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아동학대 경험, 우울 및 불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된 조절효과

        구본용(Khu Bon Young),김지은(Kim Ji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의 아동학대 경험, 우울 및 불안이 자살사고의 관계를 통해 중학생의 자살사고를 높이는 부정적인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여 중학생의 자살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돕고자 진행되었고, 중학생의 아동학대 경험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우울 및 불안 및 자아존중감의 예방적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는 아동기 학대경험으로 인해 내재화된 우울이나 불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본 연구 대상자는 2019년 공개된 13차 년도 한국복지패널에 참가한 중학생 총 391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아동학대 경험, 자살사고 간에 우울 및 불안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아동학대 경험, 자살사고 간에 우울 및 불안을 통한 자아존중감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우울 및 불안이 자살사고로 가는 직접 영향이 적어짐을 의미한다. 결론 이를 바탕으로 자살사고를 감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힘을 길러주기 위해 필요한 우울 및 불안과 자아존중감의 기능을 확인함으로써 중학생의 자살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reduce suicide accidents by identifying the negative effects of increasing middle school students suicide accidents and the positive effects of self-esteem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thoughts, depression and anx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confirm the preventive func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s and suicide Ide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is to prepare a plan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depression or anxiety internalized by childhood abuse experiences on suicide Idea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used the data of a total of 391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13th Korean Welfare Panel released in 2019.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anxiety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and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through depression and anxiety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s and suicide Idea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self-esteem directly influenced the less depression and anxiety to suicide Ideation. Conclu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plan to reduce suicide Ide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by identifying the functions of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necessary to develop specific strength to reduce suicide Ideation.

      • KCI등재

        지각된 수퍼바이저 스타일이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수퍼바이저 진정성과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이중매개 효과

        구본용(Khu Bon Young),김혜련(Kim Hye R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는 지각된 수퍼바이저 스타일, 수퍼바이저 진정성, 수퍼비전 작업동맹, 수퍼비전 만족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수퍼바이저 스타일과 수퍼비전 만족도 간에 수퍼바이저의 진정성과 수퍼비전 작업동맹이 이중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지역 상담 기관, 대학교 상담센터 및 사설 상담센터에 종사하는 수퍼비전 경험(한 명의 수퍼바이저로부터 3회 이상의 수퍼비전을 받은 경험)이 있는 상담자를 대상으로 온라인(Google 설문) 방식으로 진행하여 25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2.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수퍼바이저 스타일과 수퍼비전 만족도 간에 수퍼바이저의 진정성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수퍼바이저 스타일과 수퍼비전 만족도 간에 수퍼비전 작업동맹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수퍼바이저 스타일과 수퍼비전 만족도 간에 수퍼바이저의 진정성,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결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수퍼비전을 위한 수퍼바이저의 특성과 수퍼비전 과정을 확인함으로써 수퍼비전 실제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upervisory style, supervisory authenticity, supervision work alliance,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supervisory authenticity and supervision work alliance play a double mediating role between supervisory style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Methods To this end, we conducted an online (Google survey) method for counselors with supervisory experience (experienced 3 or more supervisions from one supervisor) working at local counseling agencies,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and private counseling centers to collect data from 252 peop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2.0 and PROCESS macro.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upervisory authenticity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upervisory style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Second, the supervision working allianc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upervisory style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Third,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y authenticity and supervision working alliance was significant between supervisory style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Conclusions Based on this, the supervisory characteristics and supervision process for effective supervision were identified, and a plan for actual supervision was suggested.

