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 있다' 구문의 통합 제약 현상에 대하여

        구종남(Jong-nam, Koo) 어문연구학회 2010 어문연구 Vol.63 No.-

        -eo-issta’ representing the function of resultative aspect, has constraints on the verbs which occur before it.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only the intransitive verbs vvhich has telicity as their aspcetual character, can occur as V1 in V1-eo-issta' constructions. We can call the verb constraint semantic, and the transitive verb constraint syntactic. But semantic ∞nstraint cannot be explained fully by telicity condition which demand V1 to be telic verb, Because there are many examples which telicity condition cannot explain. So some other argument were offered to elucidate the semantic constraints: existence condition, resultative condition, etc. But these arguments have defects, too. So I offered cognitive condition to explain the semantic constraints,For the explanation of syntactic constraints there have been several suggestions: existence codition , '-eo iss-' syntagmatic constrain t, and dynamic condition. But they could not solve the problem of the syntactic constraints completely. So, in this paper I argued that thematic role can solve the problem ‘V1-eo-issta’ compositionally assigns ‘theme’ role to subject. Therefore in the transitive verb sentences object cannot be assigned thematic role, ‘theme’, because this thematic role is assigned to subject by‘V1-eo issta'. Assigning theme to object violates the thematic criterion. Therefore the ungrammaticality of transitive verb sentences is explained by thematic criterion.

      • KCI등재

        융합형 종결어미 ‘-다니까’의 의미와 문법화

        구종남 ( Koo Jong-nam ) 한민족어문학회 2019 韓民族語文學 Vol.0 No.85

        종결어미 ‘-다니까’의 문법화 과정과 그 의미 기능을 고찰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다니까’는 다양한 의미 기능을 지니고 있으며, 그에 따라 형태, 통사적 특성이 달라진다. 이런 ‘-다니까’를 하나로 보고 접근하는 방법은 그 실체 규명에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 ‘-다니까’를 ‘-다니까1’, ‘-다니까2’, ‘-다니까3’ 등 3가지로 나누어 그 문법화 과정과 의미 기능을 논하였다. ‘-니까’는 추론적 의미 기능을 지니고 있는바, 본고에서는 ‘-다니까1’을 바로 이런 ‘-니까’에 추론 논리에 기초하여 문법화된 종결어미로 보았다. 즉, ‘A다. 그러니까 B겠다.’의 추론 형식에서 A가 화자의 기존의 경험에 의한 앎과 관련된 내용이고 B가 화자가 접하는 상황이 될 때 실제 발화상에서 이 추론 형식이 기반이 되어 ‘-다니까1’이 형성되었다고 보았다. 이런 문법화원리로 ‘-다니까1’ 구문의 여러 가지 의미적 특징을 설명하였다. 한편 ‘-다니까2’는 ‘-고 하-’가 회복될 수 있고, 후행절 상정이 가능하다고 보더라도 그 의미 기능이나 허용하는 문장형에서 단순한 인용 축약형과는 다르다는 점에서 본고에서는 이를 준종결어미라 보았다. 이 형식은 기본적으로 이전 발화에 대해 보이는 청자의 태도에 대해 화자가 불만을 나타낼 때 쓰인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다니까2’는 비명시적인 이유를 드러내는 기능을 갖는바, 이는 화자의 이전 발화에 대해 보이는 청자의 반응에 대한 불만의 이유를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다니까2’는 ‘-냐니까’, ‘-라니까’, ‘-자니까’와 형태도 가능하며 ‘-다니까1’, ‘-다니까3’과는 달리 시제 어미의 통합에 제약이 없다. ‘-다니까3’은 ‘-다니까2’에서 더 문법화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다니까2’는 화자가 이전에 발화한 내용에 대해 청자가 보이는 반응에 대한 불만을 나타내는 기능을 갖는다고 한바, ‘-다니까3’은 이런 청자의 부정적 반응을 미리 예상하고 청자의 부정적 반응의 이유를 불식시키려는 담화 전략에서 문법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니까3’은 청자의 부정적인 반응을 미리 대비하기 위한 경우가 아닌 영역으로 확대되어 쓰인다. 어떠한 경우든 ‘-다니까3’은 ‘-니까’의 기원적 의미로 인하여 언어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막연한 이유를 드러낸다. 본고에서는 축약형 ‘-다니까’의 각기 다른 세 가지 문법화를 문맥적 재해석, 합류, 분화 등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보았다. Grammaticalization and meanings of ‘-tanikka’ (다니까), sentence final ending, were discussed in this paper. ‘-Tanikka’ has some distinct meanings. However, its meanings and reasons why it has some distinct meanings remain unclear. I divided ‘-tanikka’ into three types (‘-tanikka1’, ‘-tanikka2’, ‘-tanikka3’) according to their meanings and discussed the processes of their grammaticalizations. Meanings of ‘-tanikka’ can be explained on the ground of grammaticalization processes. ‘-Tanikka1’ is grammaticalized by virtue of inference meanings of ‘-nikka’, a connective ending. ‘-Tanikka2’ can be treated to be a quasi-sentence final ending which is not completely grammaticalized. Its main meaning is to represent speaker’s complaint suggesting the reason. ‘-Tanikka3’ is completely grammaticalized from ‘-tanikka2’ whose function is to emphasize and suggest reasons why speaker utters the sentence. The grammaticalization principles of ‘-tanikka’s can be attributed to context-induced reinterpretation, coalescence, and divergence.

