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자원봉사관리사 자격제도 연구

        구혜영 ( Koo Hyeyoung )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24 시민사회와 NGO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하는 자원봉사관리사 자격제도에 대한 민간국가공인 자격검정 및 활용에 초점을 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자원봉사관리사는 자원봉사센터 및 NGOs와 NPOs, 사회복지조직 및 공공기관, 학교, 기업, 병원 등 자원봉사자가 활동하는 곳에서 자원봉사 활동을 지지, 조정, 관리, 촉진하는 전문인력이다.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과 직무설계부터 자원봉사자 모집·선발 및 배치, 실적관리·교육 및 훈련·슈펴비전 및 사후관리, 동기부여 및 인정보상까지 자원봉사활동 전반을 지원한다. 자원봉사 활동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이라는 전문적 역할의 수행에는 상당한 전문지식과 자격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정한 학력과 경력 등 전문성을 갖춘 사람에게 자격이 부여되어야 한다. 그동안 자원봉사관리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자원봉사 관리자의 위상을 확립하기 위한 자원봉사자 자격제도 관련 연구가 행정안전부 중심으로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이 연구들은 주로 자원봉사센터에 초점을 둔 인력에 대한 자격검정으로, 다양한 자원봉사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 관리인력에 대한 직업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였고, 자원봉사관리사의 직업능력에만 초점을 두고 고용시장과 지나치게 연계함으로써 전문직으로서의 자원봉사관리사 자격검정이라는 본래적 목적을 희석시키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를 통해 민간중심의 자원봉사 현장을 실천하는 자원봉사관리사 인력선발과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함으로써, 민주적 자원봉사의 가치확장과 질적 성숙, 자원봉사자의 인권과 안전보장, 선순환적인 자원봉사 생태계 조성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ractical plan focusing on the private, nationally recognized qualification test and utilization of the volunteer manager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Volunteer managers are professionals who support, coordinate, manage, and promote volunteer activities in places where volunteers work, such as volunteer centers, NGOs, NPOs,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public institutions, schools, companies, and hospitals, and support overall volunteer activities, including volunteer program development and job design, volunteer recruitment, selection and placement,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supervision and post-performance management, motivation and recognition rewards. Because performing the professional role of solving social problems through volunteer activities requires considerable professional knowledge and qualifications, qualifications should be granted to people with a certain degree of education and experience. The studies on the volunteer qualification system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volunteer managers and establish the status of volunteer managers has been conducted centering on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However, these studies mainly focused on qualification for personnel at volunteer centers and did not reflect the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volunteer management in various volunteer areas. In addition, it had the limitation of diluting the original purpose of qualification for volunteer managers as professionals by focusing only on the professional skills of volunteer managers and linking them excessively with the employment market.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t aims to bring about efficiency in the selection and management of volunteer managers in private sector volunteer sites. And it aims to expand the value and qualitative maturity of democratic volunteerism, guarantee the human rights and safety of volunteers, and create a virtuous volunteer ecosystem.

      • KCI등재후보

        산모신생아도우미서비스 제공기관 평가지표 개선방안

        구혜영(Koo, Hyeyoung) 한국비영리학회 2011 한국비영리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산모신생아도우미서비스 제공기관에 대한 평가지표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사회서비스의 품질관리와 제공인력의 안정적 취업, 서비스의 효과성을 향상하는 데 있다. 2010년 보건복지부에서는 양적 측면에서 서비스 제공기관 및 제공인력은 증가되었으나, 질적인 서비스 수준을 확보하기 위해 산모신생아서비스 제공기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획일적이고 투입중심의 합법성 위주 확인평가 지표 및 평가과정은 서비스의 품질관리를 담보하기에 미흡한 점이 많은 지표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2010년도 산모신생아도우미 서비스 제공기관의 평가가 갖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혜자가 아닌 고객으로서의 이용자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평가지표의 추가, 제공인력 및 제공기관 담당관리자에 대한 전문성 확보, 공공성 높이기 위한 운영지원, 사회서비스의 사회화를 위한 노력, 홍보, 양질의 서비스 확보를 위한 기관 내부역량 강화, 제공기관의 서비스 목표 중 이용자뿐만 아니라 제공인력의 지속적인 노동활동에의 지원 등의 내용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This thesis is aiming at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social services, sustainable employment of their workers and their social services effectiveness by showing the advanced evaluation index to the organizations providing neonates delivery care service. In an attempt to maintain the highly qualified social service level, the organizations providing neonates delivery care service were evalu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alth(MHW) in 2010, even those organizations and hired personnel have been increasingly served in a quantitative point of view. However, a number of indications show that the currently mechanical and throughput based check evaluation index and its process, simply focusing on the legitimacy, are not enough to keep its social service highly qualified. Therefore, as part to solve the current evaluation index problems on the organizations providing neonates delivery care service, this essay suggests the following alternatives : 1. Adding the evaluation index so as to maximize the value of its service end-users, recognizing them not beneficiary but customers. 2. Establishing the more specialized personnel in the organizations and highly skillful workers for this service. 3. Consulting to enhance social publicity management in the organizations. 4. Endeavoring and advertising the social services generalized and naturalized in the society. 5. Strengthening the internal competency of organizations in order to supply more qualified services. 6. Helping end-users and service workers to feel social service entirely satisfied and to continue their works,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협력적 거버넌스 분석지표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구혜영(Hyeyoung Koo) 한국NGO학회 2020 NGO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협력적 거버넌스 운영요소인 분석지표를 개발함으로써 한국의 거버넌스를 제대로 정착하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성요소를 고찰・분석하고, 한국사회에 적합한 새로운 협력적 거버넌스 분석지표를 개발하였다. 기존의 다양한 연구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협력적 거버넌스의 분석지표와 현장에서 필요한 분석지표들을 정리해 본 결과, 구체적인 협력적 거버넌스의 분석지표로, 물리적 조건(협력의 필요성인식, 상호의존성, 전문적 지식, 자원확보 능력, 참여인센티브), 공동체 속성(권력과 자원의 불균형 해소, 갈등의 해결능력, 실패경험, 적절한 네트워크의 존재여부, 문제의식 공유), 제도적 장치(법적 환경, 관리지원체계, 감시제도, 책무성 확보, 역할분담), 상호작용(동의형성, 리더십, 수평적 관계, 민주적 의사소통구조, 신뢰의 구축), 결과와 성과(공공의 가치달성, 성과평가, 피드백, 적응과 지속성, 국민적지지)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지표 개발은 한국사회에 적합한 새로운 협력적 거버넌스 운영모델을 개발・계획・운영・집행・평가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며, 현 한국의 거버넌스 현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는 과정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operational elements and to advance the analytical indicators on the Korean collaborative governance so as to lay groundwork for it in a right way.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analytical indicators suggested by a wide range of prior studies, in addition, necessarily required from the field are intensively summarized. It could be described as the analytical indicators on the detailed collaborative governance as follows: physical conditions (recognition of necessity of cooperation, interdependence, expertise, ability to secure resources, participation incentives), community attributes (levels of power and resources imbalance, levels of conflict, experiences of failure, existence of appropriate networks, sharing of problem consciousness), institutional arrangements (legal environment, management support system, surveillance system, accountability, role sharing), interaction (consensus formation, leadership, horizontal relationships, appropriate communication structures, building trust), results and outcomes (public value achievement, performance appraisal, feedback, adaptation and sustainability, and national support) are components of these indicators. The development of such analytical indicators will not only contribute to the planning, operation, execution and evaluation of the new collaborative governance models appropriate for Korean society, but will be helpful to get th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itu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