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딴뜨라 수행체계를 통한 의식변형 ─ 『비갸나바이라바 딴뜨라』의 다라나 분석을 중심으로

        곽미자(kwak, Mija) 한국요가학회 2019 요가학연구 Vol.-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딴뜨라의 수행체계인 세 가지 우빠야를 중심으로『비갸나바이라바 딴뜨라』에 제시된 112가지 다라나를 분석하여 딴뜨라 수행체계의 의식변형을 살펴보는데 있다. 쉬바파 딴뜨라에서 의식변형은 영적불순의 정화를 통한 의식의 확장이다. 쉬바파 딴뜨라에서는 의식 확장의 방법을 우빠야라고 하며, 삼바보빠야, 샥또빠야, 아나보빠야가있다. 세 가지 우빠야는 의식변형의 위계적이고 점진적인 방법으로서 세 가지 영적불순(아나바 말라, 마이야 말라, 까르마 말라)과 밀접한 연계성을 가지고 있다. 『비갸나바이라바 딴뜨라』의 다라나들이 세 가지 수행체계별로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싱과 락슈만주의 분류체계를 토대로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식변형은 세 가지 우빠야의 위계적이고 점진적인 과정이다. 비록 의식변형은 위계적인 과정이지만 모든 다라나의 수행목적은 쉬바 의식과 하나됨이다. 둘째, 의식변형의 방법은 높은 차원의 수행체계부터 제시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누구나 쉬바 본성을 재인식할 수 있으며, 높은 차원의 수행법이 좀 더 쉬바 본성을 실현하는데 직접적이 기 때문이다. 셋째, 의식변형은 세 가지 영적 불순의 정화과정이다. 넷째, 비갸나바이라바 딴뜨라의 다라나는 샥토빠야에 해당되는 수련법이 대부분이어서 마음을 바르게 사용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through analysing the upāya of the 112 dhāraṇās in “Vijňānabhairava Tantra”. The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means the expansion of consciousness through the purity of spiritual impurity(mala). It is called upāya the way of purifying. There are three upāyas, śāmbhavopāya(spiritual yoga), śaktopāya(-psychological yoga), āņavopāya(physical yoga) which is related to the spiritual impurity(mala). For example, śāmbhavopāya is related to ānava mala, śaktopāya to māyiya mala, āņavopāya to kārma mal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e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is hierarchical and progressive even though the purpose of dhāraṇās is same. Second, the way of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is presented from śāmbhavopāya to āṇavopāya because spiritual yoga is close to our ultimate reality. Third, the way of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is the way of purifying of spiritual impurity. Forth, most of dhāraṇās in “Vijňānabhairava Tantra” are focused on śaktopāya (psychological yoga), which means the use of right mind for the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 KCI등재후보

        샹키야 철학과 바가바드기따의 구나(Guna)에 관한 비교연구

        곽미자 ( Kwak Mija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7 동서정신과학 Vol.20 No.1

