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치효능감 유형이 미디어 이용과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 대학생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구교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33

        본 논문은 기존의 내외적 정치효능감이 젊은 층의 정치 행위를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는주장을 수용하여 정치정 보효능감을 기존의 내외적 정치효능감과 비교분석하여 대학생들의 정치정보 이용과 투표행위를 설명하고자 하였 다. 대학생 252명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에 대한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활용하여 정치효능감 유형(정 치정보효능감, 외적정치효능감, 내적정치효능감)과 미디어(신문, 방송, 인터넷) 정치정보 이용량, 투표의사가 어떠 한 관계를 가지는지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정치정보효능감은 미디어를 통한 대학생들의 정치정보 이용을 설명하는유의미한 요인인 것으 로 밝혀졌다. 그러나 외적정치효능감은 인터넷 매체 이용만을 제한적으로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정보효능 감과 외적정치효능감은 투표의사에 대해서는 직접적인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치정보효능감은 인 터넷의 정치정보 이용을 매개하여 투표의사에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정치정보효능감이 젊은 층의 정치적 행위를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유용 한 개념임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정치정보효능감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 types of political efficacy(politicalinformation efficacy, external political efficacy, internal political efficacy) on mediabased political information seeking and voting intention. With the conceptof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for young potential voters’ political behavior,the researcher studied whether each type of political efficacy had a potential explanatorypower on college students’s political information seeking throughmedia. In addition, the current research tried to find out there was a significantdirect and indirect effect between political efficacy and voting intention. The research founding showed the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out of threepolitical efficacies had a strong significant impact in explaining the students’ politicalinformation seeking via internet, and a meaningful indirect effect on votingintention. The results revealed the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could be auseful predictor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young electorates’ politicalbehaviors. Additional, the study found that men tends to have higher politicalinformation efficacy that women does.

      • KCI등재

        미디어 이용이 사회적 불신과 정치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구교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5 No.-

        신뢰는 민주주의에 요구되는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증진시킬 수 있는 귀중한 사회자본(social capital)이다. 사람들이 사회에 대해 가지는 불신의 정도는 사회변동의 주요 주체인 정치영역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 사회를 불안하게 혹은 불확실하게 생각할수록 정치에 대한 불신은 증대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미디어의 부정적 뉴스 프레임 현상도 사회적 불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정치 신뢰에 영향을 주는 두 요인 즉, 미디어 이용과 사회적 불신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매체 유형별 사회적 불신 정도에 대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구조방정식 분석결과는 미디어 이용량과 사회적 불신에 대한 연구가설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불신에 대한 전통적 미디어인 신문과 방송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인터넷 이용은 사회적 불신과 유의미하게 관계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구조방정식을 통한 연구결과는 사회적 불신이 정치(정당, 국회, 정치인)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보여주었다. 미디어 이용은 사회적 불신을 매개하여 정치에 대한 신뢰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사회적 불신과 정치신뢰 사이에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존재하여, 사회적 불신이 높을 때 정치 신뢰를 획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민의 신뢰를 얻고자하는 정치 주체들은 자신이 부여받은 정치적 임무와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여 생활 속에서 국민들의 불안과 불확실성을 제거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Political trust is a valuable social capital which would promote participative democracy. Individual's evaluation of political sphere has been influenced by social distrust. A person who tends to think of society as distrust is more likely to have political distrust. In addition, the negative news frame of political events has been increased and this trend has had a negative impact on political trust. Thu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media use, social distrust, political trust, based on online survey.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internet and social distrust,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raditional media use and social distrust.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social distrust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Korean politics(political party, national assembly, politicia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dicated that media use influenced a person's perception of political trust through social distrust. This finding might imply that political subjects seeking people's trust have to make an effort to decrease people's social distrust.