      • KCI등재

        상담자 상담경력에 따른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 상담목표설정 구체성, 상담자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구본용(Khu Bon Young),박은희(Park Eu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상담경력,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 상담목표설정 구체성, 상담자 만족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과 상담자 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상담자의 상담경력이 상담자 만족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과 상담목표설정 구체성을 선정하여 상담자의 상담경력이 상담자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과 상담목표설정 구체성의 이중매개경로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상담자 482명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상담자 상담경력과 호소문제 명확성, 상담목표설정 구체성, 상담자 만족도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은 상담목표설정 구체성, 상담자 만족도는 정적 상관, 상담목표설정 구체성과 상담자 만족도도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상담자 상담경력이 높을수록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이 높아지고,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이 높을수록 상담자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상담자 상담경력와 상담자 만족도 간에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과 상담목표설정 구체성의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연구에 주는 의의 및 실제 상담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pecification of counseling objectives and the level of counselor s care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s clarity of appeal and the counselor s satisfaction. Method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ounselor s clarity of the appealed problem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counseling objective setting were selected as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s satisfaction and counselor s career, verifying the dual mediation path of the counselor s clarity of the appealed problem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counseling objective in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s satisfaction and counselor s career. The study subjects were 482 counselors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confirming the dual mediation effect in structural equation.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areer of counselor, the specification of the counseling objective setting and the satisfaction of counselor have static correlation and the clarity of couselor’s appealed problem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more the career of counselor, the higher the clarity of counselor’s appealed problem, and the higher the clarity of counselor’s appealed problem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couselor. Also, it was verified that there is an dual mediation effect of the clarity of counselor’s appealed problem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counseling objective setting between the career of the counselor and the satisfaction of counselor.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se research results for research and actual consel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경력기간에 따른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역할갈등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구본용(Khu Bon Young),임애자(Lim Ae 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전문상담교사의 경력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 경력에 따라 전문상담교사 역량이 상담자 소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을 선정하여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 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상담자 268명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전문상담교사 경력에 따른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 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상담자 소진은 전문상담교사 경력에 상관없이 전문상담교사 역량과는 부(-)적 상관을, 전문상담교사 역할갈등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는 경력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5년 미만 경력의 전문상담교사들은 직무역량이 직접적으로 상담자 소진을 감소시키고, 전문상담교사 역량이 높을수록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은 상담자 소진을 증가시키고,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 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이 간접매개효과가 있었다. 반면, 5년 이상 경력의 전문상담교사들은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역할갈등의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아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 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결과가 연구에 주는 의의 및 실제 상담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ffects of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role conflict on counselor burnout are dependent on the length of career. Methods Based on prior research, the role conflict of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 was selected as a variable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depending on the length of career, and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role conflict is the mediating variable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8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with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which the study analyzed correlation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according to the length of career.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ole conflict of the counselor was confirmed.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role conflict showed a dependency on the length of professional counselor career. It was confirmed that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with less than 5 years of experience directly reduced the counselor burnout depending on their job competency, derived from the analysis that the higher the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the less the role conflict of the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 Furthermore, the role conflict of the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 increased the counselor burnout, and the role conflict had an indirec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the counselor burnout. On the other hand, for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th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role conflict was observed to be insignificant, from which we can conclude the role conflict does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e study to the research and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consult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유년기무효화환경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 부정적자동적사고와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매개된 조절효과

