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수업의 관계에 대한 인식 연구

        구명성 ( Myung Song Ko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이 연구에서는 정서장애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과정과 수업의 구성 요인 간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국의 정서장애학교 교사 173명을 대상으로 교육과정과 수업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과 수업에 관하여 각 24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구성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교육과정에서 5개 문항과 수업에서 9개 문항이 삭제되어 모두 34개 문항으로 정제되었다. 이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수업의 관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정서장애학교 교사는 교육과정을 교육과정구성과 교육과정지원, 교육과정수정과 교육과정적용으로 구분하여 인식한다. 둘째, 정서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은 수업설계방법과 수업설계모듈, 수업실행방법과 수업실행과정으로 구성된다. 셋째,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수업은 상보적 관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관련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emotional disdoder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e 173 teachers working for students with emotional disorder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sign had 24 questions each with 5-Likert scale. After factor analysis, five items from the questionnaire about the instructional structure were nine items deleted. Therefore, thirty-four item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aysis. The result were follows: (a)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e curriculum as follows: structure, support,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Working experience the curriculum part. (b) The participants’ instructional structure was managed together with instructional method, instructional module, instructional performance method and instructional execution; years of working experience and methods of obtaining special education credential were important factors. (c )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structure were reciprocate. This study discussed structural differentiation about the curriculum and the instructional structure in the teachers working with students having emotional disorder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장애학생 인식에 대한 내적,외적요인의 관계 분석

        최성규 ( Sung Kyu Choi ),김정규 ( Jung Gyu Kim ),구명성 ( Myung Song Ko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1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장애학생 인식에 대한 내적ㆍ외적요인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5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설문문항은 내적요인 14문항과 외적요인 2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설문지는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삭제된 문항은 없었으며, 연구의 목적에 따라 t/F 검증, 상관관계, 그리고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초등학생의 장애학생 인식에 대한 내적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배경변인은 장애이해교육 경험유무와 거주지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장애학생 인식에 대한 외적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은 성별, 학년, 장애이해교육 경험, 그리고 거주지였다. 셋째, 초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은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교사의 장애학생에 대한 지도와 부탁 등은 초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데 가장 효율적인 요소임을 이 연구에서는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554 students who were in the 4th,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wo parts, 14 questions with internal factors and 35 questions with external factors for this stud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s were verified, and t/F 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variables to influence the elementary students`` internal factors were the experiences to participate understanding education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lace of residence; (b) Sex, grade, the experiences to participate understanding education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lace of residence were effective variables to positive perception related with external factors; and (c) the internal factor and external factor were interacted together to be influenced for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this study emphasized the teachers`` teaching behavio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which means the elementary students can keep positive perception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