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손창섭(孫昌涉)의 「모자도」 연구(硏究)-‘승화(昇華)’ 개념(槪念)을 중심(中心)으로-

        곽상인 ( Gwak Sang-i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0 No.1

        이 論文에서는 그간 分析의 對象에서 漏落(혹은 제외)되었던 손창섭의 본격적인 最初 新聞連載短篇小說 「모자도」의 價値를 糾明해보고자 한다. 「모자도」는 「神의 戱作」의 幼年期的 서사와 유사하게 전개되는데, 「모자도」의 성기가 昇華의 過程을 통해 자신의 慾望을 抑壓하고 社會化 과정을 무난히 거친다면, 「신의 희작」의 S는 女性에게로 向하는 攻擊 性向을 여과 없이 그대로 드러내 보인다. 성기는 母性에 대한 욕망의 缺乏을 想像畵 그리기로 昇華시킨다. 이러한 行動은 또한 역설적으로 봤을 때, 비정한 現實과 자신의 결핍된 욕망을 재인식하게 만드는 苦痛의 과정이라고 할 수가 있다. 따라서 自傳的 소설이라 알려진 「신의 희작」에서 주인공 S와는 다른 樣相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유사한 유년기를 묘사하고 있는 손창섭의 내면 의식에, 攻擊性과 더불어 자신의 욕망을 抑壓하면서 社會化 과정을 熾烈하게 겪는 犧牲이 담겨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Here a paper for study Aspect maternal and filial written by chang-sup Son. The piece of work is the outset a serial novel in a newspaper by Son, and similar the childhood of the hero God’s comic product. But there is the Difference between two paper. A main character ‘sung-ki’ in Aspect maternal and filial used to paint ‘imaginary’ picture for lack of maternity and sublimate himself through the process. The other hand, ‘s’ a main role in God’s comic product show ‘the propensity’ to attack women destined for the ‘lack of maternity’. It means Son’s ambivalence ‘an attack’ and ‘a sacrifice’. Finally, I believe it is meaningful, a search for types of sublimation through Son, chang-sup’s the other works. So, I continues to be studied it.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 교육 및 첨삭지도의 현황과 지향점 : 서울시립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곽상인(Gwak, SangIn)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1 지식과 교양 Vol.- No.8

        이 글은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글쓰기’ 수업 운영방식을 포괄적으로 소개하고, 그 지향점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현재 서울시립대학교의 글쓰기 교육 체계가 어떤 과정을 통해서 구축되었는지를 살필 것이다. 두 번째로 실제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글쓰기 교육이 주차 별로 어떤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래서 구체적으로 학생들에게 어떤 과제가 부여되고 어떤 점을 중심으로 하여 첨삭이 이루어지는지를 살필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울시립대학교는 첨삭제도가 있어서 T.A.가 교수자의 첨삭을 돕는다. 이 제도의 시행과정을 살피는 것도 글쓰기 교육의 현장을 드러내는 데 유의미하다고 하겠다. 이상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하여,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글쓰기 교육이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첫 번째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두 영역으로 나뉘어 운영되는 것을 확대해야 한다. 예체능 계열에 속한 학생들을 ‘예체능 계열’로 따로 그룹화해서 운영할 필요가 있겠다. 두 번째 온라인 글쓰기 클리닉 제도의 접근성을 높여서 학생들이 수시로 이 제도를 활용할 수 있게끔 만들어야 한다. 세 번째 첨삭조교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첨삭 수당을 높여야 한다. 학생들과 첨삭조교의 만족도를 동시에 높이려면 경제적인 투자가 불가피할 것이다. 네 번째 교수자마다 글첨삭 및 평가기준이 달라서 서울시립대학교만의 특성을 담은 표준첨삭표를 만들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글쓰기 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to the method of writing classes at the University of Seoul and to examine its direction. To achieve this goal, I will first examine how the current writing education system of University of Seoul has been established. Secondly, I will look at what writing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every week at University of Seoul, so specifically, what tasks are assigned to students and what points are focused on correction. Finally, the University of Seoul has an editing system (T.A.) to help teachers to write. The examination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is system is also meaningful in revealing the field of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n order for writing education to proceed more efficiently at University of Seoul, it must be expanded beyond the existing two fields, Humanities Society and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bind the students belonging to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separately into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Secondly, an online Writing-Clinic system should be made more accessible to students so that they can use it any time. Thirdly, the correction allowance should be increased along with education on correction assistants. Economic investment will be inevitable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and correctional assistants. Fourthly, it is necessary to make a standard correction table that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of Seoul. This is because each professor has different standards for writing correction and evaluation. By complementing these problems, more efficient writing education will be achieved.

