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다머의 그림 이론

        곽영윤 한국하이데거학회 2022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6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Hans-Georg Gadamer’s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on plastic arts as the main content of his aesthetics by reconstructing his theory of picture. Gadamer inverts Plato’s ontology of images to insist that experience of truth is possible in plastic arts. Thus, in Truth and Method, he distinguishes images into mirror images, imitations, and pictures, and argues that pictures have the valence of being. To appreciate a picture is to experience the essence of what is existent, and that is the experience of aesthetic truth in works of art. Gadamer explains this experience using the example of portraits. In portraits, the essential aspect of a person, which cannot be seen in the usual appearance of the individual, is expressed through occationality; The viewer can thus experience the true nature of the person by having a speechless dialogue with the portrait. In Gadamer’s view, Plato’s dialogues depict essential aspects of his teacher Socrates. In that sense, Plato is a literary portraitist. 본 논문의 목적은 조형 예술에 대한 가다머의 철학적 고찰을 그의 그림 이론으로 재구성해서 가다머 미학의 주요 내용으로 제시하는 데 있다. 가다머는 조형 예술에서 진리 경험이 가능하다는 것을 말하기 위해 플라톤의 『국가』에 나오는 상의 존재론을 전도한다. 그리하여 그는 진리와 방법 에서 상을 거울상, 모상, 그림으로 구별하고, 그림이 다른 상들과 다른 자신만의 고유한 존재가를 갖고 있음을 밝힌다. 그러한 그림을 감상하는 것은 존재자의 본질을 경험하는 것이며, 그것이 바로 예술 작품을 통한 미적 진리의 경험이다. 이러한 경험을 가다머는 초상화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초상화에는 실제 인물의 평상시 모습에서는 볼 수 없는 그 사람의 본질적 면모가 기회성을 통해 표현되어 있으며, 감상자는 초상화와 무언의 대화를 나눔으로써 한 인물의 참모습을 경험할 수 있다. 가다머는 또한 예술가들을 이상 국가에서 추방한 철학자 플라톤을 인물의 본질을 묘사하는 예술가로 재조명한다. 가다머가 보기에 플라톤의 대화편에는 그의 스승인 소크라테스의 본질적 면모가 묘사되어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 플라톤은 문학적 초상화가다.

      • KCI등재

        편견에 대한 아도르노의 비판적 성찰

        곽영윤 한국하이데거학회 2019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52

        1940년대에 미국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아도르노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네비트 샌포드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에 합류해서 『권위적 성격』을 썼다. 그리고 그 연구 결과를 『계몽의 변증법』의 1947년 판본에 "신-반유대주의자"에 관한 이론으로 추가했다. 거기서 아도르노는 개인의 정신에 깊숙이 뿌리내린 편견과 정치의 개인화를 1940년대 미국 시민들에 한정하지 않고, 전체주의적 성격의 일반적 특징으로 보았다. 1960년대 후반에 『진리와 방법』을 두고 벌어진 가다머와 하버마스의 논쟁은 편견의 정당성과 부당성을 각각 강조하며, 그들 각자의 이론인 이해의 기술과 의사소통 이론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그러나 그들의 이론은 편견의 문제가 대화, 소통, 혹은 상담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인간의 비이성적인 측면과 관련된다는 사실을 소홀히 다룬다. 아도르노에 따르면 편견은 타자와 낯선 세계에 대한 본능적 두려움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고안된 생각이며, 권위적 성격의 중요한 일부를 이룬다. 그래서 편견은 쉽게 불식시킬 수도 없고, 한낱 오해에 불과한 것도 아니다. 이 점을 우리는 아도르노에게서 배울 수 있다. Theodor W. Adornos Studie über The Authoritarian Personality spielt eine wichtige Rolle als Schlüssel sowohl zum Verständnis des Antisemitismus-Kapitels in der Dialektik der Aufklärung als auch zur Entschlüsselung der rassistischen Vorurteile in der heutigen Gesellschaft. Laut Adorno sind Vorurteile keineswegs bloße Missverständnisse oder klischeehafte Stereotype. Vielmehr seien sie erdachte Vorstellungen, mit denen sich die modernen Menschen gegen die fremde und sich ständig verändernde Welt schützen können. So gibt Adorno in The Authoritarian Personality und der Dialektik der Aufklärung keine wirkliche Lösung zur Überwindung der Vorurteile. Im Vergleich zu Adorno rechtfertigt und rehabilitiert Hans-Georg Gadamer in Wahrheit und Methode das positive Wesen der Vorurteile und der Autorität. Der Grund liege darin, dass die wahren Vorurteile die unabdingbare Bedingung der Verständigung seien und die wahrhafte Autorität sich allein aus der Anerkennung ihrer Überlegenheit ergebe. Dieser Ansicht Gadamers widerspricht Jürgen Habermas, denn die Anerkennung der Autorität ergebe sich nicht aus dem Konsens, sondern aus der dogmatischen Gewalt. Dennoch haben Gadamer und Habermas ein gemeinsames Ziel, denn beide glauben an die Möglichkeit der Verwirklichung einer rational organisierten Gesellschaft. Im Unterschied zu diesen beiden Philosophen stellt Adorno fest, dass die Realisierung einer derartigen Gesellschaft eher unmöglich sei, und zwar aufgrund der Dialektik von Rationalität und Irrationalität. Adornos Ansicht nach sind die Vorurteile, die in der Irrationalität verwurzelt sind, zwar nicht komplett zu überwinden, doch uns bleibt nichts übrig, als einen Weg zur vorurteilsfreien Gesellschaft zu suchen.

