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질환자에 대한 두부전산화 단층촬영과 뇌파소견의 비교

        곽태섭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4 신경정신의학 Vol.23 No.4

        1982년 3월부터 1983년 8월까지 인체의과대학 부속 부산백병원 신경정신과에 간질발작을 주소로 내원했던 7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산화 단층촬영과 뇌파검사를 시행하고 이들의 관련성에 대해서 비교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발병연령이 31세 이후인 경우가 CT이상소견 출현율이 62.5%로서 가장 높았고 11세∼20세의 경우가 24.0%로 가장 낮았으며 이들 간의 CT이상소견 출현율이 유의한 차가 있었다(p<0.05). 2) 원인의 추정이 가능한 증례들에서 원인이 불명확한 증례들보다 CT이상소견 출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3) 주 1회이상의 발작빈도를 가진 증례들에서 주 1회이하의 발작빈도를 가진 증례들보다 유의하게 많은 CT이상소견을 볼 수 있었다(p<0.05). 4) 73례의 간질환자들에서 CT이상소견 출현율은 34.7%였다. 부분성 간질이 일차적 전반성 간질보다 CT이상소견 출현율이 높았고(39.1%:2.79%), 이차적 전반성 간질(3례 모두 Lennox증후군)은 모두 CT이상소견을 볼 수 있었다. 이차적 전반성 간질이 일차적 전반성 간질, 그리고 부분성 간질보다 CT이상 소견 출현율이 유의하게 큰 것을 인정할 수 있었다(p<0.05). 5) 발작형별 CT소견에서는 Lennox증후군 모두에서 CT이상소견을 보여주고 부분성 운동발작의 55.6%, 정신운동성 발작의 34.6%, 전반성 강직 간대성 발작의 32.4%에서 CT이상소견이 나타났다. 소발작과 간대성 근경련 발작은 모두 CT소견이 정상이었다. 6) CT이상소견을 보여줄 증례들의 뇌파소견은 돌발성 율동이상보다는 기초율동이상이 유의하게 많았다(p<0.05). 7) 뇌파이상과 CT이상소견상 국소적병변부위가 일치한 경우는 7례로서 이는 국소성 이상뇌파소견을 보인 23례의 30.4%에 해당되었다. Brain CT and EEG studies were done on 73 epileptic patient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T and EEG findings in th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abnormal CT findings was highest in the group of onset over 31 years of age(62.5%), lowest in the group of onset between 11 years and 20 years of age (24.0%) and these two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abnormal CT finding (p<0.05). 2) The frequency of abnormal CT findings in the cases with presumable etiology was significanty higher than that in the cases with unknown etiology (p<0.05). 3) The group with epiletic attack more than once a week showed higher frequency of abnormal CT findings than the group with epileptic attack less than once a week (p<0.05). 4) 25 cases showed abnormal CT findings (34.7%). Partial epilepsies showed higher frequency of abnormal CT findings than primary generalized epilepsies (p>0.1). Secondary generalized epilepsies showed higher frequency of abnormal CT findings than primary generalized epilepsies and than partial epilepsies (p<0.05, p<0.05). 5) All of Lennox syndrome, 55.6% of partial motor epilepsies, 36.4% of psychomotor epilepsies and 32.4% of generalized tonic clonic epilepsies showed abnormal CT findings. All of pure petit mal and myoclonic epilepsies had normal CT findings. 6) In the group with abnormal CT findings, basic abnormal rhythms were more frequent than paroxysmal abnormal rhythms on EEG study (p<0.05). 7) Seven cases showed same localization on both CT and EEG studies and these seven cases occupied 30.4% of the cases with partially abnormal EEG findings.

      • KCI등재

        Klein-Levin Syndrome 1례의 Lithium carbonate 치료경험

        곽태섭,김영훈,엄용섭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5 신경정신의학 Vol.24 No.1

        The Klein-Levin syndrome, first named by Cuitchley and Hoffman, consists of periodic hypersomnia, morbid hunger and unusual mental symptoms. Recently the authors treated a 16-year-old male patient who had suffered from 10 to 15day periods of hypersomnia and intermittent episodic pathological hunger. Therapeutic trials on Carbamazepine and Methylphenidate were unsuccessful. Next we treated him with a daily dose of 900㎎ Lithium carbonate for 5 months. Soon after treatment was discontinued against medical advise, one short period of somnolence reappeared. But reinstitution of Lithium carbonate prevented him from more somnolence for next 8 months. Lithium carbonate seemed to suppress the reemergence of somnolence sufficiently in this case, therefore we report this therapeutic experience with a case of Klein-Levin syndr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