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보과잉에 대한 인식이 개인 정서와신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구교태,최현주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16
미디어 확산이 인간의 정보처리 능력을 넘어설 정도의 정보과잉을 초래하고 있다는 주장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탐색적 차원에서 이러한 과잉 현상이 개인에 미치는 효과들을 경험적(empirical)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사람들의 정보과잉 인식이 사회인구학적 요인들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나이가 적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정보과잉에 대한 인식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보과잉이 개인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보과잉의 직접적인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정보과잉에 따른 정보부담감 변인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정보과잉으로 정보부담감을 많이 경험할수록 불안・초조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보과잉은 스트레스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불면증, 동통, 소화기장애, 심장혈관장애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커뮤니케이션 기술 발전으로 인한 정보과잉 현상이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며, 향후 정보화에 대한 면밀한 점검과 평가를 요구하고 있다. This exploratory study tried to examine the extent of information overload individuals might experience in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and the impact of information overload on their emotional and physical health.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 such as income, age, and education, and the degree of individual's information overload. This result addresses that the person having more frequent exposure to information could have more chance to carry greater information overload. Although information overload did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motional problem, individual difficulties caused by information overload had a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to understand individual's emotional condition.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information overload might cause personal physical problem such as insomnia, digestive problem, etc. stimulated by stress. The present research indicates that the information society could lead to unnecessary individual burden on emotional and physical health. Therefore, it seems to suggest that the adoption of new media be more cautious.
인터넷 정보 신뢰 인식과 온라인 토론 행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구교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3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information trust and online debate. The impact of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individual’s motivation on information trust and debating was also investigated. By analyzing 245 online surveyed data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rect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information trust and online debate but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mediated by the information sharing motivation. In addition,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impact of ‘age’ variable on online information trust and online debat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ge are positively related with information trust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online debating. The moderator effect of age on information trust and debating displayed that the information trust on online debating got significantly mediated by the information sharing motivation factor in the age 30s. 본 논문은 신뢰가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을 증대시켜 숙의 민주주의 발전의 중요한요인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인터넷 정보 신뢰가 인터넷 토론 참여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중개변인으로 정보공유와 표현 동기 요소가 설정되었고, 신뢰와 참여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의 영향도 연구되었다. 연구문제를 위해 245명의 온라인 설문 응답자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구조방정식과 회귀분석 등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정보 신뢰와 토론 참여와의 관계는 직접적 효과보다 동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토론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겠다는 참여자의 동기가 유의미한 매개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분석된 사회인구학적 변인 가운데 연령은 신뢰도 인식과 토론 참여 행위와 유의미한관계를 보여주었다. 연령이 높을수록 인터넷 정보에 대한 신뢰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령과 토론 참여와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 주었다. 즉, 젊을수록 인터넷 참여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보신뢰와 토론에 대한 연령의 조절효과에 의하면 조사된 연령 가운데 30대에서 정보 신뢰도에 대한 인식이 정보공유 동기를 거처 토론 참여 행위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은 토론에서 정보 신뢰에 대한 인식이 정보공유 동기를 자극하여 토론참여 행위로 이뤄지는데 이는 특정 연령과의 관계에서 분석될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웹사이트 캠페인이 기존 뉴스 미디어 의제와 공중 의제에 미치는 영향: 의제설정기능을 중심으로
구교태 한국언론학회 2002 韓國 言論學報 Vol.46 No.5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impact of website campaigning on the traditional news media agenda and the public opinion during the 2000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ing. This study used divers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Spearman's rho correlation, partial correlation, the Rozelle-Campbell baseline, path analysis, etc., to assess the hypothesis and questions. The study had several implications of political candidate websites on political dialogue. First, this study revealed the website campaigning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for an effective PR, since the campaign agenda of candidate websites became the subsequent agenda of the traditional news media. Second, as website agenda are actively involved in the traditional media agenda, the website agenda is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public agenda. As with the shaping of public opinion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period,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the website agenda had greater agenda-setting impact on the public than any other media examined in this study. Thus, another theoretical implication regarding agenda-setting function is that online users exposed to candidate websites are more likely to learn campaign agenda than traditional media users. In addition, the two path models indicated that candidate website agenda in the campaign initial phase had some significant direct agenda-setting impact on the public's agenda, and the agenda-setting impact persisted throughout the 2000 presidential campaign period. This finding might indicate that a political candidate who wants to run a website needs to focus on direct website strategies to reach online users, as well as provide news releases for the traditional news media. 본 논문은 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기간 중, 기존 뉴스 미디어 의제와 공중 의제에 관한 웹사이트 캠페인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국의 웹사이트 캠페인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사이버 공간을 통한 정치적 담론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앞으로의 인터넷 캠페인의 가능성과 전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터넷의 정치적 이용에 대해서, 연구자들은 온라인 네트워크들이 기존 뉴스미디어를 위한 주요 뉴스원이 될 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캠페인 정보획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지적해 왔다. 따라서, 미디어에 대한 내용분석과 여론조사 자료를 토대로, 어떻게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현상이 기존 미디어의 의제에 관여하고 또 공중은 어떻게 미디어의 의제에 반응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각 후보자의 웹사이트나 전체 웹사이트들은 기존 뉴스 미디어들의 캠페인 의제를 설정하는 데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특히, 각 후보자의 웹사이트 캠페인은, 기존 뉴스 미디어의 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효과적인 PR을 위한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공중에 대한 미디어의 의제설정기능 분석은, 분석된 웹사이트의 의제가 신문과 방송의 의제보다 공중의 의제설정에 더 많이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 웹사이트 캠페인은 정치 후보자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이슈를 효과적으로 언급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주고 있으며, 이러한 인터넷의 잠재력은 유권자들로 하여금 정치적 이슈들을 학습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공중에 대한 미디어의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은, 공중의 의제에 대한 후보자의 웹사이트 단지 직접적인 의제설정기능 효과만을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치 후보자는 기존 뉴스 미디어를 위한 주요한 뉴스 소스로서의 목표뿐만 아니라, 온라인 사용자를 위한 직접적인 웹 전략들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구교태 한국방언학회 2020 방언학 Vol.0 No.31
This paper’s purpose lies on to examine perceptions of dialect through a nationwide online survey. Demographic factors, the use of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 and standard language recognition were set as explanatory variables for the acceptance of standard language and the perception of dialect. First, the study shows that there is a pattern of recognition that current standard language definitions are inappropriate. People with a high degree of acceptance of the standard language had the characteristic of being a relatively old man who usually uses the standard language and recognizes that the standard language is essential in language life. Also,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dialect us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use of dialect and standard language, and being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age and recognition and acceptance level of standard language recognition. Furthermore, people who were willing to use dialect tended to think that the current definition of standard language was inappropriate. In order to promote the use of dialect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nd improve related factors. 본 논문은 전국적인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방언 사용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 표준어 및 방언 사용, 표준어 인식 등을 방언 사용에 대한 설명 변인으로 설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조사 참가자들은 현재 규정된 표준어 정의가 부적절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방언을 사용할 의향이 높은 사람들일수록 현재의 표준어 정의가 부적절하다고 인식하였다. 표준어 수용 정도가 높은 사람들은 평소 표준어를 많이 사용하고 표준어가 필수라고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나이 많은 남자라는 특성이 있었다. 또한, 방언 사용에 대한 인식은 방언과 표준어 이용과 정적(positive)으로 그리고 나이와 표준어 인식 및 수용과 부적(negative)으로 유의미하게 관계된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표준어와 방언 이용 정도는 방언 사용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상호 대조적인 개념이 아니라는 것도 간접적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