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곡(潛谷) 김육(金堉)의 부(賦)문학 연구

        구봉곤(Koo, Bong-gon) 우리말글학회 2012 우리말 글 Vol.54 No.-

        본 논문은 『잠곡유고(潛谷遺稿)』에 실려 있는 부문학 작품을 통해 김육(金堉)의 문학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육은 17세기의 정치가로 대동법의 실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임진왜란(壬辰倭亂)과 병자호란(丙子胡亂)이라는 국가적 시련을 직접 경험했다. 그리고 명나라가 멸망에 다다른 시기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했다. 이러한 경험은 그의 문학 활동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잠곡유고』에는 네 편의 부문학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김육은 〈등해교부(登海嶠賦)〉와 〈차탁영감구유부(次濯纓感舊遊賦)〉를 동지부사가 되어 명나라에 파견되었을 때, 〈애강남부(哀江南賦)〉는 연경이 함락되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귀산거부(歸山居賦)〉는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 있을 때 각각 지었다. 『잠곡유고』에 수록된 김육의 부작품이 갖는 첫 번째 특징은 산문성이 적절히 활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김육은 사행의 경험을 기록하기 위한 장르로 부문학을 선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사행은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온 일인데 이러한 일을 기록하기 위해서 여정과 감상, 견문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부라는 장르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명의 멸망을 통해 역사를 분석하고 경계를 삼으려는 과정을 〈애강남부〉와 〈차탁영감구유부〉에서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분석의 과정은 논리적이며 산문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두 번째 특징은 성리학적 인식을 직설적으로 표출하고 있다는 점이다. 김육은 명ㆍ청의 교체를 바라보면서 청에 대한 강한 반감을 드러낸다. 또한 불교의 비현실성에 대해서도 신랄하게 비판한다. 이러한 것들은 성리학적 인식의 틀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김육의 부문학은 산문성을 적절히 활용하여 사실의 전달에 힘쓰고 있으며 성리학적 인식을 직설적으로 담아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look for characteristics of Kim Yuk’s literature through Boo literary works included in Jamgokyugo. Kim Yuk is known as an important politician who acted for practice of Daedongbeob in 17C. He directly went through some national difficulties such the ‘Imjin war’ & ‘the Second Manchu Invasion’. He also visited Ming China as an envoy when the country collapsed. These experiences affected his literary works. Four Boo literary works are included in Jamgokyugo. Kim Yuk, invested with Donggibusa, wrote 〈Deonghaekyoboo〉 and 〈Chatakyounggamguyouboo〉 when he was dispatched to Ming China. 〈Aegangnamboo〉 was written when he heard that Yinguan was taken, and 〈Guisangeoboo〉 when he pull out from the forefront of political activity. The first characteristic of Kim Yuk’s literary works included in Jamgokyugo has prosaic-characteristics. Kim Yuk had chosen Boo literary works for record as Civil Minister of Joseon Dynasty. We can see that his journey and impressions of it is due to 〈Deonghaekyoboo〉 and 〈Chatakyounggamguyouboo〉, ie. when he was dispatched to Ming China as Donggibusa. But looking at it the other way round, the why two literary works about his travel are found in Jamgokyugo is that his Boo literature is characterized by journeys and experiences.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at he expressed clearly his view on Neo-Confucianism. Jamgokyugo is the deep affection for Min China he shows. Excepted 〈Guisangeoboo〉, the three other literary works in Jamgokyugo are centered on stories of Ming China. Kim Yuk demonstrated political ability when Ming China was decaying and Qing China was thriving. As Civil Minister of Joseon Dynasty, Kim Yuk was shocked at seeing Manchurian people whom he had considered as barbarians dominating the land of China. So, there are deep affection for Ming China and bitter hostility towards Qing China in his literatures. 〈Aegangnamboo〉 and 〈Chatakyounggamguyouboo〉 show a Civil Minister of Joseon Dynasty just watching the fall of Ming China. He is analyzing the cause of the fall of Ming China narrating his view about the Kings’ reign of Ming China. And he also criticizes sharply the unreality of Buddhism. It shows that he was under the rule of Neo-Confucianism. Therefore we can figure out that Kim Yuk’s Boo Literature has prosaic-characteristics related to his direct experiences and expressed clearly his view on Neo-Confucianism. This is one of characteristics of the Kim Yuk’s literature.

