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춘천 지역 중년 및 노인에서의 혈청 감마지티피와 공복혈당장애의 유병률과의 상관관계: 한림노년연구

        임정수,최영호,문유선,최문기,홍경순,김동현,정진영,장숙랑,곽은신,김정훈 대한가정의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 No.1

        Background: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GGT) was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various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individual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We performed a cross-sectional study to elucidate the relations between GGT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IFG).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cluded 693 adults (males 272, females 421) aged 45 years or over who have lived in Chuncheon, a suburban small-sized city. IFG was defined as elevated fasting plasma glucose (FPG) concentration of ≥ 100 and < 126 mg/dl. Results: The risk of IFG appear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levels of serum GGT even after adjusting for other covariates, such as body mass index and inflammatory markers among men only: adjusted odds ratios of IFG across GGT categories (< 25th, < 50th, < 75th and ≥ 75th) were 1.0, 0.56, 1.57, and 2.79, respectively (P-value for trend 0.022). In wome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risk of IFG and GG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levated level of GGT within the normal range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impaired fasting glucose in middle-aged or older men but not in women. 연구배경: 최근 감마지티피(GGT)는 제 2형 당뇨병, 많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 요인, 대사증후군의 요소들과 연관이 있다고 밝혀졌다. 공복혈당장애(IFG)는 당뇨병의 전기로서 심혈관 질환의 위험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GGT와 IFG의 유병률의 관련성을 단면조사 연구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춘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45세 이상 주민 중 무작위로 선정된 지역에서 계통 추출된 1514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상자 중 검사에 응한 918명 중 당뇨로 진단된 기왕력 및 GGT, 공복혈당의 결측치, 간의 기존손상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사람, 측정된 공복혈당이 당뇨의 진단기준 해당되는 경우를 제외한 최종 693명(남자 272명, 여자 421명)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GGT는 값에 따라 4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군별 IFG 유병률의 대응 위험도는 로짓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남자에서만 GGT에 따른 IFG 유병률의 대응 위험도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모든 변수를 보정한 후, GGT 참고군(0-16 IU/L)에 비해 2, 3, 4군의 IFG 유병률의 대응 위험도는 0.56, 1.57, 2.79이었다(P-value for trend 0.022). 여자에서는 GGT에 따른 IFG 유병률의 대응 위험도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중년 이상 남자에서 GGT는 공복혈당장애와 독립적인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