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정화합물 안정동위원소분석법을 이용한 청동기시대 중서부지방 생업양상 연구

        곽승기(Seung ki Kwak) 한국상고사학회 2017 한국상고사학보 Vol.95 No.-

        선사시대의 생업 활동을 고찰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해당 지역의 고고자료를 면밀히 연구하여 당시의 식생활이 어떠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반도의 청동기시대는, 농경이 확산되고 벼를 위시한 다양한 작물들의 재배가 성행하여 농작물이 당시사람들의 주식으로 자리 잡은 때라고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청동기시대의 식생활을 복원해보려는 노력은 주로 작물 유존체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 본고에서는 한반도 중서부 지역의 청동기시대 주거유적인 평택 소사동과 김포 양촌, 그리고 송국리의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에서 추출한 유기물에 대한 안정동위원소분석의 결과를 활용하여 당시의 식생활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청동기시대 한반도 중서부지역 거주민들이 수렵활동을 통해 사슴이나 멧돼지와 같은 야생 육상동물들을 주기적으로 섭취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한반도의 청동기시대 농경민들은 송국리형 문화 단계에 집약적 도작농경이 확립된 이후에도 생업활동을 하는 데에 있어 작물재배와 함께 다양한 전략을 보조적으로 활용하였던 것으로 추측되며, 농경 도입 이전부터 인류의 가장 대표적인 생업 활동의 하나였던 수렵도 그중의 하나였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비록 농경에 의한 작물의 재배가 청동기시대 생업활동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었고, 벼를 위시한 재배작물이 사람들의 식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이전 시기보다 높았다고 볼 수 있지만, 당시 농경민들은 보다 넓은 범위에서 유기적인 전략을 가지고 생계를 유지해 나갔을 가능성이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ancient human subsistence and pottery use in the midwe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lipid analysis of potsherds from two major prehistoric settlement sites. One of the main topics of Korean archaeology has bee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farming. In the midwe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eriod that has been tightly linked with this change was the Bronze Age. However, due to the high acidity of sediments that does not allow long-term preservation of organic remains, we still lack critic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sistence of the Bronze Age people. Ceramic vessels contain well-preserved lipids originated from culinary practices. Reconstructing food processing episodes through the analysis of ancient lipids extracted from pottery matrix can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true nature of the subsistence during the Bronze Age. The potsherd samples for the analyses in this paper were collected from the three prehistoric Bronze Age (c.a. 3000-2300 BP) settlement sites located in the midwe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Kimpo-Yangchon, Sosa- Dong, and Songguk-ri site. The result shows that terrestrial animals are presented in the organic residues, suggesting that there was utilization of a wider range of animal resources along with harvested crops among ancient farmers in the midwe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장딴지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합병 슬와낭

        민준기 ( Jun Ki Min ),곽승기 ( Seung Ki Kwak ),한지아 ( Zee A Han ),성미숙 ( Mi Sook Sung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8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5 No.3

        목적: 장딴지 부위의 통증, 종창, 종괴 등은 류마티스 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며 합병 슬와낭(파열 또는 절개)은 심부 정맥 혈전증과 증상이 유사하여 정확한 진단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장딴지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원인 질환과 함께 합병 슬와낭의 빈도와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6년 12월 까지 장딴지 증상을 호소하여 근골격계 초음파, 도플러 초음파,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시행한 19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197명은 102건의 도플러 초음파, 49건의 근골격계 초음파, 46건의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 받았다. 장딴지 증상의 원인 질환으로는 혈전증(58/197, 29.4%) 봉와직염(14/197, 7.1%), 합병 슬와낭(12/197, 6.1%), 종양(12/197, 6.1%), 아킬레스건 파열(11/197, 5.6%), 안쪽 갈래장딴지 근육 파열(10/197, 5.1%), 근육 탈출(3/197, 1.5%)등이 진단되었다. 12명의 합병 슬와낭 중 6명은 종괴를 호소하였으며 나머지 6명은 통증을 동반한 종창을 호소하였다. 12명 중 3명은 심부정맥 혈전증 의심하에 도플러 초음파를 우선적으로 시행하였다. 합병 슬와낭은 안쪽 갈래 장딴지근육과 얕은 근막 사이(12/12. 100%), 피하 지방 내부(3/12, 25%), 안쪽 장딴지 근육 내부(2/12, 17%)에 위치하였다. 합병 슬와낭 12 명 중 3명은 류마티스관절염을 앓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장딴지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합병 슬와낭의 빈도가 6.1%로 조사되었으며 장딴지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합병 슬와낭과 이외에 다양한 원인 질환을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