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축가 연합디자인에 나타난 파사드 포셰 연구

        곽용성(Kwak, Yong-Seong),조수진(Cho, Soo-Jin),송하엽(Song, Ha-Yub) 대한건축학회 201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9 No.7

        This research is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In-between space in Architects" collective design since 1990s. Three examples such as Bundang Exhibition House, Paju bookcity, and Heiry Art Valley, will be analyze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design guidelines and the site survey of built environments. In doing so, an architectural design element named as "facade-poche" will be introduced. A facade-poche designated the surface and space around the building facade. It would be overhead weather protection in general. Three examples of collective design will be analyzed with the element of facade-poche. Together, design guidelines of each design will be scrutinized in order to propose and alternative guideline and the form of facade-poche.

      • KCI등재

        바다숲 조성 해조류의 생물량과 서식지적합지수 비교

        황성일,신봉균,곽용성,최한길,Hwang, Sung Il,Shin, Bong Kyun,Kwak, Yong Sung,Choi, Han Gil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1

        남해안의 바다숲을 구성하는 종을 확인하고 바다숲 조성에 적합한 종을 파악하기 위하여 남해안 12개 정점에서 계절별로 4개 수심에서 2018년~2019년에 걸쳐서 해조류의 생물량을 조사하였다. 해조류 생물량을 근거로 켈프종 3종과 모자반류 3종에 대해서 서식지적합지수를 계산하여 생물량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바다숲을 구성하는 종은 켈프종 4종과 모자반류 12종으로 총 16종이 관찰되었다. 정점별로 해조류의 평균 생물량(계절별, 수심별 포함)은 남해 동부에서 843.73~2,925.85 g wet wt. m<sup>-2</sup>였고 남해 서부에서 343.87~4,580.10 g wet wt. m<sup>-2</sup>였다. 모든 정점에서 생물량 기준으로 볼 때, 켈프종에서는 감태가 가장 우점하였고 다음으로 곰피였으며, 모자반류에서는 큰열매모자반이 1위였고 괭생이모자반이 2위로 나타났다. 서식지지수는 곰피가 8개 정점에서 0.76~1.00이었으며, 감태는 4개 정점에서 0.58~0.92의 범위를 보임으로써 곰피가 감태에 비해 적합한 종으로 나타났다. 모자반류의 서식지적합지수는 괭생이모자반이 12개 모든 정점에서 0.84~1.00의 값을, 그리고 큰열매모자반이 0.68~0.99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바다숲 조성에 적합한 켈프종과 모자반종은 생물량과 서식지적합지수와 약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생물량으로는 감태와 큰열매모자반이, 서식지적합지수로 보면, 곰피와 괭생이모자반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바다숲 조성을 위한 적합종의 선택을 위해서는 해조류의 생물량과 서식지적합지수를 모두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서식지적합지수 계산을 위해서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seasonal and vertical biomass of marine forest seaweeds were examined to select a suitable species at 12 sites of the South Sea in Korea between 2018 and 2019.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was also calculated in terms of biomass for six species (three kelp and three Sargassum species). A total of 16 marine forest-forming species including four kelp and 12 Sargassum species were observed at the 12 sites. The average annual seaweed biomass by season and depth ranged from 843.73-2,925.85 g wet wt. m<sup>-2</sup> at the eastern South Sea and from 343.87-4,580.10 g wet wt. m<sup>-2</sup> at the western South Sea. In the kelp species, the Ecklonia cava biomass was predominant, followed by E. stolonifera. The macroalgal species with the greatest biomass was Sargassum macrocarpum, followed by S. horneri. The HSI values of E. stolonifera were between 0.76-1.0 at eight sites and those of E. cava were 0.58-0.92 at four sites, indicating that E. stolonifera was more suitable than E. cava. In the HSI values of the Sargassum species, S. horneri ranged between 0.84-1.0 at all 12 sites and the S. macrocarpum values were between 0.68-0.99. The results indicate that E. cava and S. macrocarpum were the most suitable for the marine forest construction in terms of the seaweed biomass, and E. stolonifera and S. horneri in terms of the HSI values. Thus, we suggest that seaweed biomass and HSI values should be considered when choosing suitable forest-forming species.

      • KCI등재후보

        4년제 대학 인문·사회계열 졸업자의 복수전공 이수 여부 및 전공과 일의 일치 정도가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계진아 ( Jina Kye ),곽용성 ( Yongsung Kwak ),한송이 ( Songee Han ),이민욱 ( Minwook Lee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4 사회과학연구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 인문·사회계열 졸업자의 복수전공 이수 여부 및 전공과 일의 일치 정도가 첫 일자리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에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2019년 자료를 활용하여 취업성과를 임금, 정규직 취업 여부, 일자리 만족도로 구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4년제 대학 인문·사회계열 졸업자 중 취업자의 복수전공 이수 비율은 22.4%로 나타나 복수전공 이수율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전공과 일의 일치 정도가 2.83점으로 보통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첫 일자리의 취업성과인 정규직 여부와 임금, 일자리 만족도에 성별과 졸업학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시절 인턴과 직업훈련 경험이 있는 경우 첫 일자리가 정규직일 가능성이 높았고 더 높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복수전공 이수 여부, 주전공과 일의 일치 정도, 복수전공과 일의 일치 정도는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한 복수전공의 이수 여부보다는 복수전공과 일자리의 일치 정도가 포함되었을 때 복수전공의 이수 여부가 일자리 만족도에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복수전공 선택 시 자신의 진로에 맞추어 전공을 선택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 of whether graduat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rom four-year universities completed a double major and the degree of alignment between their major and job on their initial employment outcomes. To achieve th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from the 2019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graduat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rom four-year universities, the proportion of employed individuals with a double major was 22.4%, indicating a relatively low rate of double major completion. Second, the degree of alignment between the major and job was 2.83 points, falling short of a moderate level. Third, gender and GPA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initial employment outcomes, including regular employment status, wages, and job satisfaction. Those who had internship and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s during their university years were more likely to secure regular employment and receive higher wages in their initial jobs. Fourth, the completion of a double major, the degree of alignment between the major and job, and the degree of alignment between double major and job were found to influence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rather than simply completing a double major, aligning the double major with the job is crucial for job satisfaction. It implies the importance of selecting majors in line with one’s career path when choosing a double maj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