      • KCI등재

        김휴의 부 문학 연구

        구봉곤(Koo, Bong-gon)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4 No.-

        본 연구는 경와(敬窩) 김휴(金烋, 1597∼1638)의 부 문학을 살펴보고, 그의 부 문학이 갖는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휴는 영남에서 태어나 42년이라는 비교적 짧을 생을 살았다. 출사를 하지 않았지만 일생동안 학문을 깊이 연구하며 저술 활동에 힘썼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고 있는 김휴의 부 작품은 모두 5편으로 『경와집』 1권의 첫 부분에 실려 있다. 그의 부 작품은 그의 생몰년을 미루어 볼때 17세기 초반 부 문학의 특징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따라서 김휴의 부 문학 논의는 17세기 초반 부 문학의 특징을 연구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 본고는 김휴의 부 작품이 갖는 형식적인 특징과 내용적인 특징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형식적인 부분에서 표현방법의 특징으로는 용사가 상당히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점과 서사의 활용이 나타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한 편에 불과하지만 대화의 전략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도 하나의 특징이다. 구성은 주로 ‘본’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는 67줄부터 166줄까지 다양하다. 김휴의 부 작품에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내용은 유가의 삶을 추구하고 그것을 실천하는 모습이다. 즉, 유가로서의 삶의 실현이 그의 부 작품 전체를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부 작품을 통해 김휴가 살았던 모습과 그가 지향했던 삶을 엿볼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Bu written by Kim Hue. Kim Hue was born in Gyeongsang-do, the south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lived until the age of 42. He did not serve as a government official, but maintained a lifelong academic interest, and published literary works. In this study, five bu works by Kim are examined, which are in the beginning section of the first volume of ‘Gyeongwajip.’ In terms of style, Kim’s works are examined for their expression and composition. As for writing expression, the Yong-sa is widely used, and narrations are occasionally given. One of the bu works was written in a dialogue. As for composition, most have only bodies without a separate prologue or epilogue, and the length of the work varied between 67 and 166 lines. The discussion focuses on contents and style of the bu works. In terms of contents, most of his works focus on a pursuit and practice of Confucian ideas. Living a life of a Confucianist is a consistent theme throughout Kim’s writing, and his bu works reveal the way he lived and aspired to live. Given the date of his birth and death, it can be assumed that Kim’s works show characteristics of bu in the early 17th century, and discussions on his writing would provide a basis to further research on literary characteristics of bu from the period.

      • KCI등재

        17세기 부에 나타난 대화전략의 특징 연구

        구봉곤(Koo, Bong g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76 No.-

        본 연구는 17세기 부 작품에 나타난 대화전략을 분석하고 그러한 분석을 통해 대화전략의 특징을 찾고, 17세기 부 문학이 갖는 의미도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대화부의 분석은 대화의 구성, 대화의 목적, 발화의 빈도, 화자의 양상에 따라 논의가 진행될 수 있다. 대화는 시작부, 중심부, 종결부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대화의 목적은 발화의 내용에 따라 정보 전달, 주장 관철, 정서 표출, 이치 설명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작품에 대화를 포함함으로써 작가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대화전략에 또 다른 목적이 있었다. 발화 빈도의 차이는 작품의 성격, 주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화자가 사람과 사람인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사람과 동물, 동물과 동물인 경우도 있다. 그리고 화자가 사람인 경우에는 직업이나 신분, 가치관 등을 작품에서 찾아낼 수 있는데, 그런 요소들이 작품에서, 그리고 대화의 내용에 영향을 주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conversational strategy as shown in 17th century Bu literature. An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al strategy through analysis and to find the meaning of 17th century Bu literature. The analysis of conversational part proceeded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 of conversation, its purpose, frequency of speaking, and characteristics of speakers. A conversational part consists of three parts: a beginning, a middle, and an end. The purpose of the conversation may be one of providing information, making an argument, expressing emotions, or explaining a logic, depending on the contents. Another purpose is to present conversational strategy that the author pursues ultimately. The difference in frequency is closely tied to the nature and the theme of the work. Mostly speakers are all humans, but in some cases, conversations take place between people and animals, or between animals. When a speaker is a human, the work shows his or her occupation, social status, and values, which influence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 KCI등재

