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북부 방언의 어제와 오늘

        곽충구 한국방언학회 2019 방언학 Vol.0 No.30

        <남북 지역어 조사>의 북측 보고서 자료를 중심으로 북부 방언의 현재의 모습을 조감하고 또 이를 통해 북부 방언의 변화와 그 요인을 말하였다. 그리고 향후의 조사 및 연구 과제를 언급하였다. 음운 면에서는 체계의 변화가 현저하다. 모음체계에서는 후설모음의 변화가, 자음체계에서는 ‘ㅈ’의 조음위치 변화(=재음운화)가 두드러진다. 음변화에는 문화어 규범과 같은 언어 외적 요인도 작용하였다. 문법 면에서는, 격조사와 종결어미의 변화 및 문법화를 보이고 조사와 어미 그리고 비자동적 교체 어간들이 문화어 규범의 영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말하였다. 어휘에서는 고어가 많이 잔존해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또 북부 지역의 역사, 사회, 문화, 자연지리 등이 반영된 계열어휘, 차용어, 지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말하였다. 그리고 북부 방언 자료, 북의 구술발화 자료, 북의 문학 작품을 통해서 볼 때, 다수의 북부 방언이 문화어에 편입되었고 또 이러한 문화어와 북부 방언을 바탕으로 북한어가 계속 생성되고 있음을 보았다. 이러한 상황이 고립과 단절 속에서 지속되면 민족어의 이질화는 심화될 것이다. Focusing on the North Korean reports of the North and South Koreans surveys for the preservation of national language, we described the current state of the dialects of northern Korea, and supplemented previous studies and described the factors of change and research tasks. There is a marked change in the phonological system, the back vowels merging(/ㅡɯ/ and /ㅜu/>/ㅜu/, /ㅓə/ and /ㅗo/>/ㅗɔ/ in the Pyeongan-dialect vowel system, and rephonemicization of 'ㅈ'(palatal>alveolar in Hamgyeong-dialect) in the consonant system.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rules of North Korean culture were also involved in phonetic changes. In terms of grammar, it was said that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grammaticalization of grammar forms, and that case marker, ending and non-automatic alternation stems are gradually chang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 rules of North Korean culture. we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cabulary, borrowed words, geographical names, etc. reflecting the history, culture, and natural geography of the northern region, and said that research is needed. In addition, through data and oral narratives of the northern dialects and literary works of North Korea, the northern dialects have been made into a number of North Korean culture, and new North Korean words ​​are being created continuously based on North Korean culture and northern dialects. If this situation continues in isolation, the heterogeneity of the national language will deepen.

      • KCI등재후보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그 변화의 방향

        곽충구 국어학회 2003 국어학 Vol.41 No.-

        현대국어의 모음체계는 구조적 불균형을 해소하면서 무표적 모음으로 구성된 단순한 체계로 변화하고 있는데 음소의 변이음역, 유표성, 합류 등을 통하여 변화의 역동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그런데 체계의 변화 방향은 남과 북이 다르다. 북한 방언은 /ㅗ/의 저설화로 변화가 촉발되어 /ㅡ/와 /ㅜ/, /ㅓ/와 /ㅗ/가 합류한 前後 대립의 3∥3 체계를 지향하고 있으며 서북방언이 그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반면, 남한 방언은 전설모음에서 시작된 원순모음의 비원순화 및 高低 대립의 상실이 점차 확대되어 동남방언의 2∥2-2 체계를 지향하고 있다. 한편, /ㅟ/, /ㅚ/의 단모음화는 체계의 구조적 압력에 기인한 것인데, 그 과정은 uy>wi>u¨>i, oy>we>o¨>e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는 혀나 입술의 움직임을 줄여 조음상의 노력을 덜고자 하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The vowel system of Korean is undergoing rapid change. It was caused by structural factors, disappearing of opposition, merging or shift of phonemes, by monophthongization of diphthongs. In each dialect, each change of system has a certain directionality based on some common factors, however, the points of change are definitely different in South and North Korean. In North Korean, the vowel system of the Northwest dialect has changed to a front∥back opposing 3∥3 system, and the Northeast dialect(including Yukcin dialect) has changed in the same direction. This change was caused by the dephonologization of '??'(/??/), after this the vowel system changed to 3∥3-2 system, the hole in the low back position induced the lowering of /ㅗ/(/o/), in turn /ㅓ/(/∂/) filled up the hole due to the lowering of /ㅗ/(/o/) by the rearward movement of /ㅓ/(/∂/).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n has changed to an asymmetrical 7 vowel system consisting of 2∥3-2 from a symmetrical 10 vowel system consisting of 3-2∥3-2, though the process of change is somewhat different in each dialect. The 2∥2-2 system of the Southeast dialect is the result of the dissolution of its 2∥3-2 "system unbalance". Monopthongization of *uy, *oy is achieved through "uy>wi>u¨(>i)", "oy>we>o¨(>e)".