      • KCI등재

        아도르노 미학에서 미적 진리의 문제 Ⅱ: 예술 비평과 진리 인식

        곽영윤 한국미학예술학회 2023 美學·藝術學硏究 Vol.70 No.-

        This paper deals with Theodor W. Adorno’s theory of art criticism. In his writings and lecture on aesthetics, including Aesthetic Theory, Adorno argues that truth is inherent in authentic works of art, and that recognizing it is art criticism. Adorno brings the concept of “higher criticism” from 19th century philology and history and applies it to art criticism in order to specify the problem of recognizing the truth of works of art. According to Adorno’s theory of criticism, a work of art is evaluated as being authentic when the truth hidden in it is explicitly revealed through immanent criticism and higher criticism. Adorno also accepts Friedrich Schlegel’s and Walter Benjamin’s theory of Romantic art criticism and reveals that criticism belongs to the work itself, which has a processual nature. A work of art is an object in which the truth contained within is infinitely unfolded through productive and creative reception. This paper concretely illustrates the social and historical truth content of works of art in Ludwig van Beethoven’s overture and Gustave Flaubert’s novel.

      • KCI등재

        자율성과 사회적 사실: 아도르노 미학에서 예술과 사회의 관계

        곽영윤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4 사회와 철학 Vol.- No.47

        테오도어 W. 아도르노는 그의 미학 이론 에서 예술과 사회의 관계를 ‘자율성과 사회적 사실의 이중성’으로 정식화한다. 아도르노에 따르면 예술은 사회의 제반 목적과 유용성을 따르지 않고 오직 작품의 정합적 구성만을 목적으로 하는 자율성을 지닌다. 예술의 이러한 성격을 아도르노는 목적 없는 합목적성으로 특징짓는다. 그는 칸트와 실러의 자율성 미학을 수용하지만, 그들의 미학에서 주체의 우위와 자연 지배의 계기를 발견하고 비판한다. 아도르노는 또한 실증주의적 사회학에 비판적이었지만, 뒤르켐의 ‘사회적 사실’ 개념을 수용하면서 그것에서 개인들에게 강제력을 행사하는 ‘제2의 자연’이 된 사회의 특성을 발견한다. 아도르노는 예술을 사회적 사실로 보는데, 이는 예술이 정신의 사회적 노동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주관 정신’인 예술가는 다양한 미적 재료를 그가 고안한 형식 법칙을 통해 하나의 작품으로 형상화한다. 이렇게 예술가에 의해 결정체가 된 작품에는 사회가 비가시적으로 내재한다. In his Aesthetic Theory, Theodor W. Adorno form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society as ‘the double character of autonomy and social fact’. According to Adorno, art does not serve the purposes or utility of society; instead, it possesses autonomy, aiming solely at the coherent configuration of works. Adorno characterizes this nature of art as ‘purposiveness without purpose’. While he received the autonomy aesthetics of Kant and Schiller, he also criticized elements of the supremacy of the subject and the domination of nature within their aesthetics. Adorno was also critical of positivist sociology. While he accepted Durkheim’s concept of ‘fait social’, he recognized in it the characteristics of a society that had become the ‘second nature’, exerting coercive power over individuals. Adorno views art as a social fact because it is a product of the social labor of the spirit. The artist, as ‘subjective spirit’, shapes various aesthetic materials into a work of art through the formal rules he devises. In the works of art crystallized by the artist, society is present in an invisible manner.