        구나(guna)는 인도철학뿐만 아니라 인도문화에서 중요한 개념으로서 특히, 샹키야 철학과 바가바드기따에서는 가장 중요한 개념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샹키야 체계 중 특히 무신론과 이원론을 강조하고 있는 고전적 샹키야(Karika Sankhya)와 바가바드기따에서 언급되고 있는 구나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구나(guna)라는 용어에 관해서 일반적으로 번역되고 있는 `속성(quality)`이 두 체계에서는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오히려 샹키야에서 구나는 뿌루샤를 묶는 쁘라끄리띠의 끈으로서 활동하므로 `줄(rope), 실(thread), 끈(cord)`으로 의미되며, 또한 구나는 뿌루샤를 위해 있으므로 `부차적인 혹은 보조의 것(secondary)`을 의미한다. 바가바드기따에서 구나의 의미는 샹키야 철학에서만큼 명확하게 사용되지 않고 있으나 구나의 본질에 관한한 샹키야와 바가바드기따는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구나는 누구에게나 내재해 있으며 개인의 다양성은 사뜨와(sattva), 라자스(rajas), 따마스(tamas)라는 세 가지 구나 중 어느 것이 주도적인가에 따른 것으로 두 체계는 인정하고 있다. 신의 존재 유무에 따라 샹키야와 바가바드기따에서는 구나와 관련하여 몇 가지 차이점을 나타낸다. 고전적 샹키야에서는 신을 믿지 않으며, 뿌루샤와 마찬가지로 쁘라끄리띠를 독립된 실체로 인정하고 있다. 구나는 쁘라끄리띠의 산물이 아니며, 쁘라끄리띠는 구나의 평형상태에 있다. 하지만 바가바드기따에서는 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으며, 구나는 신의 도구로서 활용하고 있다는 차원에서 쁘라끄리띠의 산물이라 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구나를 초월하고 있는 신으로부터 나오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샹키야에서는 구나의 평형상태가 깨어짐으로써 쁘라끄리띠의 전개가 이루어지므로 구나의 기능이 형이상학적인 양상에 초점을 더 두고 있다면, 바가바드기따에서는 세상만물은 신에 의해 창조되므로 구나의 기능은 사이킥(psychic) 양상에 더 비중을 두고 있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샹키야에서 구나는 항상 활동적인 구나로부터 초월해있는 뿌루샤를 위해 있으므로 비활동적인 뿌루샤와 관련되어있지 않다. 하지만 바가바드기따에서는 비록 신이 구나의 작용으로부터 영향을 받지는 않지만 구나는 신과 연관되어 있다. 이른바 사뜨와는 비슈누와, 라자스는 브라흐마와 따마스는 시바와 관련되어 있다. 넷째, 샹키야와 바가바드기따에서 자유는 구나로부터의 해방 혹은 초월(trigunatita)이라 할지라도 자유에 이르는 방법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샹키야에서 자유는 뿌루샤와 쁘라끄리띠 사이의 바른 지식 혹은 분별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이것은 뿌루샤가 쁘라끄리띠로부터의 완전한 분리 상태이다. 샹키야에서는 행위(karma)는 구나의 작용으로 보기 때문에 행위를 통해서 자유에 이를 수 없다고 한다. 하지만 바가바드기따에서는 욕망 없는 행위(까르마 요가)를 통해 자유에 이를 수 있으며 지식요가와 박티요가를 통해서도 가능하다고 한다. 샹키야에서 자유는 축복의 상태가 아닌데, 이는 축복 또한 사뜨와의 상태로 여기기 때문이다. 하지만 바가바드기따에서는 신의 축복으로 여기는 점 또한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고전적 샹키야와 바가바드기따에서의 구나의 본질과 관련하여 차이가 없지만 신의 존재 유무에 따라 그 특성과 기능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guna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ideas in Indian philosophy as well as Indian culture. The gunas are mentioned here and there in scriptures or texts. In Sankhya philosophy and Bhagavadgita the concept of the gunas is known as one of the main ideas. The concept of the gunas seems to be different in respect to the thoughts from Sankhya philosophy and Bhagavadgita. So, in this paper, an attempt has been made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gunas by examin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lassical Sankhya or Karika Sankhya and Bhagavadgita. In chapter two, the meaning of the term gunas has been discussed in both Sankhya philosophy and Bhagavadgita. From this chapter, we found that the `gunas` have not been used to mean `quality` specially as in Nyaya-Vaisesika, but `rope` and `secondary`. In chapter three, an attempt has been made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gunas. Sankhya and Bhagavadgita agree in the sense that the Ultimate Reality is beyond the gunas, but the difference is that in Sankhya, the gunas never associate with it while in the Bhagavadgita they do. The gunas given by Sankhya function as the metaphysical features compared to psychic features. Whereas the gunas in the Bhagavadgita function as the psychic features compared to cosmic aspects. The reasons have been discussed in respect to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God. In chapter four, gunas in both systems cause bondage as a result of spirit identifying with matter. Again, liberation is a state free from the three gunas. However, in the aspects of the way to get liberation, Sankhya focused on knowledge through discrimination between purusa and prakrti, while Bhagavadgita focused on the path of Karma, Jnana, Bhakti and Raja yoga.