      • KCI등재후보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nline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Online Communication Activities

        구교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20

        The Internet is emerging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dia to meet individual's need for communication activities such as internet chatting and group discussion. To understand online communication activities,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impact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extends the TAM model to include the notion of a personal trait, online communication apprehension. The study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howed the significant impact of online communication apprehension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AM understanding individual’s online communication activities such as chatting and group discussion. Thus, the current research insists that an individual's fear or anxiety associated with Netizen(s) in real or anticipated situation could be another significant factor to underst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cceptance.

      • KCI등재후보

        정보과잉에 대한 인식이 개인 정서와신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구교태,최현주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16

        미디어 확산이 인간의 정보처리 능력을 넘어설 정도의 정보과잉을 초래하고 있다는 주장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탐색적 차원에서 이러한 과잉 현상이 개인에 미치는 효과들을 경험적(empirical)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사람들의 정보과잉 인식이 사회인구학적 요인들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나이가 적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정보과잉에 대한 인식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보과잉이 개인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보과잉의 직접적인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정보과잉에 따른 정보부담감 변인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정보과잉으로 정보부담감을 많이 경험할수록 불안・초조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보과잉은 스트레스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불면증, 동통, 소화기장애, 심장혈관장애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커뮤니케이션 기술 발전으로 인한 정보과잉 현상이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며, 향후 정보화에 대한 면밀한 점검과 평가를 요구하고 있다. This exploratory study tried to examine the extent of information overload individuals might experience in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and the impact of information overload on their emotional and physical health.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 such as income, age, and education, and the degree of individual's information overload. This result addresses that the person having more frequent exposure to information could have more chance to carry greater information overload. Although information overload did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motional problem, individual difficulties caused by information overload had a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to understand individual's emotional condition.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information overload might cause personal physical problem such as insomnia, digestive problem, etc. stimulated by stress. The present research indicates that the information society could lead to unnecessary individual burden on emotional and physical health. Therefore, it seems to suggest that the adoption of new media be more cautious.

      • KCI등재

        정보과잉에 대한 인식이 개인 정서와신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구교태,최현주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16 No.-

        미디어 확산이 인간의 정보처리 능력을 넘어설 정도의 정보과잉을 초래하고 있다는 주장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탐색적 차원에서 이러한 과잉 현상이 개인에 미치는 효과들을 경험적(empirical)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사람들의 정보과잉 인식이 사회인구학적 요인들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나이가 적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정보과잉에 대한 인식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보과잉이 개인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보과잉의 직접적인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정보과잉에 따른 정보부담감 변인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정보과잉으로 정보부담감을 많이 경험할수록 불안・초조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보과잉은 스트레스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불면증, 동통, 소화기장애, 심장혈관장애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커뮤니케이션 기술 발전으로 인한 정보과잉 현상이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며, 향후 정보화에 대한 면밀한 점검과 평가를 요구하고 있다. This exploratory study tried to examine the extent of information overload individuals might experience in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and the impact of information overload on their emotional and physical health.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 such as income, age, and education, and the degree of individual's information overload. This result addresses that the person having more frequent exposure to information could have more chance to carry greater information overload. Although information overload did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motional problem, individual difficulties caused by information overload had a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to understand individual's emotional condition.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information overload might cause personal physical problem such as insomnia, digestive problem, etc. stimulated by stress. The present research indicates that the information society could lead to unnecessary individual burden on emotional and physical health. Therefore, it seems to suggest that the adoption of new media be more cautious.

      • KCI등재

        한국 언론의 여론조사보도에 대한 언론인 인식에 대한 연구

        구교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7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7 No.-

