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 연구

        곽종국,김학수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2 기업경영리뷰 Vol.13 No.4

        In recent years, regular restructuring, ability and performance-based personnel systems, and individualistic culture are spreading in companies. Accordingly, the loyalty of organizational members is decreasing and acting as an obstacle to organizational developme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organization is in a situation that the identity of the organization members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organization are emphasized again. If so,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factors that improv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we paid attention to the leadership of our bosses related to ethics in that ESG is in the spotlight as a corporate effort for sustainable growth. In addition, in order to find the answer to whether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ill be effective, we paid attention to individual-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at can confirm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in that organizational identity is in the spotlight as a cognitive process factor that conn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ty i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individual-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667 organizational member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thical leader- 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individual-oriented organi- 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ethical leadership not only directly affects individual-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ut also indirectly affects individual- oriented(organiz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ethic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n individual-oriented or- 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presented. 최근 기업에서는 상시 구조조정, 능력 및 성과주의 인사제도, 개인주의 문화 등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조직구성원의 충성심은 낮아지고 있으면서 조직 발전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조직은 조직구성원의 정체성과 조직 정체성의 동일시를 다시금 강조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그렇다면 조직동일시를 향상시키는 요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업의 노력으로서 ESG가 각광을 받고 있다는 측면에서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에 관심을 두었다. 또한 조직동일시가 과연 효과가 있을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조직의 효과성,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는 개인지향적 조직시민행동, 조직지향적 조직시민행동에 관심을 두었다. 그리고 조직동일시가 인지적 평가 개념을 포함한 프로세스 요인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는 측면에서 윤리적리더십과 개인지향적 조직시민행동, 조직지향적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한다. 조직구성원 667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동일시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동일시는 개인지향적 조직시민행동, 조직지향적 조직시민행동에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윤리적 리더십과 개인지향적 조직시민행동, 조직지향적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동일시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윤리적 리더십은 개인지향적 조직시민행동, 조직지향적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윤리적 리더십은조직동일시를 거쳐 개인지향적 조직시민행동, 조직지향적 조직시민행동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윤리적 리더십, 조직동일시가 개인지향적 조직시민행동, 조직지향적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의 조직신뢰, 상사신뢰에 대한 차별적 영향력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곽종국(Jong Kuk Kwak),김학수(Hack Soo Kim)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2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9 No.2

        기업의 윤리적 이슈는 사회 전체구성원들에게 주목을 받고 있으며 기업의 흥망성쇠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이제는 단순한 선언적 명제로서 윤리경영을 외치던 시대에서 벗어나 윤리경영이 실제적으로 지속적인 경쟁우위의 원천인 시대가 되고 있다. 따라서 윤리경영은 조직구성원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며 기업 및 상사의 비윤리적·비도덕적 행위에 의하여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그리고 기업에서의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의 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어 신뢰가 중요한 매개역할을 수행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역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본 연구는 대상에 따른 신뢰 유형인 조직신뢰, 상사신뢰로 구분하여 매개역할을 살펴보면서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신뢰, 상사신뢰에 차별적 영향력이 있다고 보았다. 사회 교환 이론을 토대로 윤리경영 실행은 조직에서 실행하여 조직과 조직구성원 간의 상호 호혜적 교환관계를 형성하고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상사가 실행하여 상사와 부하직원 간의 상호 호혜적 교환관계를 형성하므로 윤리경영 실행은 조직신뢰에 더 많은 영향을 주고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상사신뢰에 더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실증 분석하기 위하여 550명의 조직구성원에게서 수집된 자료로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직신뢰,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서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신뢰, 상사신뢰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윤리경영 실행은 조직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상사신뢰에 유의하지 않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신뢰, 상사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결과를 보면 윤리경영 실행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직신뢰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으나 상사신뢰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직신뢰, 상사신뢰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적 영향력의 결과를 보면 윤리경영 실행은 상사신뢰보다 조직신뢰에 더 많은 정적인 영향을 주고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신뢰보다 상사신뢰에 더 많은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 조직신뢰, 상사신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경영학적인 의미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recent years, corporate ethical issues are attracting attention from all members of society and can be seen as having a impact on the rise and fall of companies. Now, the argument that business ethics regards as a source of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is becoming a practical task, not just a declarative proposition. Therefore, business ethics has a influence on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hich affects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corporate ethical issue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rust plays an important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supervisor ethical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classifies the types of trust according to the target, such as organizational trust, supervisor trust, and examines that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supervisor ethical leadership may have different effects on organizational trust, supervisor trust. Based on the social exchange theory,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can have a relatively higher impact on organizational trust than supervisor trust, and supervisor ethical leadership can have a relatively higher impact on supervisor trust than organizational trust. The data collected from 550 organizational members empirical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supervisor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supervisor ethical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and empirical analyzed differential effect of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supervisor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trust, supervisor trus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but not significant effect on supervisor trus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upervisor ethical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supervisor trust. And, the results of the mediating effect,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trust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and turnover intention, but not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organizational trust, supervisor trust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ethical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differential effect showed that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trust than supervisor trust, and the supervisor ethical leadership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supervisor trust than organizational trus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management implications of business ethics implementation, supervisor ethical leadership, organizational trust and supervisor trust on turnover intention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