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Status of Intestinal Parasite Infections among 4,137 Residents from Provinces Nationwide and Metropolitan Areas in the Republic of Korea (2004)

        Chai, Jong-Yil,Park, Jae-Hwan,Guk, Sang-Mee,Kim, Hyo-Jin,Kim, Won-Hee,Kim, Jae-Lip,Gu, Young-Suk,Shin, Eun-Hee,Park, Hyun-Mo,Hong, Kwang-Seon,Kim, Sung-Dae,Lee, Soon-Hyung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4

        배경 : 전국 규모의 장내 기생충 감염 현황에 관한 연구는 1997년 이후 시행된 바 없었다. 이번 연구는 국내 여러 지역 주민에서 장내 기생충 감염 상황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한국건강관리협회 전국 시도 지부별로 2004년 7월부터 9월까지 건강검진을 위해 방문한 지역 주민 4,137명(남자: 2,170명, 여자:1,967명)으로부터 대변을 수집하였다. 검체는 Kato-Katz 후층도말법과 formalinether 침전법을 이용하여 연충류 충란(helminth eggs), 유충 및 원충 포낭(protozoan cysts) 등을 검사하였다. 결과 : 연충류 충란 및 유충, 그리고 원충 포낭이 335(8.1%)명에서 확인되었다. 연충류로는 간흡충(Clonorchis sinensis) (양성자 수 및 양성률 : 259명, 6.3%), Metagonimus sp. (14명, 0.34%), 표주박이형흡충(Pygidiopsis summa) (5명, 0.12%), 기타 이형흡충류(24명; 0.58%), 극구흡충류(Echinostoma sp.) (4명, 0.1%),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1명, 0.02%), 편충(Trichuris trichiura) (10명, 0.24%), 회충(Ascaris lumbricoides) (1명, 0.02%), 구충(hookworm) (1명, 0.02%)의 충란과 분선충(Strongyloides stercoralis)의 유충(1명, 0.02%)을 확인하였다. 대장아메바(Entamoeba coli) (9명, 0.22%) 및 람블편모충(Giardia lamblia) (1명, 0.02%)의 포낭과 Isospora sp.의 난포낭(1명, 0.02%)을 검출하였다. 지역별로는 경상남도(15.3%)가 감염률이 가장 높았고, 광주·전라남도(13.9%),부산(12.3%), 경상북도(11.2%), 대전·충청남도.(8.1%), 충청북도(8.0%), 인천(7.0%), 대구(6.8%), 경기도(5.0%), 전라북도(4.4%), 강원도(3.5%), 서울(2.6%), 제주도(2.0%)의순이었다. 성별 감염률에 있어서는 남자(10.4%)가 여자(4.8%)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결론 : 간흡충, 이형흡충류 등 어류-매개성 흡충류가 한국 국민의 주요 장내 기생충임이 확인되었다. 이들 어류-매개성 인수공통 기생충 관리대책이 요망된다. Background : The status of intestinal parasite infections among the residents of nationwide geographical areas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little investigated since 1997.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stimate the infection status of intestinal parasites among residents of several geographical areas in the Republic of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Fecal samples of 4,137 people (men : 2,170, women : 1,967) who visited the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for a health check-up were colle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04. Specimens were examined for helminth eggs, larvae, and protozoan cysts using the Kato-Katz thick smear, formalin-ether sedimentation, and modified acid-fast staining techniques. Results : Helminth eggs, larvae, and protozoan cysts were found in 322 (7.8%) of the 4,137 specimens examined. The helminth species detected were Clonorchis sinensis (in 259 specimens; 6.3%), Metagonimus sp. (14; 0.34%), Pygidiopsis summa (5; 0.12%), unidentified heterophyids (24; 0.58%), Echinostoma sp. (4; 0.1%), Gymnophalloides seoi (4; 0.1%), Paragonimus westermani (1; 0.02%), Trichuris trichiura (10; 0.24%), Ascaris lumbricoides (1; 0.02%), hookworms (1; 0.02%), and Strongyloides stercoralis (larva positive) (1; 0.02%). The protozoans detected were Entamoeba coli (9; 0.22%), Giardia lamblia (1; 0.02%), and Isospora sp. (1; 0.02%). The parasite positive rate was the highest in Gyeongsangnam-do (38 specimens; 15.3%), followed in decreasing order by Gwangju/ Jeollanam-do (56; 13.9%), Busan (58; 12.3%), Gyeongsangbuk-do (18; 11.2%), Daejeon/Chungcheongnam-do (42; 8.1%), Chungcheongbuk-do (18; 8.0%), Incheon (10; 7.0%), Daegu (22; 6.8 %), Gyeonggi-do (25; 5.0%), Jeollabuk-do (7; 4.4%), Gangwon-do (6; 3.5%), Seoul (20; 2.6%), and Jeju-do (2; 2.0%). The male positive rate (225/2,170; 10.4%)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s (95/1,967; 4.8%) (P<0.01). Conclusion : Fish-borne trematodes including C. sinensis and heterophyids appear to be the major intestinal parasites among residents of the Republic of Korea. Control efforts are required against these fish-borne parasitic zoono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