        본 논문은 여론조사보도에 대한 지역 언론인들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여론조사보도 취재 과정을 이해하고 여론조사 및 조사보도에 대해 언론인들이 인지하는 신뢰 정도, 조사보도와 관련된 공직선거법 규정에 대한 이해, 그리고 해석에서 지적되어 온 문제들에 대한 언론인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결과는 여론조사와 조사보도에 대한 언론인의 신뢰정도가 ‘보통’인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관련 변인들 사이의 관계분석을 통해 여론조사와 조사보도의 신뢰도, 여론조사보도에 대한 만족도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도 밝혀졌다. 심층 인터뷰 결과는 신뢰도 향상을 위해 올바른 여론조사기관선정이 중요하고, 보다 엄밀한 과학적 분석방법과 결과에 대한 언론인의 공정하고 객관적인 해석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공직선거법 규정에 대해 언론인들은 공표금지가 필요하다고 응답하는 경향이 필요 없다는 의견보다 높게 나타나, 국민 알권리 측면에서 학계에서 논의된 내용과는 다소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보도 제시기준 수에 대해 응답한 언론인들은 전체 8개 내용 가운데 평균 2.63개의 사항만을 파악하여 전달정보에 대한 지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론조사 해석의 문제로 표집오차에 대한 올바른 해석 정도와 무응답에 대한 이해 정도가 조사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유효응답자의 상당수가 표집오차를 고려하지 못한 해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 학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다수의 조사 언론인들은 무응답을 단순히 무관심으로 인해 답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피조사자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더욱 정교한 조사 설계가 요구되는 것으로 보인다. 조사결과 해석과 관련한 언론인 인터뷰 결과는 해석과정에서 개인적, 조직적 취사선택 과정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조사결과 보도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항목들은 배제되는 경우가 많아, 향후 언론인들은 보다 과학적인 보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nducted survey and depth interview of Korean journalists working to see how they report election poll and think of their performance doing poll reporting. The 74 journalists, who are working at Daegu,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journalists' reliability score on their poll reporting was 3.06 out of 5. There was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reliability of poll and poll reporting and the journalists' satisfaction level. The interview result also revealed that journalist would need more efforts to make the poll reporting to be fair and objective to the public. On the other hand, the journalists surveyed indicated a low level of knowledge reporting poll legally. Although the election law requires journalist to provide people with all information to understand poll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e journalists know only a few things. Therefore, this study addresses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journalist to do more precise and objective poll reporting.

      • KCI등재후보

        제17대 대선 후보자의 온라인 보도자료 특성과 언론의 선거보도에 대한 연구

        구교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12 No.-

        본 논문은 선거 캠페인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후보자의 웹사이트가 어떠한 메시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에 대한 언론 보도의 연관성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17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6명의 후보자 웹사이트 그리고 대표적인 언론매체로서 조선일보와 KBS의 선거보도를 살펴보았다. 후보자 공식 홈페이지에 게재된 보도자료의 메시지 주제는 이미지와 관련되어 있으며, 부정적인 메시지가 대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된 조선일보와 KBS의 선거보도 역시 부정적인 메시지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선거보도 주제는 캠페인 관련 이슈(탈법, 당내 경선, 후보자출마, 후보자 단일화)에 가장 많은 보도를 할애하여 이미지를 강조하는 후보자 온라인 보도자료와 대조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후보자 웹사이트가 홍보매체로서의 기능이 강조되는 반면, 언론매체는 뉴스가치를 극대화하려는 점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내 선거에서 온라인 보도자료를 통한 홍보활동이 미디어 의제를 형성하는데 있어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 of press release from the six presidential candidates’ websites and election news coverage of Chosun Ilbo and KBS in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Further, the message difference between the online campaign agenda and the media news coverage was studi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websites were more focused on image-oriented news than campaign issues related to illegal event and candidate unification, while the media election coverage was more associated with campaign issues than other types of message. This finding might imply that the candidates' websites function as PR channel and the mass media reporting election news seeks a negative news frame including conflict, crisis, threat, etc.