        조선후기 부와 가사 문학 비교

        구봉곤(Koo Bong-gon) 우리말글학회 2009 우리말 글 Vol.47 No.-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set connection of ‘Boo’ and ‘Gasa’, by comparison ‘HooWaMyung-Boo’ with ‘WooBoo-Ga’ during the later of the Chosun. There is a difference that ‘Boo’ was written by Chinese letter and ‘Gasa’ was written by Korean letter. However those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at they are standing on intermediate position of poetry and prose. And also those have comparatively free form to be lengthened. These commons suggest possibility that ‘Boo’ and ‘Gasa’ have effects on each other. Therefore, some close connection with ‘Boo’ and ‘Gasa’ could be verified by comparison ‘HooWa Myung-Boo’ with ‘WooBoo-Ga’ of the same age. This study considered connection ‘Boo’ with ‘Gasa’ by comparison expression, function and form of ‘HooWaMyung-Boo’ and ‘WooBoo-Ga’. In the way of expression, ‘HooWaMyung-Boo’ and ‘WooBoo-Ga’ commonly have enumeration and antithesis. ‘HooWaMyung-Boo’ has enumerations of historical events. Enumerations of ‘WooBoo-Ga’ were used to criticize immoral behaviors of three WooBooes. There is only one antithesis of ‘HooWaMyung-Boo’, this is considered that antithesis was not worthy to express the subject. In ‘WooBoo-Ga’ antithesis with enumeration were used several places to expose WooBoo's behaviors. ‘HooWaMyung-Boo’ and ‘WooBoo-Ga’ have same purpose which is instruction by admonition. This commonness is verified by characteristics of genre of ‘Boo’ and ‘Gasa’. Those have commonly intermediate character of poetry and prose, this character is suitable to enlighten people. At last, in the way of formal side, ‘HooWaMyung-Boo’ and ‘WooBoo-Ga’ have comparatively free form to be lengthened. By this characteristic those could express substantial contents and explanation about matters which cannot be handled by Chinese poetry and Shijo. Besides ‘HooWaMyung-Boo’ was written in question and answer form and ‘WooBoo-Ga’ was in description. These styles - commonly found in ‘Boo’ and ‘Gasa’ - were chosen by writers' intentions not by a characteristic of genre.

      • KCI등재

        현주 조찬한의 부 작품 연구

        구봉곤(Koo, Bong-gon) 한국고전번역원 2016 民族文化 Vol.48 No.-

        본 연구는 조찬한의 부 작품 분석을 통해 그의 부 문학에서 대화 전략이 갖는 특징과 역할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찬한의 부 작품을 살펴보면 대화전략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화전략이 발견되는 조찬한의 부 작품은 「발검기무부」, 「봉황상천인부」, 「사석호부」, 「필간부」, 「수서부」, 「예미귀부」, 「작소부」, 「수세부」, 「적벽부」, 「반적벽부」로 모두 10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자의 종류와 발화 양상, 대화의 소재를 중심으로 작품을 분류하고 대화전략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다. 조찬한의 부 작품에서 대화는 화자와 청자의 상호작용으로 진행된다. 사람과 사람의 대화는 대화의 소재와 깊은 연관이 있다. 동물 화자의 등장은 사람과 사람의 대화보다는 더 흥미롭고, 주제를 비유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발화를 통해 화자는 어떤 사실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거나 전달하면서 자신의 주장을 표면화시킨다. 또한 조찬한의 부 작품에는 역사적 사건, 동물들의 일상 등의 소재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소재를 통해 당대의 정치․사회적 비판을 돌려 말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features and roles of dialogue strategies in his Bu(賦) works through the Bu Works of Hyŏn-chu Cho Chan-han. In this paper, it classified his works focused on the types of speakers, the tendency of utterance, and subjects of dialogs, and analyzed the features of dialogue strategies. In his Bu works, the conversation is ongoing interaction between the speaker and listener. The conversation between people is tightly connected with material of conversation. The simultaneous appearance of animal speakers is usually more interesting and metaphorical for the subject than the dialog between humans. Speakers externalize his own opinion demanding certain information on continuous utterances. In his Bu works, It also shows various materials such as historical events and daily life of animals. So, He could talk around about contemporary criticism of political and social issues through these materials.

