에 대한 해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Heavy mineral provide an important information for sediment provenance as well as a potential submarine mineral resources. We compared the heavy mi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Southeastern Yellow Sea Mud (SEYSM) and Southwestern Cheju Island Mud (SWCIM) surface sediments. We separated heavy minerals from 28 surface sediments in each mudbelt, and then carried out stereo-microscopic,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ic and electron probe microanalysis to characterize the type, abundance, mineralogical properties and distribution pattern of heavy mineral. Amphibole and epidote, which are two major heavy minerals, account for more than 70% of total heavy minerals. Zircon and sphene contents are more abundant in SEYSM, whereas apatite and rutile contents are more abundant in SWCIM. Monazite only occurs in some area of SEYSM. Sphene and monazite content decrease to the south in SEYSM. Both garnet-zircon index (GZi) and rutile-zircon index (RuZi) are low in SEYSM but high in SWCIM. Amphiboles in SEYSM primarily correspond to hornblende, however those in SWCIM represent variable composition from pargasite, tshermakite, hornblende to tremolite. Garnets in SEYSM have high Mg and low Ca, but those in SWCIM have low Mg with variable Ca. Different heavy mi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SEYSM and SWCIM suggests that sediments in each mudbelt have different provenances. Although this study implies that SEYSM sediment may mostly come from nearby Korean western rivers such as the Keum and Han rivers, this study does not suggest any idea of the source area of SWCIM sediment. Further study is needed to interpret the provenance and transportation mechanism of mudbelt sediments through the heavy mineral research for the river sediments flowing into the Yellow Sea and much more marine sediments.

      • KCI등재

        치아 미백술 후 기호 음료 섭취가 색조 환원에 미치는 영향: 1년 추적조사

        구효진 ( Hyo Jin Goo ),조민정 ( Min Jeong Cho ),정윤숙 ( Yun Sook Jung ),김지혜 ( Ji Hye Kim ),동판 ( Fan Dong ),송근배 ( Keun Bae Song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16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40 No.1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observe the decrease in tooth color after home and office bleaching due to consumption of juice, soda, and coffee over a period of one year. Methods: We obtained written consent from 30 subject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e., home bleaching and office bleaching groups. They were treated with opalessence® and Zoom2 whitening gel, and the color of their teeth was assessed using shade Eye-NCC over a one-year period. A self-describing questionnaire was us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juice, soda, and coffee consumption. Results: The changes in color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1 day, 1 month, 3 months, 6 months, and 12 months. Although the tooth color slightly changed after 12 months, the teeth were brighter than the original color. Consumption of juices, sodas, and coffee is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decrease in tooth color, although the chan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 ΔE* values showed that the tooth bleaching effect remained for 12 months. Consuming a normal amount of juice, sodas, and coffee does not significantly reduce tooth color after tooth bleaching.

      • KCI등재

        전문가 미백술과 자가 미백술 후 치아의 색조 환원과 만족도 변화: 6개월 추적조사

        구효진 ( Hyo Jin Goo ),권현숙 ( Hyeon Sook Kwun ),박정희 ( Jeong Hee Park ),조민정 ( Min Jeong Cho ),김은경 ( Eun Kyong Kim ),최연희 ( Youn Hee Choi ),송근배 ( Keun Bae Song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15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39 No.1