      • KCI등재

        인용표지의 연결어미적 기능

        구종남(Koo Jong-nam)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3 No.-

        이 논문에서는 간접인용 표지 ‘-다고’, ‘-라고’, ‘-자고’, ‘-냐고’ 등 간접인용 표지들의 연결어미적 용법과 의미 기능, 그리고 이들이 이루는 구문의 몇 가지 통사적, 의미적 제약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들 표지들은 인용동사를 취하여 인용문을 구성하는 것이 전형적인 용법이지만, 인용동사를 취하지 않고 연결어미처럼 후행절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는 이 경우 이들이 연결어미적으로 쓰인다고 보고 이들의 의미 기능과 구문상의 특징을 논의하기 위해 먼저 간접인용 표지가 어떤 구조에서 형성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고’는 인용적 형식동사이었던 ‘-’의 활용형 어미이었던 바, 피인용문의 각 문장형 종결어미가 중화된 종결어미 ‘-다’, ‘-냐’, ‘-라’, ‘-자’와 융합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이들 간접인용 표지들은 내재적으로는 연결어미적 의미를 갖지 않는데도 연결어미적 용법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간접인용 표지들이 연결어미적으로 사용될 때 이들의 의미 기능은 문맥적 추론에 의해 파악된다고 주장했다. 본고에서 밝혀진 각 인용 표지들의 중요한 의미 기능을 요약하면, ‘-다고’는 이유, 의도/목적, 양보, ‘-라고’는 의지/목적, ‘-자고’는 의도/목적, ‘-냐고’는 이유 등이다. 이들 표지들이 연결어미로 쓰일 때는 인칭, 문장 유형, 시제, 주어, 서술어 등에서 제약을 보인다. In indirect quotation "-go"(-고) is used as a quotation marker. This marker "-go" is originated from the connective ending "-go" which attaches to the quotation verb "ha-". Indirect quotation marker "-go" is fused with neutralized sentence final ending "-da", "-nya", "-ra", "-ja" (declarative, interrogative, imperative, suggestive sentence final ending respectively). So "-dago", "-nyago", "-rago", "-jago" are used in indirect quotation according to the sentence type of cited sentence. Not only are these markers used as indirect quotation markers, but also these are used as connective endings. These quotation markers do not have intrinsic meanings as connective endings. So the meanings of these markers are determined by the context-induced inference in subordinate conjoined sentences. In this paper precise meanings of these quotation markers("-dago", "-nyago", "-rago", "-jago") are elucid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joined sentences which have indirect quotation markers as connective e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국어 부정극어의 유형

        구종남(Koo Jong-Nam) 국어문학회 2003 국어문학 Vol.38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ssify the negative polarity items(NPIs) by their properties and to examine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m. Identifying NPIs is the problem which needs to be solved first before any other argumentations about them. And the classification of NPIs is very meaningful by itself. But there weren't any efforts to classify NPIs. In this thesis I divided NPIs by structural criterion: word type and phrase type. Phrase type is subdivided into 7 types. NPIs are divided by grammatical category: N(P), ADV(P), DETERMINER, P. We can also divide NPIs according to licenser type, meaning type, closeness/openess, productivity. NPIs have variation forms. NPIs have restrictions in choosing verbs and can appear in multiplicity And there exist characteristic NPIs which can function as NPIs only in special syntactic structures.