      • KCI등재후보

        황석영의 『바리데기』에 나타난 환상 서사

        곽상인(Sang-In Gwak)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2 지식과 교양 Vol.- No.10

        본고에서는 황석영의 『바리데기』에 나타난 환상의 서사에 주목하였다. 환상의 서사는 기호, 공명, 동일성이라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비극적 현실을 보다 비극적으로, 환상을 보다 환상으로 전개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었다. 할머니에게서 물려받는 신적인 능력, 영험한 능력을 통해서 죽은 자와 대면하고, 미래를 점치는 능력이 환상의 서사를 이끌어가는 주된 동력임을 확인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환상은 죽은 영혼들의 상처와 맞닥트릴 때, 그리고 발 마사지를 통해 타인의 영적인 무의식과 만나는 순간에 극적으로 드러났다. 여기에서 기호가 작동하는데, 그것은 감각과 마주치게 된 우연하고도 필연적인 방식이라 할 수가 있다. 감각이 소생시킨 과거의 진실, 감각이 벗겨낸 이미지들의 진실을 바리가 발 마사지를 통해 확인한다. 그러면서 공명(共鳴) 또한 발생한다. 공명의 효과는 과거와 현재의 순간이 공명하는 것인데, 멀리 떨어진 시간과 대상이 연결되는 것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바리는 잃어버린 시간과 사건을 되찾거나 되찾아준다. 바리가 손님들의 발을 만지면서 그들의 무의식에 존재하는 경험세계를 현실 세계로 끌어낸다는 것에서 공명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aid attention to Hwang Seok-young's fantasy narrative in Baridegi. The narrative of fantasy occurs in the situation of symbols, resonance, and identity, which functions to develop tragic reality more dramatically and spectacularly through fantasy. Through the divine and spiritual abilities inherited from grandmother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bility to face the dead and predict the future is the main driving force behind the fantasy narrative. This fantasy was dramatically revealed when confronted with the wounds of the dead souls and the moment when they met the spiritual unconsciousness of others through foot massages. Here, the symbol works, which can be said to be an accidental and inevitable way of encountering the senses. The truth of the past that the senses revived and the truth of the images that the senses peeled off are confirmed through the foot massage. Resonance also occurs. The effect of resonance is the resonance of the past and the present moment, which refers to the connection of distant time and objects. In the process, Bari recovers or at least recovers lost time and events. The effect of resonance is proven by the fact that Bari brings out the experience world that exists in their unconsciousness into the real world by touching the feet of customers.

      • KCI등재

        선우휘 단편소설에 나타난 주체의 분열 양상 연구

        곽상인(Sang In Gwak) 한국현대소설학회 2010 현대소설연구 Vol.- No.43

        In this paper, I want to focus on the subject split of the characters in Shon-woo, Hui`s short story. For this, I will note a subject split aspect of the characters, denying calls of other and ignoring gaze first. Next, I will focus on a subject split aspect through a meeting with the Real which is the root of desire. This looks alike with hallucination and misunderstanding in reality. Furthermore, it can be a psychological quality which is made in subject completion. Finally, I will look on an aspect that subjects try to make relationship with the outside world, and wants to transfer to the symbolic order. At this time, characters cannot accept rules and law known as father, that is, they cannot accept agony and sacrifice which are asked by symbolic order. And they are seen as they alienate themselves endlessly and regress to imaginary world. Accepting symbolic order, characters aware others and feel guilty, and they fight against authority known as father. Through this process, subject split of Shon-woo Hiu`s characters are being progressed in various form.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a way that expanded the spectrum of literary interpretation taking Freudianism while others evaluate work of Shon-woo Hui as `behavior-aimed`, `anticommunism ideology`, and `simpl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 think that investigating Shon-woo Hui`s status in Korean literary circles casts a long shadow, comparing to works of writers(such as Chang-sub Son, Ho-chul Lee) who has resemblance, `birth of North Korea`.

