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흰쥐의 장간막동맥과 흉추대동맥에서 젖산에 의한 혈관 이완 효과

        김기현,오승범,구재응,성동준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1

        Lactate is considered a vasodilator, however, its mechanism of vasodilation is unclear.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lucidate the vasodilatation by lactate in thoracic aorta and mesenteric artery. In this study, isometric tension and patch-clamp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lactate vasodilatory response in thoracic aorta and mesenteric artery in male Spraque Dawley (SD) rat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Lactate-induced vasodilation of the thoracic aorta was induced independently of vascular endothelial cells and Ca2+-activated K+ channels. Similarly, vasodilation of the mesenteric artery by lactate was not affected by vascular endothelial cells and pH adjusted conditions. Finally, voltage-dependent K+ currents in mesenteric artery smooth muscle cells were not increased by lact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vasodilation of the thoracic aorta and the mesenteric artery by lactate is independent of endothelial cell and pH and may lead to signal transduction in smooth muscle cells. Therefore, in future studies, a multifaceted study on cell signaling will be needed to identify lactate-induced vasodilation responses. 젖산염은 국소혈관이완물질로 알려져 있지만 현재까지 그 기전이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흉추대동맥과 장간막동맥에서 젖산염에 의한 혈관이완기전을 규명하기 시도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수컷 Spraque Dawley(SD) rat의 흉추대동맥, 장간막 동맥, 그리고 장간막동맥 평활근세포에서 젖산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등척성 수축실험과 patch-clamp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젖산염에 의한 흉추대동맥의 이완은 혈관내피세포 및 Ca2+-의존성 K+통로에 비의존적으로 유도되었다. 이와 유사하게 젖산염에 의한 장간막동맥의 이완은 혈관내피세포 및 pH보정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장간막동맥 평활근세포의 전압-의존성 K+전류는 젖산염에 의해 증가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젖산염에 의한 흉추대동맥과 장간막동맥의 혈관이완은 내피세포 및 pH에 비의존적이며, 평활근세포의 신호기전을 경유할 가능성이 제시된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 젖산염으로 유도된 혈관 이완반응을 규명하기 위해 세포신호체계에 대한 다각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