      • KCI등재

        -고' 통합 보조용언의 상적 의미에 대하여

        구종남(Koo, Jong-nam) 한국언어문학회 2013 한국언어문학 Vol.87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aspectual properties of auxiliary verbs which are integrated into '-go(connective ending)'. There are several claims that '-go malda(-고 말다)', '-go boda(-고 보다)', '-go nada(-고 나다)' are perfective/perfect aspect forms. I examined the concepts of perfective/perfect aspect depending on Smith(1991). Judging from the concept of perfective/perfect aspects, '-go boda', '-go malda' do not have the meanings of perfective/perfect aspects. '-Go nada' has the meaning of the aspect, but the meaning(function) is not same as perfective/perfect aspect, '-go nada' focuses on the time lapse posterior to termination and completion of events. This form originated from coordination construction. '-Go' connects situations sequentially and termination or completion of events are due to this. The characteristic aspectual viewpoint of '-go nada' is due to the lexical meaning of 'nada' which means 'come out'. The grammaticalization of '-go nada' was possible because of the properties of its meaning (come out) which can be redundant in certain connective constructions. I argued that the aspectual property of '-go nada' was originated from the image schema of 'nada'.

      • KCI등재

        참의 감탄사와 담화표지 의미 기능

        구종남 ( Jong Nam Koo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69

        본고는 첫째, 감정/느낌 표현과 관련 있는 ``참``의 감탄사와 담화표지로서의 의미 기능을 밝히는 한편, 이들 용법과 의미 기능은 부사 ``참``의 기본적인 어휘 의미에 의해 원리적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보이고, 둘째, ``참``은 감정/느낌 표현과는 무관하게 문득 떠오른 생각이 있음을 나타내는 감탄사적 용법과 담화표지로서의 기능을 갖는바, 이때의 ``참``은 사전의 기술과는 달리 감정 표현의 ``참``(眞)과는 무관한 것이라는 사실을 밝히고 이의 담화표지적 기능을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고에서 논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기존의 견해와는 달리 감정 표현의 ``참``과 문득 떠오른 생각이 있음을 표현하는 ``참``은 별개로서 동음어로 보아야 한다. (2) 감정 표현의 ``참``은 거의 모든 감정의 표현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참``이 고정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감정을 표출하는 기능을 나타낼 뿐, 감정의 내용은 문맥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3) ``참``의 기본적인 의미 기능은 ``구체적인 감정 유발의 상황을 접하여 이에 진정으로 공감하며 느끼는 감정의 직접적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4) 문득 떠오른 생각이 있음을 나타내는 ``참``은 부사 ``참``과 무관하며 기존의 감탄사 ``아차``에서 ``아참``을 거쳐 나온 것이다. (5) ``참``은 담화표지로도 쓰이는바, 몇 가지 증거에 따르면 이는 부사와 감탄사에서 기원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그 기본적인 의미는 ``발화시 화자의 진정성과 관련된 막연한 심리 태도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6) 담화표지 ``참``의 담화적 기능은 발화에 대한 비단정적 태도의 표출, 발언권 유지, 시간 벌기 등이다. (7) 문득 떠오른 생각이 있음을 나타내는 감탄사 ``참``도 담화표지로 분석될 수 있는데 이의 주된 담화적 기능은 정보의 수정과 초점화다. This paper has two purposes. The first one is to elucidate the meanings of ``cham(참)`` which are used as interjection and discourse marker, and show how the meanings of these interjection and discourse marker can be explained by the meaning of adverb ``cham``. The second one is to argue that there are two kinds of interjection ``cham`` which have different meanings, emotion expression(``cham1``) and the expression of sudden occurrence of thought (``cham2``).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up like these. (1) The interjection ``cham`` should be divided into two. That is, cham is homonymous. (2) Emotion expression ``cham`` can be used to expose all the feelings. (3) The basic meaning of interjection ``cham1`` is the direct expression of emotion which are felt truthfully in emotion-triggering situation. (4) ``Cham2`` has nothing to do with adverb ``cham``. It has it`s origin in interjection ``acha``(아차). (5) Discourse marker ``cham3``(originated from ``cham2`` and adverb ``cham``) drives it`s origin from interjection and adverb ``cham``. And the basic meaning of it is the expression of speaker`s dim truthfulness. (6) The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 ``cham1`` are like these : the expression of speaker`s unassertive attitude to his utterance. discourse strategy to maintain speaker`s utterance, and strategy to obtain time during speaker`s utterance. (7) ``Cham2`` also can be used as discourse marker and it`s functions in discourse are correcting information and focusing.