      • KCI등재

        손창섭의 신문연재소설 연구

        곽상인(Sang In Gwak) 한국현대소설학회 2012 현대소설연구 Vol.- No.49

        In this paper, I want to focus on the serial novels in newspaper Nasty rain and Mistake written by Shon, Chang-sup. Nasty rain was discovered recently, besides it wasn`t perfect as Shon, Chang-sup`s first novel. On the other hand Mistake has been regarded ``the mass of the paper`` not ``literature``. So two all novels wasn`t investigation by people the while, althoug those referenced to ``an annual report``. Nasty rain was included Shon, Chang-sup`s specific character in 1950`s novel. For example ``the cause of disease abnormality``, ``gloomy mood``, ``images of rain and room``, ``style of ∼is``. Mistake had all features by Shon, Chang-sup`s short pieces in 1950`s, also the subject and motives were connected serial novels in newspaper in 1960`s Consequently this study was to look the literary scene in 1950`s to 1960`s, so two novels will become known these consciousness. an instance character`s self-contempt, cognition of the world through the disavow-consciousness by Nasty rain, and Mistake express to reveal the character`s desire through the repetition behavior and what the character think about ``marriage``. The last was analyzed serial novels in newspaper to release the label ``a self-portrait in postwar``.

      • KCI등재

        영화 <국제시장>에 나타난 시간과 기호의 서사

        곽상인(Gwak Sang 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9

        This writing divid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movie Ode to My Father into time and sign. This writing analyzed how narratives can be developed and re-structured when centered on time, and how narratives can also be extended when focused on the sign of the Gilles Deleuze. First of all, the narrative of time explains the time of the discourse and the time of the story. The time of the discourse means the present time. In other words, the audience looks at the narrative currently through the screen. In this situation, this narrative is not go according to the time, but through re-arrangement of events in the narration. Therefore, the time of discourse is non-chronic, and this structure allows the director to convey his ideology or ultimate message to the audience. In addition, the time of the story is the driving force to relocate events within the narration chronologically or according to causality. The reason why reconstruction or rearrangement of narratives is important is that probability and verisimilitude of causality of events and the outcome of the present life of the main character can be increased. So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ents and time must be causal within a clear framework so that the audience can secure objectivity through the narrative. Finally, in the time of the sign, this writing captured six scenes of the sign in the Ode to My Father. Sign is meant to be something which happens by chance, beyond bringing about a change in the scene. Sign is used as memory-capable medium, not just reminder of memories. The director tried to trace the meaning of the unconscious memories with sign and shape them to reach the truth. 본고에서는 영화 <국제시장>에 나타난 서사구조를 시간과 기호로 나누어 살폈다. 시간을 중심으로 할 때 서사가 어떤 식으로 전개되고 어떻게 재구조화될 수 있는지, 들뢰즈의 기호를 중심으로 살피게 되면 서사가 또한 어떤 식으로 확장될 수 있는지를 분석해보았다. 우선 시간의 서사에서는 담화의 시간과 스토리의 시간을 구분하여 설명했다. 담화의 시간은 현재적 시간을 의미하는데, 관객이 스크린을 통해 현재적으로 서사를 바라본다는 얘기다. 이때의 서사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서사체 내부 사건들의 재-배열을 통해서 진행된다. 따라서 담화의 시간은 비연대기적이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감독은 자신의 이데올로기나 궁극의 메시지를 관객에게 전달할 수가 있게 된다. 아울러 스토리의 시간은 서사체 내부의 사건들을 연대기적으로 또는 인과관계를 따져서 재배치할 수 있는 동력이 된다. 서사의 재구성 내지는 재배열이 중요한 이유는 사건의 인과관계 및 주인공의 현재적 삶이라는 결과에 대한 개연성과 핍진성을 높일 수가 있기 때문이다. 곧 사건과 시간의 관계가 명확한 틀 안에서 인과적으로 구현이 되어야 만이 관객은 서사를 통해 객관성을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기호의 시간에서는 <국제시장> 중 기호가 발생한 부분을 크게 여섯 장면으로 포착하여 살펴보았다. 기호는 장면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넘어서서, 우연히 마주친 것들 속에 의미가 담겨있는 것을 말한다. 단순하게 기억이나 추억의 되새김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억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체로 기호는 쓰이는 것이다. 감독은 (무)의식적으로 나타나는 기억들의 의미를 기호로 추적하고 이를 형상화해서 또 다른 이야기에 도달하고자 했다.