      • KCI등재

        알프스산맥의 숭고 I – 18세기 영국 숭고 개념의 발전사

        곽영윤 한국칸트학회 2019 칸트연구 Vol.44 No.-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British aesthetics of the sublime in the 18th century. John Dennis, Shaftesbury, Joseph Addison who developed the concept of the sublime in early 18th century were all affected by Thomas Burnet who was a theologian and scientist in the late 17th century. Burnet, Dennis, Shaftesbury and Addison experienced the Alps in the grand tour which became popular at that time in England. For this reason, their theories are not merely speculative discussions but are characterized by vivid empirical contents. The author exposes first Burnet’s theological view of nature and motives of the sublime contained in it before handling the literary theory by Dennis which accepted the theory of the sublime by Pseudo- Longinus. Then, the author finds out in what way the concept of the sublime is discussed in Shaftesbury’s neo-Platonic aesthetics and Addison’s theory of imagination. Infinite space that was discussed in the natural philosophy of Cambridge Platonists and ambivalent feelings towards high mountains of the Alps provide important motives for the philosophical theories of the sublime that started to develop in the mid-18th century. 이 논문의 목적은 에드먼드 버크와 임마누엘 칸트의 숭고론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알려진 18세기 영국 숭고 개념의 발전사를 서술하고, 그 맥락을 살피는 데 있다. 18세기 초반에 숭고 개념을 발전시킨 존 데니스, 샤프츠베리, 조지프 애디슨은 모두 17세기 후반의 신학자이자 과학자였던 토마스 버넷의 자연신학에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버넷, 데니스, 샤프츠베리, 애디슨은 당대에 영국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그랜드 투어에서 알프스산맥을 직접 경험했다. 그래서 이들의 이론은 사변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생생한 경험적 내용을 갖는다는 특징을 갖는다. 필자는 우선 버넷의 신학적 자연관과 그것에 내포된 숭고의 모티브를 드러내고, 이어서 위-롱기누스의 숭고론을 수용한 데니스의 문학 이론을 다룬다. 그리고 샤프츠베리의 신플라톤주의 미학과 애디슨의 상상력 이론에서 숭고 개념이 어떤 방식으로 논의되는지를 살펴본다. 케임브리지 플라톤주의자들의 자연철학에서 논의된 무한한 공간, 그리고 알프스산맥의 험하고 무서운 자연에 대한 경악과 경탄은 18세기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철학적 숭고론에 중요한 모티브를 제공한다.