      • KCI등재후보

        힐링의 시대와 요가의 미래

        곽미자(Kwak, Mija) 한국요가학회 2013 요가학연구 Vol.- No.10

        본고에서는 웰빙 문화와 요가를 다시 되짚어 보면서 힐링 시대에 앞으로 요가가 나아갈 방향성을 모색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웰빙 시대의 경우 요가는 대중화와 요가학문의 발달로 볼 수 있다. 요가의 대중화는 요가의 양적팽창을 가져온 대신에 질적인 저하를 가져왔으며, 요가학문의 발달은 요가의 전문성이 강조되었으나, 대중 속으로 그 전문성이 파고들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웰빙에서 힐링열풍이 일어나게 된 배경을 살펴본 결과, 힐링은 웰빙보다 선행되어야 하는 것과, 시대적인 상처의 치유의 필요성과 웰빙의 지나친 상업화가 그 원인이었다. 이를 토대로 힐링 시대에 나아가야 할 요가의 방향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힐링 시대의 요가의 미래는 질적 인 성장에 있으며, 그 과정에서 다음과 같이 통합코드가 제시되었다. 첫째, 요가의 치유적 가치의 재발견으로서, 요가 속에 깃든 치유를 인식해야 한다. 둘째, 질병 혹은 고통의 뿌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이는 요가의 경전에서 제시하고 있듯이 무지, 혹은 참나와의 분리감에서 보는 영성치유와 연결되어 있다. 셋째, 전일건강으로서의 요가의 이해가 필요하다. 넷째, 아사나 중심에서 벗어나 다양한 요가를 바르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요가의 다양한 기법을 통합하는 방법의 통합요가와, 하나의 기법을 적용하더라도 전일건강을 염두에 두고 적용하는 통합 요가를 제시하고 있다. 여섯째, 힐링 시대에서 요구하는 것은 마음치유 에 더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마음요가 혹은 요가명상으로 일컬어지는 내면요가가 강조되어야 한다. 일곱 번째는 통섭의 요가를 말하고 있다. 통섭은 학문 간의 교류 혹은 통합을 의미한다. 세 가지 차원에서 통섭을 제시하였다. 요가와 밀접하게 연결된 아유르베다와 탄트라와의 통섭, 요가전공자들이 타 학문을 배우고 요가에 적용함으로써 요가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통섭, 마지막으로 요가의 응용차원에서 다른 분야와 협력하고 함께 연구해야 한다는 통섭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of yoga in the healing of the times. Through the culture of wellbeing, yoga has become very popular and the researches on yoga has increased. However, popularization of yoga reduced the essence of yoga and researches on yoga could not apply to its practice. There are three reasons that wellbeing trend has changed to healing trend; healing should be prerequisite to wellbeing, and is necessary in the present age to heal people,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wellbeing. Through these results, we consider following things for the future of yoga. Frist, we should rediscover the value of healing in yoga. Second, we should recognize the fundamental cause of disease or suffering, which is connected to spiritual healing. Third, we need to understand the yoga as holistic health. Fourth, we need to know the different type of yoga. Fifth, we need to understand the integral yoga in terms of one yogic discipline appling to holistic health as well as unit of different yogic discipline. Sixth, we need to keep focus on inner yoga which is called as psychological yoga or yogic meditation because mental healing is important in the healing of the times. Seventh, we need the consilience of yoga which means unit of yoga and ayurveda or tantra, which yoga teacher study widely by making academic exchange between. All these are connected each other for developing yoga in the healing of the times.