      • KCI등재

        웹사이트 캠페인이 기존 뉴스 미디어 의제와 공중 의제에 미치는 영향: 의제설정기능을 중심으로

        구교태 한국언론학회 2002 韓國 言論學報 Vol.46 No.5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impact of website campaigning on the traditional news media agenda and the public opinion during the 2000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ing. This study used divers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Spearman's rho correlation, partial correlation, the Rozelle-Campbell baseline, path analysis, etc., to assess the hypothesis and questions. The study had several implications of political candidate websites on political dialogue. First, this study revealed the website campaigning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for an effective PR, since the campaign agenda of candidate websites became the subsequent agenda of the traditional news media. Second, as website agenda are actively involved in the traditional media agenda, the website agenda is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public agenda. As with the shaping of public opinion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period,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the website agenda had greater agenda-setting impact on the public than any other media examined in this study. Thus, another theoretical implication regarding agenda-setting function is that online users exposed to candidate websites are more likely to learn campaign agenda than traditional media users. In addition, the two path models indicated that candidate website agenda in the campaign initial phase had some significant direct agenda-setting impact on the public's agenda, and the agenda-setting impact persisted throughout the 2000 presidential campaign period. This finding might indicate that a political candidate who wants to run a website needs to focus on direct website strategies to reach online users, as well as provide news releases for the traditional news media. 본 논문은 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기간 중, 기존 뉴스 미디어 의제와 공중 의제에 관한 웹사이트 캠페인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국의 웹사이트 캠페인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사이버 공간을 통한 정치적 담론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앞으로의 인터넷 캠페인의 가능성과 전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터넷의 정치적 이용에 대해서, 연구자들은 온라인 네트워크들이 기존 뉴스미디어를 위한 주요 뉴스원이 될 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캠페인 정보획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지적해 왔다. 따라서, 미디어에 대한 내용분석과 여론조사 자료를 토대로, 어떻게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현상이 기존 미디어의 의제에 관여하고 또 공중은 어떻게 미디어의 의제에 반응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각 후보자의 웹사이트나 전체 웹사이트들은 기존 뉴스 미디어들의 캠페인 의제를 설정하는 데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특히, 각 후보자의 웹사이트 캠페인은, 기존 뉴스 미디어의 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효과적인 PR을 위한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공중에 대한 미디어의 의제설정기능 분석은, 분석된 웹사이트의 의제가 신문과 방송의 의제보다 공중의 의제설정에 더 많이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 웹사이트 캠페인은 정치 후보자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이슈를 효과적으로 언급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주고 있으며, 이러한 인터넷의 잠재력은 유권자들로 하여금 정치적 이슈들을 학습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공중에 대한 미디어의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은, 공중의 의제에 대한 후보자의 웹사이트 단지 직접적인 의제설정기능 효과만을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치 후보자는 기존 뉴스 미디어를 위한 주요한 뉴스 소스로서의 목표뿐만 아니라, 온라인 사용자를 위한 직접적인 웹 전략들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정치효능감 유형이 미디어 이용과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학생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구교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

        This paper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 types of political efficacy(politicalinformation efficacy, external political efficacy, internal political efficacy) on mediabased political information seeking and voting intention. With the conceptof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for young potential voters’ political behavior,the researcher studied whether each type of political efficacy had a potential explanatorypower on college students’s political information seeking throughmedia. In addition, the current research tried to find out there was a significantdirect and indirect effect between political efficacy and voting intention. The research founding showed the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out of threepolitical efficacies had a strong significant impact in explaining the students’ politicalinformation seeking via internet, and a meaningful indirect effect on votingintention. The results revealed the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could be auseful predictor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young electorates’ politicalbehaviors. Additional, the study found that men tends to have higher politicalinformation efficacy that women does. 본 논문은 기존의 내외적 정치효능감이 젊은 층의 정치 행위를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는주장을 수용하여 정치정보효능감을 기존의 내외적 정치효능감과 비교분석하여 대학생들의 정치정보 이용과 투표행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252명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에 대한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활용하여 정치효능감 유형(정치정보효능감, 외적정치효능감, 내적정치효능감)과 미디어(신문, 방송, 인터넷) 정치정보 이용량, 투표의사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정치정보효능감은 미디어를 통한 대학생들의 정치정보 이용을 설명하는유의미한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외적정치효능감은 인터넷 매체 이용만을 제한적으로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정보효능감과 외적정치효능감은 투표의사에 대해서는 직접적인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치정보효능감은 인터넷의 정치정보 이용을 매개하여 투표의사에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정치정보효능감이 젊은 층의 정치적 행위를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개념임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정치정보효능감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