      • KCI등재

        손창섭의 「잊을 수 없는 과거」 연구

        곽상인(Gwak, Sang-In) 한국현대소설학회 2020 현대소설연구 Vol.- No.77

        This writing tried to analyze Son, Chang-sup’s recent found novel, The Unforgettable Past. First, this writing looked into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is novel. As a result, the literary features of Son Chang-sup, which was shown in his previous works, were revealed. For example, violence in men, hurt women, marriage problems, women’s sufferings, unwanted marriages and divorces. These literary features have been séried from his early works to newspaper serial novels published in the 1960s. Son, Chang-sup’s male character in this novel tried to have violent or abnormal relationships with women. Second, the attitudes of people who looked at wounded woman were still full of contempt and mokery. Third, although Son, Chang-sup’s female characters were victims of men’s violence, they were invited to irresponsible remarriage rather than being comforted by people around them, Fourth, the male character expressed negative consciousness about men who hovered around the woman they liked. Finally, he expressed his negative consciousness about the world symbolized by father. As a result, there is no need to denigrate the value of this novel just because it shows patterns similar to his previous novels and has been published in public magazine. Son, Chang-sup’s character is a new subject that was completed by repetition through differences. In short, this novel was a bridge for Son, Chang-sup to move from pure literature to popularity literature. In addition, this novel played a role in raising Son, Chang-sup, which had been sunk in the 1950s, to the later ‘Son, Chang-sup’.

      • KCI등재

        스마트폰을 활용한 창의적인 글쓰기 교수법 연구

        곽상인(Sang in Gwak)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4 No.-

        본고는 공주대학교 교양필수교과목인 <창의적 사고와 표현>(2012년 제1학기 신설) 수업 시간에,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글쓰기의 다양한 형태를 시도했던 교수법에 대한 연구결과이다. 디지털화 되어가는 현실 속에서 글쓰기를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아날로그적 방식과 디지털 방식을 접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스마트폰 활용하면 보다 효율적인 글쓰기를 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교수법을 시행했고 학생들에게 적용했다. 학습자들이 학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방안으로 스마트폰을 활용한 교수법을 제안했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인 '카카오톡'을 활용하여 첫 번째 포토에세이 만들기, 두 번째 카메라를 활용한 자기소개 영상 만들기, 세 번째 릴레이 글쓰기를 시도하였다. 첫 번째 포토에세이 만들기의 경우 학생들은 딱딱한 공간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로운 상황에서 개성적인 포토에세이를 만들어냈다. 그림과 글을 접목시킴으로써 창의성과 사고력이 배양됨을 알 수 있었다. 수행과제를 통해서 학생들은 대상을 풍부하게 생각하고, 사물의 관련성을 찾아내고, 그 이면을 찾는 눈을 키우게 되었다. 두 번째 자기소개 영상 제작도 자기만의 반성적인 목소리를 낼 수가 있다는 측면에서 효과적이었다. 언어를 통해서 자기를 정의하고 반성하고 내면에 숨겨진 이야기를 고백하는 형식은 심연에 숨겨진 '자기 정체성'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릴레이 글쓰기는 다른 사람과 공감하고 소통하기 위한 적절한 수행과제라 할 수 있었다. 스마트폰을 통해 세계와 대면하는 '자기'를 발견하고, 자기를 스토리텔링하여 자기소개 영상을 제작할 줄 알고, 구성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원활한 사회적 활동을 유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였다. 이러한 활동은 자기 반성적 글쓰기는 물론,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 공동체의식까지도 함양시키는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가 있어서 유의미한 교수법이라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세 가지 교수법을 통해서 학생들은 글쓰기와 말하기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가 있었고, 자기를 객관화하고 성찰하고 타자와 소통하면서 진정한 '자기'를 완성해가는 방식을 습득할 수 있었다. This is a study of the teaching methods which attempt to take advantage various types of writing by smartphone in 2012 from Kongju National University. I think the method of adding the digital to analog style is going to enhance the creativity more effectively. The order to prove that if you take advantages of smartphone and can be more effective writing I applied smartphone a lecture. So students are offering to use their smartphone as a way to encourage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tudy. Methods as in the following. The first is to make photo essay utilizing 'KakaoTalk' smartphone application. The method is to show students in the process was subjective in advantage of the free creates a photo essay and higher thinking skills such as creativity by incorporating the drawings and writings that could see it. Furthermore, the relevance of things for detecting and acquiring the technology to find the inner thoughts could see. The second method proposed by the camera make a video self-introduction. this method was effective in terms of a sense that it can voice his own reflective. Besides, through language, a definition of oneself to confess and reflect and be inside the stories behind the format had helped to give 'Self identity' hidden in the abyss. Thirdly, I proposed writing a relay to students. because this method is to communicate and empathize with others for appropriate. It was a very important task that discover the 'self' facing the world, and knew that telling his story to create a self-introduction video, it is through the social activities that induce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through a smartphone. These activities are meaningful teaching methods. the reason is that can their reflective writing and a sense of community communication and empathy, even increase community spirit. As a result, using smartphones on three ways to reduce the burden on students writing and speaking, was able to objectify themselves and reflect and learn the way to complete the true 'self',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methods.