      • KCI등재후보

        심리치유를 위한 요가명상의 시각화 활용

        곽미자(Kwak, Mi Ja) 한국요가학회 2012 요가학연구 Vol.- No.8

        요가명상을 이해하고자 할 때 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몰입할 수 있는 집중의 대상이 필요하다. 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는 방법 중 하나가 시각화를 통해서이다. 시각화는 외부세계로부터 감각을 철회하여 눈을 감은 채 생생하게 보는 것을 의미한다. 시각화는 서구의 심리치유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요가명상의 차원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는 다소 생소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요가명상에서 시각화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심리치유의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내면요가를 이루고 있는 쁘라띠야하라와 다라나의 주요 기법에서 활용되고 있는 시각화를 살펴봄으로써 요가명상에서의 시각화의 의미와 중요성과 효과적인 시각화를 위한 방법을 살펴보았다. 시각화는 아사나와 쁘라나야마에서 함께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가명상에서 필요한 도구, 즉 사이킥 통로, 사이킥 센터, 사이킥 상징을 집중의 대상으로 활용하고 있어 요가명상에서의 시각화는 중요한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요가명상에서 시각화 방법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첫째, 잠재의식의 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완을 할수록 자발적으로 드러나는 이미지나 형상을 시각화하기가 쉽다. 둘째, 시각화의 대상이 명상자에게 의미 있어야 한다. 요가명상에서 시각화가 심리치유로서 효과를 가져오는 이유는 시각화가 잠재의식과 무의식을 정화하고 통찰하게 함으로써 행동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또한 거친 몸보다 미세한 몸과 원인적 몸을 더 직접적으로 정화하기 때문이다. In yoga meditation the object of concentration is necessary to hold mind to one point. One of the ways of binding of the mind to one point is through visualization. Visualization means to see inner object with the closed eyes by withdrawing the senses from outward. Visualization is utilized for psychological healing in the west. However it is rare to find how it applies in yoga meditation. Therefore, to find the application of visualization in the yoga mediation was and the possibility of it s psychological healing was the aim of this study. In detail, by studying main techniques of pratyāhāra and dhāraņāwhich are belong to inner yoga, the meaning of visualization, its importance and the effective method of practising visualization were examined. Visualization can be practiced with asana and prāņāyāma and as tools of yoga meditation it is important to hold mind to one point for example, psychic passage(nadi), psychic center(chakra) and psychic symbols. To practise visualization in effective way, the relaxation of subconscious and unconscious is necessary and the object of concentration for practising visualization should be simple and meaningful to meditator. The more mind is relaxed, the more symbol is arisen in front of the closed eyes spontaneously and clearly. Visualization is effective for psychological healing by purifying the sub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 another reason of its psychological healing is to have direct influence on the subtle body and causal body.

      • KCI등재후보

        국내 요가관련 분야의 최신 연구동향

        곽미자(Kwak Mi ja) 한국요가학회 2018 요가학연구 Vol.- No.20

        본 연구의 목적은 요가관련 분야의 최신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국회도서관의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2011년부터 최근((2018.4.22)까지의 ‘요가’, ‘아유르베다’, ‘딴뜨라’ 및 ‘필라테스’를 키워드로 분석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학위논문과 한국연구재단의 등재 및 등재후보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으로서 요가 470편, 아유르베다 36편, 필라테스 206편을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은 연도별 연구동향과 전공별 연구동향분석이다. 연도별 연구동향은 논문제목으로 나타난 연구의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전공별 연구동향은 ‘요가’와 ‘필라테스’를 중점으로 학술지유형별 빈도분석과, 박사학위논문의 전공유형 및 전공영역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동향과 관련하여, 요가 연구는 2011년 이후에도 2011년 이전의 연구에 비해 학술지 게재논문과 박사학위논문이 증가되었다. 하지만, 2017년 이후부터 요가관련 박사학위논문은 필라테스 박사학위논문 수보다 감소하였다. 요가와 연관이 있는 아유르베다와 딴뜨라 연구는 2011년 이전의 연구에 비해 양적으로 증가되었기보다는 오히려 감소되었다. 둘째, 전공별 연구동향과 관련하여, 요가의 학술지 게재 영역은 29개 학술지로서 다양하였으나, 필라테스의 경우 주로 체육 분야에 게재되었다. 요가 및 필라테스의 박사학위논문의 유형을 살펴보면 효과검증연구(요가, 68.4%, 필라테스 94.7%)가 대다수였으나, 요가는 필라테스에 비해 다양한 형태의 연구유형이 제시되었다. 요가 및 필라테스의 박사학위논문의 전공유형 분석의 경우, 둘 다 체육학 전공(요가 19.3%, 필라테스 52.6%)이 많았지만, 요가의 경우 전공영역이 다양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발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가학문의 발달과제는 아유르베다, 딴뜨라의 유기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필라테스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생활체육으로서 요가의 정체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요가의 다양한 수련법이나 지도법을 체계화하고 재활에 초점을 두는 요가테라피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udy trend in related to yoga in Korea and to propose new study direction based on the analysis. As for the data collection through DB of the Library of Congress,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by searching for keywords such as “yoga”, “ayurveda”, “tantra”, “pilates”from 2011 to 2018. The collected data were total 470 pieces about yoga, 36 pieces about ayurveda and 206 pieces about pilates at the domestic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 and thesis published on academic journals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Research trend according a year of studies and a major field of study were analyzed. Research trend according to year was analyzed by the number of studies and research trend according to the major field of study was analyzed through the type of journal and the field of major of doctoral dissertation in case of yoga and pila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The number of studies about yoga was increased since 2011 compared to before 2011, doctoral dissertations about yoga were decreased since 2017. The number of studies of ayurveda and tantra were decreased compared to before 2011. Second, The number and types of journals on yoga were various but pilates was focused on the field of sports. In case of the type of doctoral dissertation in yoga and pilates, most of them were experimental research( yoga 68.4%, pilates 94.7%). The other hand, as far as the analysis of the field of major, even though both of yoga and pilates were physical education, yoga was various. The new task of studie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hat the studies of yoga should be studied with ayurveda, tantra and pilates. Second, as far as sports for all, the identity of yoga is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yoga therapy focused on practice, teaching method and rehabilitation.