        Objectives: The quest for a happy life is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social activities, living standards, and socioeconomic development, with individuals showing increased interest in health and esthetics. In the field of dentistry, not only prevention and treatment but also esthetics is gaining popular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ooth color reduction and consequent patient satisfaction over a period of 6 months after office and home bleaching. Methods: Thirty subjects were divid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bleaching agent used: 10% carbamide peroxide (CP10; home bleach) and 15% hydrogen peroxide (office bleach). CP10 was used at home in a tray for 2 h/day over 14 days, while 15% hydrogen peroxide was light-activated for 15 min, three times/session (total, 45 min). A control set of teeth without any bleaching treatment was used as reference. Shade evaluation was conducted using the Shade Eye NCC at baseline, 1 week, and 1 and 6 months after bleaching.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ann- Whitney U test and the nonparametric Friedman 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oth color before and after bleaching in both the home and office bleach groups, although intergroup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Although b* values after bleaching were lower than the original values, only slight tooth color reduction was observed at 6 months. ΔE*, which represents the overall change in color, at 1 and 6 months after bleach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at baseline in the home bleach group, while i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ffice bleach group. According to a patient satisfaction survey, patient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ime in the home bleach group, although i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Conclusions: Tooth whitening was observed after bleaching in both groups. However, slight color reduction was observed at 6 months after bleaching, and complete restoration to the color before bleaching did not occur; therefore, long-term observation of color reduction is required.

      • KCI등재

        황해 및 동중국해 북부의 중광물 특성과 기원

        구효진,이부영,조현구,Koo, Hyo Jin,Lee, Bu Yeong,Cho, Hyen Go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0 자원환경지질 Vol.53 No.5

        황해와 동중국해 북부에는 해퇴에 의한 사질 퇴적체가 분포한다. 이러한 사질 퇴적체들은 지구물리 탐사와 코어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지만, 광물학적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황해와 동중국해 북부지역의 중광물 특성을 파악하고, 광물화학적 분석을 통해 조립질 퇴적물의 기원지와 퇴적환경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에서는 8종의 중광물(녹염석, 각섬석, 석류석, 저어콘, 스핀, 금홍석, 인회석, 모나자이트)이 확인되었으며, 중광물의 분포와 퇴적물의 특성을 기반으로 6개의 지역(area A-F)으로 구분되었다. 연구지역의 각섬석은 칼슘 각섬석군의 에데나이트와 보통각섬석으로 분류되었으며, 석류석은 주로 파이랄스파이트군의 알만딘으로 확인되었다. 중광물 조성과 광물화학 결과는 구분된 6개의 지역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기원지와 퇴적환경을 결정하는데 이용되었다. 황해 동부의 area A와 B는 한반도 기원의 퇴적물로 판단되며, 두 지역은 조류와 연안류에 의해 서로 다른 중광물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모나자이트는 area B에서만 발견되며, 한반도 서남부 기원지의 지시자로 이용될 수 있다. 황해 서부의 area D와 E는 황하 기원 퇴적물의 특성을 보이며, area E는 양쯔강 퇴적물로 구성된다. 동중국해 북부의 area C는 양쯔강 기원의 중광물 특성을 보이며, 해수면 상승과 함께 고하구의 해퇴에 의해 형성되었다. 또한, 풍부한 인회석은 area C의 퇴적 시기가 최후빙기극대기와 가까움을 나타낸다. The Yellow Sea and northern East China Sea contain a transgressive sand layer. Numerous sedimentar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se sand deposits using seismic exploration and core sediment techniques, but few mineralogical studies have been reported. The major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the distributions of heavy minerals throughout the Yellow sea and northern East China Sea and to identify the provenance of coarse sediments using the mineral chemistry. Eight heavy mineral species were identified in the study area (epidote, amphibole, garnet, zircon, sphene, rutile, apatite, and monazite). The study region was divided into six areas (areas A to F) based on heavy mineral distributions and sampling locations. In mineral chemistry, the amphiboles present are classified as edenite and hornblende in the calcic amphibole group, and the garnets are identified primarily as almandine in the pyralspite group. A combined data set of heavy mineral distributions and mineral chemistry showed clear differenti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x classified areas, enabling determination of provenance and sedimentary environment. Area A and B in the eastern Yellow Sea were origin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these regions showed different heavy mineral characteristics by tidal current and coastal current. In addition, monazite was only found in the area B and could be used as an indicator from the southwestern Korean peninsula. Area D and E in the western Yellow Sea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originating from the Huanghe, and sediment in the area E was derived from the Changjiang. Area C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appeared to have Changjiang-origin sediment, and abundant apatite indicated that area C was formed close to the Last Glacial Maxim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