      • KCI등재

        전율과 강화 : 아도르노와 리오타르의 숭고 개념에 관하여

        곽영윤 한국미학예술학회 2019 美學·藝術學硏究 Vol.56 No.-

        In diesem Aufsatz handelt es sich um die Erklärung und den Vergleich von dem Adornoschen und dem Lyotardschen Begriff des Erhabenen. Die beiden Ästhetiker verteidigen die gegenwärtige Kunst, die die formale Schönheit und die abbildende Darstellung ablehnt. In seiner Ästhetischen Theorie setzt sich Adorno kritisch mit dem Kantischen Begriff des Erhabenen auseinander. Kant erklärt das Erhabene als ein subjektives Gefühl der Überlegenheit des autonomen Subjekts über die Natur. Dagegen meint Adorno, dass der Vorrang des Subjekts vor der Natur in Wahrheit die Unterdrückung des leiblich-lebendigen Subjekts durch das geistig-denkende Subjekt sei. Deswegen konzipiert Adorno die Erfahrung des Erhabenen als ästhetische Erfahrung der Wahrheit über das Subjekt, nämlich dessen Hinfälligkeit und Nichtigkeit. Diese Erfahrung bezeichnet Adorno als Erschütterung. Dabei stellt er fest, dass die Sinnlosigkeit der Kunstwerke keine absolute, sondern eine höher-stufige Sinnlosigkeit sei. Im Gegensatz dazu meint Lyotard in seinem Vortrag über Das Erhabene und die Avantgarde, dass die Sinnlosigkeit der avantgardistischen Kunst eher eine Möglichkeit der neuartigen Wahrnehmung der Kunst sei. Denn der Schrecken aus der Unverständlichkeit könne in eine Lust an der Intensivierung der Lebensenergie umgewandelt werden. Doch ich bin der Ansicht, dass die Ästhetik von Adorno fruchtbarer ist als die von Lyotard, wenn man die Kunstwerke interpretiert. 20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미학자들인 아도르노와 리오타르는 형식미와 사실적 재현을 거부하는 현대 예술을 옹호하며, 칸트가 쓴 『판단력 비판』의 「숭고 분석론」을 재해석하여 그들의 이론적 모델로 삼는다. 아도르노는 칸트의 숭고 개념을 통해 모더니즘 예술의 비정형성과 부정성을 설명한다. 이와 유사하게 리오타르는 칸트 숭고론의 “부정적 현시” 개념으로 비대상적이고 비재현적인 아방가르드 예술의 특성을 파악한다. 그들의 공통된 입장의 배경에는 근대 철학에서 시작된 주체 중심주의에 대한 근본적 비판이 있다. 아도르노는 칸트의 숭고론에서 주체의 우위 혹은 주체의 자연 지배를 읽는다. 칸트의 숭고론은 거대하거나 막강한 자연 앞에서 무력한 인간이 자신을 도덕적 주체로 의식함으로써 자연보다 우월함을 느낀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아도르노는 이러한 전제를 뒤집는다. 그는 인간이 정신적 존재일 뿐만 아니라 자연적 존재임을 자각해야 하며, 그러한 자각은 예술 작품 속으로 침잠한 주체가 전율을 통해 자기 동일성이 개념에 불과함을 깨닫는 것으로 실현된다고 본다. 아도르노에 따르면 예술 작품은 비개념적 언어로 형상화되어 있어서 그 자체로 고정된 의미를 갖지 않지만, 수용 과정에서 다양하게 의미화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리오타르는 예술의 해석 가능성 자체를 부정한다. 리오타르에 따르면 관객이 현대 예술의 절대적 무의미에서 느끼는 부정적 감정은 위축되었던 생의 에너지가 강화되며 기쁨으로 바뀔 수 있다. 그러나 필자는 미학에서 진리, 허위, 형식, 내용과 같은 전통적인 개념들을 고수하는 아도르노의 이론이 리오타르의 이론보다 작품 자체에 대한 해석과 평가에 더 많은 지침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아도르노 미학에서 미적 진리의 문제 Ⅰ: 예술 작품의 진리 내용

        곽영윤 한국미학예술학회 2022 美學·藝術學硏究 Vol.65 No.-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blem of aesthetic truth, which plays a key role in the aesthetics of Theodor W. Adorno. He accepted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s point of view that the purpose of art is not enjoyment or usefulness, but aesthetic truth. Adorno also received the aesthetics of Friedrich Schiller and Hegel, who explain art as aesthetic semblance, and sees art as an autonomous being as well as the appearance of the idea. However, unlike Hegel, who regarded the Idea as the unity of concept and reality, for Adorno, the idea is a reconciliation between spirit and nature, and such reconciliation is symbolically achieved in works of art in which irrational moments such as emotions and impulses are coherently composed. The truth contents of works of art are social and historical, and they are inherent in the non-conceptual language of art. This paper exemplifies the truth contents of art in Ludwig van Beethoven’s Piano Sonata and Paul Celan’s lyrics. Since the truth contents inherent in the works of art are not explicitly revealed, the works of art have a riddle-character. Thus, works of art need criticism, a philosophical reflection that will solve their riddles. 본 논문은 테오도어 W. 아도르노의 미학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미적 진리의 문제를 다룬다. 아도르노는 예술의 목적이 향유나 유용성이 아니라 진리에 있다는 게오르크 W. F. 헤겔의 관점을 받아들여 예술의 존재 이유가 미적 진리라고 본다. 아도르노는 또한 예술을 미적 가상으로 설명하는 프리드리히 실러와 헤겔의 미학을 수용하여 예술이 현실 속에 독자적 영역을 갖는 자율적 존재인 동시에 이념의 현현이라고 본다. 그러나 이념을 개념과 실재성의 통일로 본 헤겔과 달리 아도르노에게 이념은 정신과 자연의 화해이며, 그러한 화해는 감정과 충동 같은 비이성적 계기들이 정합적으로 구성된 예술 작품에서 상징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예술 작품의 진리 내용은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것이며, 그것은 작품에 개념적이지 않은 언어로 내재한다. 본 논문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와 파울 첼란의 서정시에서 예술 작품의 진리 내용을 예시한다. 작품에 내재한 진리 내용은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작품은 수수께끼 성격을 갖는다. 그래서 예술 작품은 자신의 수수께끼를 풀어줄 철학적 반성인 비평이 필요하다