      • KCI등재

        육진방언의 종결어미와 청자높임법(2) -중국 조선족자치주 육진방언의 청유법과 명령법-

        곽충구 한국방언학회 2017 방언학 Vol.0 No.26

        This paper aims to describe sentence final endings and the addressee-honorific expression of the imperative and propositive of Yukjin dialect. I classified them into the four speech levels as 'haapso(하압소)', 'hao(하오)', 'haera(해라)' and 'panmal(반말)'. There are '-kipso(-깁소)', '-kepso(-겝소)', '-kipsyə(-깁셔)', '-kepsyə(-겝셔)', '-kipsyo(-깁쇼)', '-kepsyo(-겝쇼)' in the propositive of haapso style. The '-kipso(-깁소)', '-kepso(-겝소)' synchronically are analyzed to combination of adverbial ending '-ki(-기)', -ke(-게)' and the imperative '-ɨpso'(-읍소), '-ɨpsyə'(-읍셔-). This suggests that the propositive endings of the haapso style developed from the causative imperative. From a diachronic point of view, we can assume that it was grammaticalized from '-kɨy hɐpso(-긔 소)'. The '-kipsyo', '-kepsyo' and '-kipsyə', '-kepsyə' are used in expressions more polite than '-kipso', '-kepso'. Meanwhile, because subject honorific prefinal-ending '-si-' has been used extensively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tandard language, various haapso style endings have appeared newly. So '-kisio', '-kisyo' which '-si-' is inserted, are used firmly in the younger generation. And there are '-ɨpsesa(-읍세사)', '-ɨpsyə/-sɨpsyə(-읍셔/-습셔)', ‘-ɨpso(-읍소)/-sɨpso(-습소)', '-ɨpkwani(-읍꽈니)/-sɨpkwani(-습꽈니)', '-(ɨ)syo(-(으)쇼'(haapso style) and '-o(-오)/-so(-소)', '-ɨpkwe(-읍궤/-sɨpkwe(-습궤)'(hao style) in the imperative endings. The ending ‘-ɨpsesa’ is used in the optative sentence and '-ɨpsyə/-sɨpsyə' are used in expression more polite than '-ɨpso/-sɨpso'. And the imperative endings are gradually leveling as '-ɨpso-', '-ɨpkwe' etc. The ending ‘-(ɨ)syo’ that '-si-' was inserted, is used