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프스산맥의 숭고 I - 18세기 영국 숭고 개념의 발전사

        곽영윤 ( Kwak Young Yoon ) 한국칸트학회 2019 칸트연구 Vol.44 No.-

        이 논문의 목적은 에드먼드 버크와 임마누엘 칸트의 숭고론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알려진 18세기 영국 숭고 개념의 발전사를 서술하고, 그 맥락을 살피는 데 있다. 18세기 초반에 숭고 개념을 발전시킨 존 데니스, 샤프츠베리, 조지프 애디슨은 모두 17세기 후반의 신학자이자 과학자였던 토마스 버넷의 자연신학에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버넷, 데니스, 샤프츠베리, 애디슨은 당대에 영국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그랜드 투어에서 알프스산맥을 직접 경험했다. 그래서 이들의 이론은 사변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생생한 경험적 내용을 갖는다는 특징을 갖는다. 필자는 우선 버넷의 신학적 자연관과 그것에 내포된 숭고의 모티브를 드러내고, 이어서 위-롱기누스의 숭고론을 수용한 데니스의 문학 이론을 다룬다. 그리고 샤프츠베리의 신플라톤주의 미학과 애디슨의 상상력 이론에서 숭고 개념이 어떤 방식으로 논의되는지를 살펴본다. 케임브리지 플라톤주의자들의 자연철학에서 논의된 무한한 공간, 그리고 알프스산맥의 험하고 무서운 자연에 대한 경악과 경탄은 18세기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철학적 숭고론에 중요한 모티브를 제공한다.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British aesthetics of the sublime in the 18th century. John Dennis, Shaftesbury, Joseph Addison who developed the concept of the sublime in early 18th century were all affected by Thomas Burnet who was a theologian and scientist in the late 17th century. Burnet, Dennis, Shaftesbury and Addison experienced the Alps in the grand tour which became popular at that time in England. For this reason, their theories are not merely speculative discussions but are characterized by vivid empirical contents. The author exposes first Burnet’s theological view of nature and motives of the sublime contained in it before handling the literary theory by Dennis which accepted the theory of the sublime by Pseudo- Longinus. Then, the author finds out in what way the concept of the sublime is discussed in Shaftesbury’s neo-Platonic aesthetics and Addison’s theory of imagination. Infinite space that was discussed in the natural philosophy of Cambridge Platonists and ambivalent feelings towards high mountains of the Alps provide important motives for the philosophical theories of the sublime that started to develop in the mid-18th century.

      • KCI등재

        롱기누스와 18세기 전반기 영국의 숭고론

        곽영윤 ( Kwak¸ Young Yoon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1 철학연구 Vol.- No.64

        본 논문의 목적은 숭고 개념의 다양한 함의를 18세기 전반기 영국 숭고론의 발전사를 통해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다. 1세기에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위-롱기누스의 『숭고에 관하여』는 17세기 후반에 니콜라 부알로의 번역과 소개로 유명해졌다. 그리고 18세기 초 영국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숭고 담론은 문예 비평에서 시작해서 미학을 거쳐 정치 이념으로까지 발전했다. 위-롱기누스의 숭고론을 받아들인 존 데니스는 그의 비평론에서 숭고의 정념을 열광적 공포로 이해하고, 그것을 시 예술의 핵심 요소로 보았다. 조지프 애디슨은 위-롱기누스의 수사학적 숭고 개념을 시 예술에서 자연물까지 아우르는 미학 개념으로 확장했다. 부알로의 고전주의 문학관을 수용한 알렉산더 포프는 숭고를 신고전주의 문학의 주요 개념으로 삼았다. 포프에게 숭고는 질서와 규칙에서 벗어나는 것에 대한 경탄이다. 이처럼 다양하게 전개된 숭고론에서 공통으로 발견되는 숭고 경험의 특징은 부정적 요소와 긍정적 요소의 혼합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various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the sublime through the history of the British aesthetics of the sublime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Pseudo-Longinus’ On the Sublime, believed to have been written in the 1st century, became famous for its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by Nicolas Boileau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the discourse on the sublime, which began in England in the early 18th century, started with literary criticism, went through aesthetics, and developed into a political ideology. John Dennis, who accepted Pseudo-Longinus’ theory of the sublime, understood the passion of the sublime as the enthusiastic terror in his theory of criticism, and saw it as a core element of poetry. Joseph Addison expanded Pseudo-Longinus’ rhetorical concept of the sublime into an aesthetic concept that encompasses from poetry to natural objects. Adopting Boileau’s view on the classical literature, Alexander Pope made the sublime one of the main concepts of neoclassical literature. For Pope the sublime is the marvel at breaking out of order and rules. The characteristic of the sublime experience commonly found in these diversely developed theories of the sublime is a mixture of negative and positive elements.

      • KCI등재

        아도르노와 현대미술

        곽영윤 ( Young-yoon Kwak ) 한국미학예술학회 2021 美學·藝術學硏究 Vol.62 No.-

        이 논문의 목적은 테오도어 W. 아도르노의 현대미술론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아도르노는 에두아르 마네의 회화를 현대미술의 출발점으로 본다. 마네가 19세기 후반기에 파리에서 인간이 소외된 현실을 거칠고 조화롭지 않은 색채 구성으로 표현했기 때문이다. 아도르노는 인상주의 화가들이 마네와 달리 대상을 주관화하여 예술에서 주체의 대상 지배를 강화했다고 비판한다. 아도르노가 보기에 20세기 초의 표현주의 예술은 사회 전반에서 심화된 물화에 대항하여 억압된 충동의 표현을 통해 현대적 삶에서 생명력을 되살리려는 예술 운동이었다. 파블로 피카소의 회화에는 아도르노가 파악한 현대예술의 두 가지 주요 원리인 미메시스와 합리성의 변증법, 그리고 예술의 자율성과 사회적 사실의 이중적 성격이 잘 드러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odor W. Adorno's overall theory of modern art. He regards Édouard Manet's paintings as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art. This is because Manet expressed the alienation of humans in Paris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through rough and disharmonic combinations of colors. Adorno criticizes that unlike Manet, other Impressionist painters reinforced the subject's domination of the object in art by subjectifying the object. In Adorno's view, the expressionism of the early 20th century was an artistic movement that sought to revive vitality in modern life through the expression of suppressed impulses against deepening reification throughout society. In Pablo Picasso's paintings, the two main principles of modern art, the dialectics of mimesis and rationality, and the double character of art, namely autonomy and fait social, are clearly revea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