      • KCI등재

        알프스산맥의 숭고 I - 18세기 영국 숭고 개념의 발전사

        곽영윤 ( Kwak Young Yoon ) 한국칸트학회 2019 칸트연구 Vol.44 No.-

        이 논문의 목적은 에드먼드 버크와 임마누엘 칸트의 숭고론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알려진 18세기 영국 숭고 개념의 발전사를 서술하고, 그 맥락을 살피는 데 있다. 18세기 초반에 숭고 개념을 발전시킨 존 데니스, 샤프츠베리, 조지프 애디슨은 모두 17세기 후반의 신학자이자 과학자였던 토마스 버넷의 자연신학에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버넷, 데니스, 샤프츠베리, 애디슨은 당대에 영국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그랜드 투어에서 알프스산맥을 직접 경험했다. 그래서 이들의 이론은 사변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생생한 경험적 내용을 갖는다는 특징을 갖는다. 필자는 우선 버넷의 신학적 자연관과 그것에 내포된 숭고의 모티브를 드러내고, 이어서 위-롱기누스의 숭고론을 수용한 데니스의 문학 이론을 다룬다. 그리고 샤프츠베리의 신플라톤주의 미학과 애디슨의 상상력 이론에서 숭고 개념이 어떤 방식으로 논의되는지를 살펴본다. 케임브리지 플라톤주의자들의 자연철학에서 논의된 무한한 공간, 그리고 알프스산맥의 험하고 무서운 자연에 대한 경악과 경탄은 18세기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철학적 숭고론에 중요한 모티브를 제공한다.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British aesthetics of the sublime in the 18th century. John Dennis, Shaftesbury, Joseph Addison who developed the concept of the sublime in early 18th century were all affected by Thomas Burnet who was a theologian and scientist in the late 17th century. Burnet, Dennis, Shaftesbury and Addison experienced the Alps in the grand tour which became popular at that time in England. For this reason, their theories are not merely speculative discussions but are characterized by vivid empirical contents. The author exposes first Burnet’s theological view of nature and motives of the sublime contained in it before handling the literary theory by Dennis which accepted the theory of the sublime by Pseudo- Longinus. Then, the author finds out in what way the concept of the sublime is discussed in Shaftesbury’s neo-Platonic aesthetics and Addison’s theory of imagination. Infinite space that was discussed in the natural philosophy of Cambridge Platonists and ambivalent feelings towards high mountains of the Alps provide important motives for the philosophical theories of the sublime that started to develop in the mid-18th century.

      • KCI등재

        아도르노와 현대미술

        곽영윤 ( Young-yoon Kwak ) 한국미학예술학회 2021 美學·藝術學硏究 Vol.62 No.-

        이 논문의 목적은 테오도어 W. 아도르노의 현대미술론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아도르노는 에두아르 마네의 회화를 현대미술의 출발점으로 본다. 마네가 19세기 후반기에 파리에서 인간이 소외된 현실을 거칠고 조화롭지 않은 색채 구성으로 표현했기 때문이다. 아도르노는 인상주의 화가들이 마네와 달리 대상을 주관화하여 예술에서 주체의 대상 지배를 강화했다고 비판한다. 아도르노가 보기에 20세기 초의 표현주의 예술은 사회 전반에서 심화된 물화에 대항하여 억압된 충동의 표현을 통해 현대적 삶에서 생명력을 되살리려는 예술 운동이었다. 파블로 피카소의 회화에는 아도르노가 파악한 현대예술의 두 가지 주요 원리인 미메시스와 합리성의 변증법, 그리고 예술의 자율성과 사회적 사실의 이중적 성격이 잘 드러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odor W. Adorno's overall theory of modern art. He regards Édouard Manet's paintings as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art. This is because Manet expressed the alienation of humans in Paris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through rough and disharmonic combinations of colors. Adorno criticizes that unlike Manet, other Impressionist painters reinforced the subject's domination of the object in art by subjectifying the object. In Adorno's view, the expressionism of the early 20th century was an artistic movement that sought to revive vitality in modern life through the expression of suppressed impulses against deepening reification throughout society. In Pablo Picasso's paintings, the two main principles of modern art, the dialectics of mimesis and rationality, and the double character of art, namely autonomy and fait social, are clearly revea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