in the younger generation as like '-kisyo' of the propositive. Among '-ɨpkwe(-읍궤)/-sɨpkwe(-습궤)', '-o(-오)/-so(-소)' of the hao style endings, the later is more formal than the formmer. And there are ‘-nara(-나라)~-na(-나), -kara(-가라)~-kəra(-거라), -ara(-아라/-əra(-어라)’ in the haera style. The '-(ɨ)rani((-으)라니’ is used in panmal style. Finally, the mood tend to realize depending on intonation in the non-elder generation, and such a tendency is strongly and steadily expanding. 청유법의 하압소체 어미로는 ‘-깁소, -겝소’, ‘-깁셔, -겝셔’(또는 ‘-깁쇼, -겝쇼’)가 있다. 이 방언의 부사형 어미는 ‘-긔’로부터 ‘-기’, ‘-게’로 변화하였다는 점과 위 어미의 첫음절이 하강조로 실현된다는 점에 근거하여 ‘-깁소, -겝소’를 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면, ‘-기’, ‘-게’와 명령법의 하압소체 어미 ‘-읍소’의 결합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청유법의 하압소체 어미들이 본디 간접 사동 명령의 구성 형식으로부터 문법화한 것임을 시사한다. 즉, 통시적으로 ‘-긔 소’가 문법화한 것이다. 그리고 ‘-깁셔, -겝셔’(또는 ‘-깁쇼, -겝쇼’)는 ‘-긔 시오’가 문법화한 것이다. 때문에 ‘-깁셔, -겝셔’는 ‘-깁소, -겝소’보다 더 공손한 표현에 쓰인다. ‘-깁셔, -겝셔’와 명령법 어미 ‘-읍셔/-습셔’의 ‘셔’는 ‘쇼’의 변이로 보인다. 또 청자존대(화자겸양)의 ‘-읍/-습’에 위축되어 종전에 잘 쓰이지 않던 ‘-(으)시-’가 표준어의 영향으로 활발하게 쓰이면서 다양한 어미들이 출현하였다. 그 중에서 ‘-기시오’, ‘-기쇼’가 비노년층의 청유법 어미로 자리를 잡았다. 명령법의 하압소체 어미로는 ‘-읍세사’, ‘-읍셔/-습셔’, ‘-읍쇼/-습쇼’, ‘-읍소/-습소’, ‘-읍꽈니/-습꽈니’, ‘-(으)쇼’ 등이 있다. ‘-읍세사’는 기원문에 쓰인다. ‘-읍소/-습소’를 기준으로 할 때 ‘-읍셔/-습셔’(또는 ‘-읍쇼/-습쇼’)는 그보다 더 공손한 표현에, ‘-읍꽈니/-습꽈니’는 그보다 덜 공손한 표현에 쓰인다. 그리고 ‘-읍소/-습소’에 ‘-읍시-’와 ‘-옵시-’가 결합된 ‘-읍십소’, ‘-옵십소’는 한층 더 공손한 표현을 나타낸다. 한편, ‘-읍소/-습소’, ‘-읍궤/-습궤’는 각각 ‘-읍소’, ‘-읍궤’로 점차 단일화(paradigmatic leveling)가 진행되고 있는데 비노년층에서는 그 단일화 경향이 현저하다. ‘-(으)쇼’는 청유법의 ‘-기쇼’처럼 젊은이들의 명령법 어미로 자리를 굳혔는데 이 역시 ‘-(으)시-’가 삽입되어 생성된 어미이다. 하오체의 어미로는 ‘-읍궤/-습궤’, ‘-오/-소’ 등이 있는데 후자는 좀 더 격식적인 발화에서 쓰인다. 해라체 어미로는 ‘-나라~-나, -가라~-거라, -아라/-어라’가 있으며 ‘-(으)라니’ 따위는 반말체 어미로 쓰인다. 한편, 도시 지역의 비노년층에서는 억양에 의하여 서법을 실현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 KCI등재