      • KCI등재

        국어 진행상의 형식과 특징

        구종남(Koo, Jong-nam) 한국언어문학회 2013 한국언어문학 Vol.85 No.-

        This paper has two purposes : One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wo Korean progressive markers ‘-go itta’(-고 있다), ‘-neun joongida’(-는 중이다), the other is to illuminate the grammaticalization of the two progressive form, and to explai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orms by ‘-neun joongida’ construction's property triggering the sister-member situations which is due to the etymological meaning of ‘joong’(middle). The two progressive aspect forms differ in allowing time adverb, in negative sentences, and in resultative aspects etc. I discussed the grammaticalization of the two types. ‘-Go itta’ was grammaticalized by the manner schema(X stays in Y manner), and ‘-neun joongida’ was grammaticalized by the locative schema(X is at Y).The meanings of grammaticalized forms are affected by the etymology of elements of the form. ‘Joong’(middle) in the ‘-neun joongida’ construction presupposes the other parts which are not middle pragmatically. Therefore in ‘-neun joongida’ progressive form presupposes the other situations which are the sister members of it, so in ‘-neun joongida’ sentences the V1 situations functions as figure and it's sister-members function as ground. Resultantly all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rogressive form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s that the later presupposes the sister-members which has time span in the whole situation as ground.

      • KCI등재

        국어 부정극어의 허가 영역과 통사 구조의 해석

        구종남(Jong-nam, Koo)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2 No.-

        부정극어의 허가 영역에 관한 논의에서는 절 경계를 분석하는 것과 단형과 장형의 부정 방식에서 기인하는 부정 영역의 차이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다. 그러나 이전의 논의에서는 이들 문제에 대한 면밀한 고려가 없거나 부족했다. 그 결과 접속문과 내포문에서 부정극어의 허가 영역이 제대로 규명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이전의 논의에서 국어 부정극어 허가 영역과 관련하여 동일절 조건이 지켜지지 않는 것으로 인식된 경우가 있으나 본고의 입장은 이와 다르다. 또한 그간의 논의에서 부정극어 허가 영역과 관련하여 직관상의 문제와 관련된 문제가 있었으며, 부정극어의 다양한 복문 구조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도 미흡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어 부정문의 부정 방식과 부정 영역에 기초하여 접속문, 명사절 내포문, 보조동사 구문, 장형 사동문, 부정 상승 구문, 명사구 부가어절을 가진 계사 구문, 비명시적 부정극어 허가자 구문 등 여러 가지 복문 구성에서 부정극어 허가 영역을 논의했다. 이를 통해 국어의 다양한 복문 구조에서 모두 동일절 조건을 준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면상 상이한 절에 속하는 부정어가 다른 절에 속하는 부정극어를 허가하는 것으로 보이나 부정의 영역을 고려하여 문장 구조를 분석하면 동일절 조건으로 분석되며 절 경계가 분명하지 않은 구문의 경우 부정어와 부정극어가 상이한 절에 속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때도 상위절 본동사와 하위절 동사가 한 단위로 재구조화되어 부정극어를 허가한다고 할 수 있으므로 동일절 조건을 준수한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explore the scope in which NPIs(negative polarity items) are licensed in Korean bi-clausal structures. It is well known that NPI must be licensed only by a negative element in the same clause. There are two types of negation, short form and long form in Korea. The long form is different from the short one in that the former has ambiguity and affirmative presupposition. Therefore we must discuss the licensing scope of NPIs through the long form negation.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licensing scope of NPIs of various bi-clausal sentences. In conjoined sentences, even though the NPI and negative exist in different clauses on the surface, the sentences are grammatical. It is due to the negation method of long form. It shows the wide scope of negation in these cases a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NPI and negative are in the same clause. So the clause-mate condition is observed. And I examined the licensing scope of NPI in complex sentences which has embedded NP-clause, VP-clauses and in negative raising sentences, auxiliary verb sentences, negative copula sentences, and in sentences which has unexplicit NPI licensor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almost all the complex sentences keep the clause-mate condition. It appears that some sentence types do not observe this condition. But in these cases, the preceding and accompanying verbs are reconstructed and function as a verb. I concluded that in Korean all the NPIs must be placed in the clause in which the negative exists.