      • 영화 <호로비츠를 위하여>에 나타난 지수의 문제와 그 해결 방식

        곽상인(Gwak, Sang-In)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10 영화와문학치료 Vol.4 No.-

        본고에서는 영화 <호로비츠를 위하여>에 등장하는 지수를 중심으로, 상처의 근원과 그 치유방식에 주안점을 두면서 작품을 분석하고자 한다. 지수의 상처가 어디에서 기인되었으며, 어떤 식으로 치유가 되는지를 알아보는 과정은 문학치료학의 주된 지향점인 인간관계의 회복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의미한 작업이라 하겠다. 특히 부모서사의 측면에서 문제가 어떻게 해결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지수와 주변인물간의 관계에 주목하고, 갈등을 일으키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지수는 피아니스트가 되지 못한 열등감을 주변 인물과의 갈등을 통해 무의식적으로 드러내는데, 이는 ‘자기서사’에 함몰된 결과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할 수가 있을 것이다. 자기중심적인 세계 속에 놓이다 보니 현실과 타협하지 못하고, 그럼으로써 주변 사람들에게 상처만을 입히게 되는 것이다. 지수에게는 타인과의 관계맺음보다 ‘나’를 구축하는 것이 급선무였다 하겠다. 이와 같은 열등감과 상처, 그리고 원만하지 못한 인간관계가 부모서사의 양육 문제와 결부되면서 어느 정도 회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됨을 확인할 것이다. 홀로 남겨진 경민을 어떻게 양육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면서, 지수는 자기중심적이었던 삶의 태도를 부모서사의 측면으로 전환한다. 다시 말해 자신의 열등감을 양육이라는 방향으로 승화시켜 나가면서, 지수는 상처를 극복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부모서사를 논의하는 데 부모보다 스승이 더 적절한 측면이 있는데, 지수는 부모 된 심정으로 희생 하는 것이 얼마나 값진 것인가를 깨닫게 된다. 본고는 자기중심적으로 사는 인물이 부모서사의 양육문제에 봉착했을 때 인생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뀌어갈 수 있다는 것을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런데 부모서사 구조를 취하고 있는 다른 작품들과 비교함으로써, ‘양육’의 문제가 어떤 식으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인바, 이는 추후의 연구과제로 남겨두겠다. This article is about to analyze the film <For Horowitz> around a character Ji-soo focusing on the origin of hurt and its way of heal. The process of looking into where Ji-soo"s hurt came from and how she heals is a meaningful study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relationship recovery that is the main aim of literature therapeutics. Especially, I am examining how the problem is solved in parent-epic. First, I am taking not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i-soo and extras and the factor that causes conflict. Ji-soo unconsciously shows her inferiority that she could not be a pianist through the conflict with the extras. We can make sure that this came from the depression in her self-epic. She is in the egocentered world and cannot compromise with reality. Therefore, she uses to hurt the people around her. It can be said that establishing "Self", rather than relationship with others, is the immediate priority for Ji-soo. Secondly, I am checking that the inferiority, hurt, and the bad relationship would be recovered to some degree being combined with the brining up of parent-epic. Concerning how she would bring up Kyung-min left alone, Ji-soo switches her egocentered attitude on life to the parent-epic. In other words, switching her own inferiority to bringing up, Ji-soo becomes to heal up and solve her problem. The teacher can be more proper than parent to discuss the parent-epic, but Ji-soo realizes how valuable the parent-like sacrifice is.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analyzes his or her life can be changed to the positive way when the egocentered person faces bring-up-problem of parent-epic. Analyzing how the "bring-up" problem shows differences comparing with other works which take the parent-epic can be meaningful. I save it for the next tas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