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화가 소득불평등도에 미친 효과: 세계전체 패널자료분석

        곽태운 국제지역학회 2014 국제지역연구 Vol.18 No.1

        This paper examines effects of globalization on income inequality. The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of foreign trade and FDI and income inequaity using worldwide panel data during the period between 1990 and 2012. Countries were divided into sub-groups by income levels: high- income and low-income countries, and by regions: East Asia, West Asia, Europe, Central and South America, and Middle East and Africa. The main empirical findings are; (1)the increase in trade increases income inequality implying that globalization through foreign trade aggravates the income distribution, especially for the low-income countries. (2)the increase in the inflow of FDI worsens income inequality for the high-income countries while it improves income distribution for the low-income countries. (3)effects of globalization on income inequality were mixed for the different regions: for some it was good for the income distribution and for others it was bad. 본 연구는 1990-2012년 기간 중 세계화가 소득분배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세계전체 panel 자료를 사용하여 국가 그룹을 소득수준에 따라 고소득국과 저소득국으로 나누고 또한 지역을 동남아, 서아시아, 유럽, 중남미, 중동.아프리카지역 등 5개지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세계화지표로는 GDP에 대한 무역비중과 FDI비중을 사용하였으며 소득불평도는 SWIID의 Gini계수를 사용하였다. 소득수준에 따라, 지역에 따라 세계화의 분배효과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무역의 증가는 세계전체적으로 소득분배의 악화를 가져오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러한 효과가 저소득국에 대해서는 분명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소득국의 경우는 무역의 증가가 소득분배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얻지 못하였다. 지역별로는 동남아시아, 중남미, 중동.아프리카지역 등의 경우 무역증가가 소득분배의 악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DI는 세계전체적으로 소득분배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국의 경우는 FDI가 소득분배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고소득국의 경우는 소득분배를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으로는 유럽, 중남미 등의 지역에서 FDI가 소득분배를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환율변동의 수입물가 전가효과 : 우리나라제조업의 4단위분류를 중심으로

        곽태운 한국국제통상학회 2004 국제통상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환율변동의 국내원화표시 수입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다음의 3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다. 첫째, 우리나라 제조업을 대상으로 환율이 변동할 경우 우리나라 수입품의 국내 원화표시 가격이 얼마나 변동하게 되는가를 산업별로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본 연구는 환율변동의 국내수입물가 전가도를 1980년대와 1990년대로 구분하여 시대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본 연구는 환율변동의 장단기 가격전가도를 추정하여 단기와 장기간에 환율변동의 가 격전가도의 유의한 차이점 여부를 규명하고자 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가격설정행태를 규명 하고자 한다. 즉 수입가격이 외화표시 즉 공급자통화가격표시(producer currency pricing: PLC)인지 아니면 원화표시 즉 수입자통화표시(local currency pricing: LCP)인지를 검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제조업의 환율변동에 대한 수입물가전가도는 전체적으로 단기의 경우 0.3299, 장기의 경우 이보다 약간 높은 0.3866으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비교적 낮은 수준의 전가도라 할 수 있다. 산업별로 보면 환율변동의 수입물가전가도의 크기는 장단기 모두 산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추정계수의 분포를 보면 단기의 경우 대부분 30-40%대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계수는 단기에 비해 약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변동의 수입물가전가도의 시대별추정은 매우 대조적인 양상을 보였다. 즉 80년대 복수통화바스켓시대의 경우에는 환율변동의 수입물가전가도의 추정치가 유의성을 보인 산업이 극히 저조했다. 반면 90년대에 들어와서는 환율변동의 수입물가전가도는 80년대에 비해 장 단기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LCP가설과 PCP가설에 대한 검정에 있어서는 두 가설 모두 대부분의 산업에서 기각 되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제조업의 경우 환율변동의 수입물가전가도는 부분전가 즉 불완전전가를 보인 산업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nvestigates exchange rate pass-through into import prices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using the quarterly data during the 1980:1-2001:1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 folds.. First, we estimate the elasticity of exchange rate pass-through(PT) into import prices at a 3-4digit manufacturing level of Bank of Korea's import price index series. Seco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f exchange rate PT over time, we perform the empirical estimates for three different sample periods: full sample period(1980:1-20011), two subsample periods(1980:1-19901, 1990:2-2001:1). Finally, we test producer currency pricing(PCP) vs. local currency pricing (LCP) hypothesis to provide evidence partial or complete exchange rate PT. Our theoretical framework follows extensively Dornbusch(1987), Yang(1997), and Campa and Goldberg(2002) who employ monopolistic firms exercising market power and adjusting mark-ups with highly differentiated products in international market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ⅰ) the estimates of exchange rate PT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is very low at 0.3299 for the short run and 0.3866 for the long run. (ⅱ) there is a considerable variation across subindustry. (ⅲ) exchabge rate PT has increased in 90s against 80s. (ⅳ) both cf PCP and LCP hypotheses were rejected in most 3-4digit industries supporting partial PT of exchange rate changes into import prices

      • KCI등재

        GPU 부하 상황에서 DNN 추론 시 은닉 계층별 수행시간 분석

        유용환,정혁진,문수묵 한국정보과학회 2020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6 No.10

        Deep neural networks (DNN) comprise multiple different layers. Recently, several studies have proposed dividing a large DNN into multiple partitions and parallelizing their computations. For efficient partitioning and execution of the network, we need to know the execution time of each DNN layer. Many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estimating this execution time with the amount of computation performed in the layer. Another critical factor of a DNN layer’s execution time is the availability of the computation resources. In particular, execution time has not been studied thoroughly under resource contention.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graphical processing unit (GPU), currently the most popular hardware component for accelerating the DNN computations. We change the concurrent workloads on a GPU to various levels and measure the execution time of several core DNN layers. Using a decision tree trained on these results, we analyze the effect of different factors on each layer’s execution time together, and their relative importance in deciding the execution time. Also, we compare two different regression models that can be used to predict the layer execution time based on this information. 딥러닝의 모델로 사용되는 심층 신경망(DNN)은 여러 계층(layer)으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연산의 병렬화를 위해 단일 모델을 더 작은 단위로 분할 처리하는 등의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전체 모델을 효과적으로 나누기 위해서는 추론 시 DNN의 각 계층의 계산에 걸리는 시간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각 계층에서 수행되는 연산량이나 자원의 가용성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작업 부하 상황에서 자원 경합에 의한 수행시간의 변화는 대부분 선행연구에서 깊이 있게 다뤄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딥러닝 연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그래픽 처리장치(GPU)의 가용성과 계층의 수행시간 간의 관계에 주목하여, GPU의 병렬 작업 부하 수준을 변화시키면서 각 layer의 수행시간을 측정한다. 측정된 수행시간으로 결정 트리 모델을 학습시켜, 각 계층의 수행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 그 중요도를 분석한다. 나아가,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계층별 수행시간 예측에 사용될 수 있는 두 가지 회귀 모델의 정확도를 비교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