        육진방언의 음성과 음운사

        곽충구 한국방언학회 2012 방언학 Vol.0 No.16

        This thesis aims to study historical phonology of Korean in relation to the phonetics of Yuk-cin Dialect. In some points of view, Yuk-cin Dialect is more archaic than the Late Middle Korean. So that I discussed the actuation and process of several historical phonology of Korean in relation to phonetic variations. The variants [β], [z], [h] or Ø of intervocalic ‘-p-’, ‘-s-’, ‘-k-’ are considered as to show the first stage developing toward /β/, /z/, /h/ or Ø. And I discussed the /ts/ and its variant [ʧ] before /i/, /y/ show the most archaic shape in all of Korean dialects, and described the dialect differentiation by phonetic realization of /ts/. Finally, the syllable final liquid [r] in Yuk-cin Dialect is also archaic, and said that it occasionally realize as [l] at the syllable final position is the process of the unreleased. It means just that implosive at the syllable final in Korean get accomplished. Meanwhile, there are three vowels [ï] appeared by gradual change as ɨy>ï>i, [ö] by umlaut, [ü] by monophthongization. But they are not phonenemes yet. And I asserted that the on-glide diphthong change as like “tyək->tyek-”(write), monophthongization of off-glide diphthong, umlaut were built up by a principle as vowel fronting. 이 글은 국어음운사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방언의 음성에 대한 정밀한 관찰이 필요하며 또 방언 자료는 문헌자료에서 볼 수 없는 역동적인 변이와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육진방언의 몇몇 음성 특징을 중심으로 그와 관련되는 음운사의 현안들을 검토하였다. 육진방언권은 잔재지역으로서 그 음운 특징이 매우 보수적이어서 이른바 어중자음 ‘ㅂ’, ‘ㅅ’, ‘ㄱ’의 경우는 이제 그 변화의 초기 단계에 접어들어 변화가 점진적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여 준다. 한편, 이 방언의 /ㅈ/의 음성 실현은 국어 방언 중 가장 고어적이다. 이를 바탕으로 각 지역 방언의 /ㅈ/가 통시적으로 겪은 변화를 ㄷ구개음화와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그리고 /ㄹ/가 음절 말 위치에서 [ɾ] 또는 [l]로 실현되는 것은 미파화 과정을 보여 주는 것이며 이를 끝으로 국어 음절 말 미파화가 종결되었다는 사실을 언급하였다. 한편, 모음에서는 점진적 변화를 보여 주는 [ï]에 대하여 언급하고, 움라우트와 단모음화에 의하여 출현한 [ö], [ü]는 음소로서의 지위를 갖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뎍다>뎩다[記]’ 따위와 같은 상승이중모음의 변화는 전설모음의 형성이나 움라우트와 함께 ‘후설모음의 전설화’라는 기제에 의한 것임을 말하였다.

      • KCI등재

        구개음화 규칙의 전파와 어휘 확산 - 조선족 육진방언의 경우

        곽충구 국어학회 2011 국어학 Vol.61 No.-

        接觸에 의하여 음운규칙이 인접 지역으로 擴散되는 과정과 또 그 규칙이 개별 어휘에 점진적으로 적용되어 변화가 수행되는 과정을 육진방언의 구개음화를 통해 미시적으로 관찰하고 기술하였다. 먼저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언어태도 등 사회적 요인을 언급하였다. 노년 층 화자들은 주로 교육을 통해 공적 통용어로서 권위를 가진 조선족 표준어를 차용하였다. 화자의 언어태도 및 표준어와의 접촉은 구개음화 규칙을 촉발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구술 발화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고유어는 개신율이 10% 내외로 낮지만 한자어는 50%가 넘어 대조적이다. 개신을 입은 한자어 중 일부는 차용어다. 제보자 중 이질 방언 화자 집단에서 사는 제보자는 개신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개신형을 쓰는 인접 방언 화자와의 接觸도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규칙이 형성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접촉에 의하여 차용된 개신형은 어휘부 내에서 비개신형과 공존하는데, 화자는 두 어형을 발화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또 대조하는 과정을 거쳐 점차 대응 규칙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體系的 對應을 거쳐 개신형을 생산할 수 있는 規則으로 발전한다. 개별 어휘의 대응에서 시작되어 체계적 대응에 이르는 과정은 곧 구개음화 환경을 지닌 어휘들의 구조기술상의 특징과 그에 대응하는 개신형(차용, 유추 등에 의한)을 바탕으로 一般化를 꾀하는 과정이다. 규칙에 의하여 개신형이 생산되면 이 개신형은 변이형의 형태로 보수형과 함께 어휘부 내에 공존하다가 결국 개신형만이 남게 된다. 한편, 어휘 확산과 어휘 사용 빈도는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 초기 구개음화 단계에서는 출현 빈도가 높은 어휘일수록 개신이 빠르다. 그리고 규칙 적용은 어휘형태소 내부에서 시작되어 점차 문법형태소로 확대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