      • KCI등재

        구성방식 분석을 통해 본 조찬한 賦 작품의 대화전략 연구

        구봉곤(Koo, Bong-Gon)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9

        이 연구는 조찬한의 부 작품의 구성방식을 분석하여 그의 부 문학에서 대화전략이 갖는 특징과 역할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대화전략이 사용된 열 편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작품의 구성을 도입부와 대화부, 정리부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대화전략이 갖는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각각의 부분이 부 작품에서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도입부는 대화의 화자와 소재, 장소 등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부분으로 전달하는 정보의 양에 따라 길이가 달랐다. 대화부는 발화 부분으로 작품의 주제가 드러나는 부분이다. 이러한 대화부는 시작부, 중심부, 종결부의 구성을 갖는 경우, 시작부와 중심부로 구성된 경우, 시작부와 중심부, 종결부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로 분류할 수 있었다. 정리부는 대화가 끝난 후 작품의 주제를 정리하는 부분으로 대화의 종결 이후 화자의 행동을 통해 주제를 밝히고 있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mposition of Bu literature by Cho, Chan-han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conversational strategy found in this literature. Ten literature pieces in which conversational strategy was used were chosen as subjects of this study. The paper examines the composition of the pieces by dividing each into three parts—introduction, conversation, and summary—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al strategy can be found. The paper also discusses the roles of each part in Bu literature. The introduction provides basic information, including the narrator of the conversation, subject matter, and place. The length of the introduc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amount of information delivered. The conversation contains speech through which the theme of the piece is revealed. Conversation parts include cases composed with a beginning, center, and closing; a beginning and center; or without a beginning, center, or closing. In the summary, the theme of the piece is summarized after the conversation ends. Here, the action of the narrator that occurs following the completion of the conversation reveals the theme.

      • KCI등재

        조찬한과 이옥의 부 문학 비교 연구 : 대화 전략을 중심으로

        구봉곤(Koo, Bong-Gon)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6 No.-

        본 연구는 조선중기와 조선후기의 부 작품 가운데 대화가 나타나는 작품들을 분석하고 그것을 통해 대화 전략이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밝히는 것이다. 조찬한과 이옥의 작품에서 두 화자가 한 번씩만 발화를 하는 것들이 있다. 조찬한의 작품에서는 화자A와 화자B가 서로 상반된 의견을 내놓고 화자B의 의견이 옳다는 입장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이옥의 작품에서 화자A와 화자B는 같은 입장을 갖고 있다. 이옥의 작품은 대화의 유형이 조찬한의 작품에서 나타난 것보다 다양하지 않았다. 이옥의 경우, 표면적으로 화자의 정서를 표출하는 작품이 한 편만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서정성보다는 서사성을 중시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옥은 현실 비판을 목적으로 하는 작품의 비율이 상당히 높다. 조선중기보다 조선후기에 현실에 대한 비판을 담으로는 경향이 더 강해졌을 가능성이 크다. 이옥은 모든 작품에 사람이 화자로 등장하고 있고, 조찬한은 두 편의 작품에서 사람이 아닌 두 동물이 화자로 등장한다. 조찬한은 다양한 동물을 화자로 내세우고, 이옥은 동물은 거북만을 내세며 거미나 벼룩과 같은 곤충을 화자로 한다는 점이 달랐다. 이옥의 여성화자는 당대의 보편적인 평민의 여성을 화자로 등장시켜 당대에 만연했던 삼정의 문란을 직설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amines works of bu from the mid- and late-Joseon period that featured conversations, and identifies changes in conversational tactics. The researcher examined works of bu written by Cho Chan-han(1572-1631) and Lee Ok(1760-1812) where each of two speakers speaks only once. In Cho Chan-han’s bu, Speaker A and Speaker B voices two opposing opinions, and the author suggests that Speaker B’s opinion is right. In comparison, in Lee Ok’s bu, Speaker A and Speaker B voices the same opinion. In works of Lee Ok, the type of conversation is less varied than in works of Cho Chan-han. In case of Lee Ok, only one work of bu expresses a speaker’s feelings, suggesting that the writer put more emphasis on narrativity than on lyricism. A large number of Lee Ok’s bu aims to criticize the reality, and this tendency might have grown stronger in the late Joseon period than earlier. In all works of Lee Ok, human beings appear as a speaker, while in two works of Cho Chan-han, two animals appear as a speaker. Cho Chan-han featured various animals as speakers in his bu, while Lee Ok only featured a turtle among the animals, or featured insects including spider and flea as a speaker. In Lee ok’s work, female speakers are portrayed as a typical commoner who frankly criticizes disorder of the three taxation systems that was a widespread problem at th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