        구본용(Khu bon-young),박영미(Park young-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유년기무효화환경과 부정적자동적사고로 인한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을 통해 회수된 500부의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먼저 기본 통계분석을 하고, SPSS 22.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PROCESS Macro 부트스트랩 검증을 시행하여 연구 문제를 분석하였다. 결과 청소년의 유년기무효화환경과 정서조절곤란 간에 부정적자동적사고의 매개 효과와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조절을 확인함으로써 유년기무효화환경이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부정적자동적사고와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증가 및 감소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경험적으로 이 과정을 검증 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청소년의 유년기무효화환경이 정서조절곤란을 높이는 과정에서 부정적자동적사고가 있으면 정서조절곤란을 더욱 증가시키지만, 그 과정에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있으면 정서조절곤란이 감소함이 확인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과를 논의하고, 청소년 교육 현장 적용방안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cognitive mindfulness on adolescents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due to the nullifying environment and negative automatic thinking in adolescents. To this end,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inking and the regulation of social-cognitive mindfulness between childhood nullification environ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in adolescents, negative automatic thinking and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increase And it was tried to verify this process empirically to see if it can be reduced. Methods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500 copies of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were used for the study of adolescents enroll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The collected data were first subjected to basic statistical analysis, follow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bootstrap verification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PROCESS Macro program to analyze the research problem. Results This process was empirically verified to see if negative automatic thinking and social cognitive mind control can increase or decrease negative automatic thinking and social cognitive mind control by checking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inking and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hildhood invalidation environment of adolescents further increases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if there is negative automatic thinking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but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reduces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application to the field of youth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진로 결정수준 간의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최영옥(Young-Ok Choi),구본용(Bon-Young Kh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자기지향, 타인지향, 사회부과된 완벽주의), 자아정체감,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자기지향, 타인지향, 사회부과된 완벽주의)가 진로 결정수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아정체감을 선정하여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경로를 검증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된 완벽주의)가 자아정체감을 거쳐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 4년제 대학생 545명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통계 프로그램으로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타인지향 완벽주의와 진로결정수준 간의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자아정체감이 높아지고, 자아정체감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지는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부과된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자아정체감이 낮아지지만, 자아정체감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지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연구에 주는 의의 및 실제 상담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elf-reliance, others-oriente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lf-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elf-oriented, others-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f college students was selected as the factor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mediating path of self-identity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career decision level.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45 college students, who collected data through online questionnaires. In order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rough SPSS statistical program,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 between others-oriented perfectionism and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self-oriented perfectionism, the higher self-identity, and the higher self-identity, the more fully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level. Third, the high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he lower self-identity, but the higher self-identity,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the more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of actual counsel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원봉사자의 동기부여(자기지향적 동기, 타인지향적 동기)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 간에 친사회적 행동과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주순란(Joo Soon Ran),구본용(Khu Bon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자원봉사자의 동기부여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문헌 고찰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자의 동기부여(자기지향적 동기, 타인지향적 동기)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더욱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친사회적 행동을 선정하였고, 그 관계가 성별의 조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검증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자 총 66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PROCESS macro 모형검증을 시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자원봉사자의 동기부여(자기지향적 동기, 타인지향적 동기)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간에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자원봉사자의 타인지향적 동기와 친사회적 행동,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간에 성별(남자, 여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성별(남자)의 조절효과를 보면, 자원봉사자의 타인지향적 동기가 친사회적 행동으로 가는 직접 영향을 조절하여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남자)의 조절 수준이 높아질수록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서서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별(여자)의 조절효과를 보면, 자원봉사자의 타인지향적 동기가 친사회적 행동으로 가는 직접 영향을 조절하여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여자)의 조절 수준이 높아질수록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서서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연구에 주는 의의와 실제 자원봉사 현장에서 성별에 맞는 친사회적 행동 및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Volunteer 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ith volunteering,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volunteering. selected pro-social behavior as a factor that further increases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and test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model to determine whether the relationship can vary depending on gender control. Method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those who had volunteer experience in Gyeonggi-do, and data from a total of 661 respondents were collected. For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model verification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prosocial behavior was significant between motivation (self-oriented motive, other oriented motive) and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and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Second, other oriented motive and prosocial behavior, volunteer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male, female) was significant among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Looking at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male), the effect on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by regulating the direct influence of other-oriented motives toward pro-social behavior showed that as the control level of gender (male) increased,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gradually decreased. appeared to be 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female), the effect on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by controlling the direct influence of other-oriented motives toward pro-social behavior was found to gradually decrease as the control level of gender (female) increased. appeared to increas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the study and way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pro-social behaviors and volunteer activities according to gender in actual volunteer work were discussed.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서조절양식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옥향(Ok-Hyang Kim),구본용(Bon-Young Khu)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2 사회심리발달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서조절양식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조효절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418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정서조절양식, 심리적 소진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을 측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스트레스, 정서조절양식과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은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조절양식은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에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 간에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이 매개하였고,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와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으로 인해 경험하는 심리적 소진을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조절함으로 심리적 소진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가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을 꾸준히 훈련한다면 보육교사로서 그들이 직면하는 문제를 적응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socio-cognitive mindfulness can influence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emotion regulation styles on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 care teachers.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418 nursery teachers who work at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on TJS, ERS, SCM and PBU which then were analyzed correlation and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job stress, emotion regulation styles and socio-cognitive mindfulness were related to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emotion regulation styl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were related to psychological burnout. Third, although there was no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o-cognitive mindfulness between job stress, 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 care teacher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o-cognitive mindfulness were found.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if child care teachers continue to train socio-cognitive mindfulness, they can adaptively solve the stress compare to the previous method of coping with the avoidant and distributed emotional regulation method when performing their duties as child care teacher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간의 부적정서경험과 사회인지 마음챙김의 영향