      • KCI등재

        보조용언의 완료 기능설에 대한 재고

        구종남 ( Jong Nam Koo ) 대한언어학회 2013 언어학 Vol.21 No.1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21(1), 95-115.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aspectual functions of the auxiliary verbs ‘nohta’(놓다), ‘dooda(두다)’, ‘beorida’(버리다) ‘naeda’(내다) in Korean. It has been argued that these verbs have the meaning of perfective aspect. But these claims weren‘t examined fully in aspectual theory, and arguers depend on intuition in judging perfect. So there is no agreement on the items of perfective auxiliary verbs, and there are many phenomena we cannot accept of these verbs have the meaning of perfect. I observed the concept of perfective aspect overall and presented the conditions of perfective aspect based on the aspectual logic, and discussed whether the auxiliary verbs can be perfective forms. And I concluded that these auxiliary verbs cannot have the meaning of perfective aspect, by showing 14 evidences. For the most, these verbs cannot mark terminal point and complete the action in situation type. The reasons why these verbs have been misunderstood as perfective aspectual forms were explained in this paper. And I argued that they just represent modal meanings.

      • KCI등재

        독립적 -고 접속문의 의미 해석과 특징

        구종남 ( Jong Nam Koo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1

        독립적 ‘-고’ 절의 존재를 확인한 뒤 이의 후행절과의 의미 관계를 분석하고 이 구문의 여러 가지 통사 현상과 제약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전의 연구를 종합하면 접속어미로 쓰일 때 ‘-고’의 의미는 단순 나열, 시간 나열 두 가지로 분류되며 단순 나열은 유사와 대립, 강조와 반복으로 하위분류되고 시간 나열은 동시, 계기, 지속, 수단/방법, 이유, 근거/조건으로 하위분류된다. 본고에서는 국어 구어 발화에서 ‘-고’가 이런 의미 관계를 나타내는 접속문 구성 방식외에 다른 방식의 접속 구성을 이루고 있음을 주목하고, 이때의 ‘-고’ 절은 음운론적으로 휴지와 분리된 억양을 갖는다는 점에서 이를 독립적 ‘-고’ 절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선행절인 ‘-고’ 절과 후행절 간의 의미 관계를 5가지 유형으로 분석했는바, 이는 ‘-고’의 내재적 의미에 의해서가 아니라 온전히 맥락에서의 추론에 기인한 것임을 보였다. 특히 ‘-고’절이 이유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시제 제약, 인칭 제약 등이 존재함을 논의하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본고에서는 독립적 ‘-고’ 접속문의 특성과 제약 현상도 살펴보았다. 이 접속문은 의미유형별로 문장 종결법에서 제약을 보이며, 독립적 ‘-고’ 절은 일반적으로 복수로 출현할수 있지만 이에 특수조사가 결합되는 경우는 단독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한편 ‘-고’절은 정보의 초점이 될 수 없다. 본고에서는 독립적 ‘-고’ 접속문의 선/후행절 간의 의미관계가 5가지로 분류되는 것으로 보았으나 이의 선/후행절 간의 의미 관계가 문맥적 추론에 의해 파악되기 때문에 그 의미 유형을 분명하게 분류하기 어려운 성격을 지니고 있다. In this paper I argued that there are connective sentences in which subordinate clauses(having connective ending ‘-go’) are independent phonologically and semantically from main clauses: I call these subordinateclauses independent ‘-go’ clause(IGC). I elucidated the relational meanings between main caluse(S2) and subordinate clause(IGC=S1),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restraints of the connective sentences having IGCs. IGC has salient pause after it. Usually IGCs appear plurally, and the relational meanings between IGCs and the main clause are understood by the contextual inference. I divided sentences having IGCs into five types according to the relational meanings and analyzed the semantic relations between S1 and S2. These are presenting 1) judging ground, 2) contents of S2, 3) indirect ground of evaluation, 4) characteristics of S2, 5) cause of S2. The IGC sentences have the restraints on sentence type. Though usually IGCs appear plurally, if the ‘-go’ clause has auxiliary postposition it can appear singularly. IGCs cannot be the focus of information. Dividing the relational meanings between subordinate LGCs and main clauses is not always clear-cut, because they depend on contextual inferences on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