        김옥향(Kim Ok Hyang),구본용(Khu Bon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을 유발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부적정서경험과 사회인지 마음챙김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관계에 부적정서경험의 매개효과와 사회인지 마음챙김이 매개된 조절효과를 보일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는 경기지역 어린이집에 종사하고 있는 보육교사에게 2020년 5월 25일부터 6월 19일까지 설문을 시행하여 회수된 자료 426부에서 무응답 및 분석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된 26부를 제외한 400명의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Test로 검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간에 부적정서경험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적정서경험 간에 사회인지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사회인지 마음챙김이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부적정서경험으로 가는 직접 영향을 조절하여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심리적 소진을 감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힘을 길러주기 위해 필요한 부적정서경험과 사회인지 마음챙김의 기능을 확인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적정서경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인지 마음챙김의 적용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nursery teachers’ experiences of negative affectivity and socio-cognitive mindfulness effects the process of job stress causing their burn-out. In other words, we first assumed that the experiences of negative affectivity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ery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burn-out. We also supposed that the socio-cognitive mindfulness would give a mediated moderation effect upon the same relationship as well. The research which was targeting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s in Gyeonggi-do had been conducted from May 25, 2020 to June 19, and gained 426 responded sheets. After excluding the 26 cases which were non-responsive or unavailable for analysis, we verified 400 data by using SPSS program with various methods including descriptive analysis. Two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through the process. First, the experiences of negative affectivity of nursery teachers’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and it show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as well. Second, socio-cognitive mindfulness gives a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stress and experiencing the negative affectivity of nursery teachers. This means if one does good in socio-cognitive mindfulness, it will prevent oneself from psychological burn-out by lessening the influence of his/her stress from daycare job directly to cause experiences of negative affectivity. According to these results, socio-cognitive mindfulness is highly recommended, and it is necessary for nursery teachers for decreasing experience job stress, negative affectivity, and as a means of preventing the burn-out.

      • 87년도 在學生 實態調査

        李秀遠,具本勇 漢陽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88 大學生活硏究 Vol.5 No.-

        수 많은 大學生이 大學이라는 專門的인 高等敎育 機關에서 敎育을 받고 社會의 모든 分野에서 發展의 根幹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大學이 대학생들을 위한 全人的 敎育機關으로서의 그 機能을 다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들의 諸般特性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80년도의 大學人口의 급작스러운 팽창과 사회의 각 分野에서 급격한 변화와 혼란으로 더욱 증대되고 있다. 상기한 맥락에서 본 연구소에서 '87년도 본교 재학생 2, 3, 4,학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제반특성을 4개 領域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으며 각 領域과 각 領域에서 살펴 본 細部事項은 다음과 같다. 첫째, 在學生들의 家庭環境을 家庭의 社會·經濟的 地位와 家庭에 대한 學生들이 느끼는 心理的 特性을 살펴 보았다. 둘째로는 入學과 滿足에 대하여 入學動機와 在學中 經驗하게 되는 本校에 대한 評價의 知覺과 大學生活에 대한 滿足度를 물음하였다. 셋째로는 大學生活을 學業活動과 對人關係로 나누어 學業活動에서는 학습전략과 학습활동에 투자하는 노력 및 도서관 이용등에 따른 在學生들의 요구 및 敎授와 交友關係를 다양하게 물음하여 大學生活의 諸側面들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大學生들의 關心과 希望事項을 當面問題, 價値觀 및 卒業後計劃등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본 연구에 참여하여 分析된 在學生은 총 1,010명이었으며 피험자의 선정은 대학과 학과 및 학년을 고려하여 각 대학 학과 학년에서 무선적으로 標集하였다. 그러나 本 硏究가 設問紙를 통한 調査硏究로서의 制限點으로 인해 在學生들의 모든 특성을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없었다는 점도 있다. 이에 좀더 심층적 이해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