      • 하타요가 문헌 속의 쁘라띠야하라

        곽미자(KWAK, Mi-Ja) 한국요가학회 2016 요가학연구 Vol.- No.16

        본 연구에서는 고전 하타요가와 현대 하타요가의 차이를 통하여 고전 하타요가를 현대인에게 그대로 실현할 수 없는 한계를 살펴보고. 고전 하타요가와 현대 하타요가의 맥을 이어주는 그 대안적인 수련법으로서 쁘라띠야하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하타요가 문헌을 통해서 세 가 지 관점에서 쁘라띠야하라를 재발견 할 수 있었다. 첫째, 고전 하타요 가에서 지분으로서 쁘라띠야하라를 살펴본 결과, 쁘라띠야하라는 1450년경의 HP에서는 없던 지분이지만, GhS에서는 네번째 지분으로 제시된 점이다. 둘째, 하타요가 문헌에서의 쁘라띠야하라의 수련 순서를 살 펴본 결과, 쁘라나야마 다음에 쁘라띠야하라가 제시된 요가수트라의 아쉬탕가 요가와는 달리 하타요가에서는 쁘라나야마 이전에 쁘라띠야하라가 제시된 점이다. 셋째, HP에서 쁘라띠야하라는 다른 수련법과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수련법의 전제 조건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쁘라띠야하라를 통하여 아사나 중심의 현대 하타요가가 신체단련이나 미용으로 그치지 않고 명상이나 더 나아가 고전 하타요가에서 처럼 영적 수련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limit to provide classical Hatha yoga to the modern people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lassical Hatha yoga and the modern Hatha yoga, and suggested Pratyahara as an alternative training method that connects the classical Hatha yoga and the modern Hatha yoga. As a result, Hatha yoga literature rediscovered Pratyahara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considering the perspective of the share of Pratyahara in the classical Hatha yoga, Pratyahara did not have any shares in HP in 1450 but was suggested to be the 4th larges tshare in GhS. Second, in terms of the training order of Pratyahara in the hathayoga literature, unlike in the Ashtanga yoga of Yogasutra where Pratyahara was suggested following pranayama, pratyahara was suggested before pranayama in Hathayoga. Third, pratyahara in HP was interconnected with other training methods as a pre-requisite to other training methods. Such research outcomes show that the modern Hatha yoga focusing on Asana is not limited to the physical training or beauty through pratyahara but show the possibilities of meditation or further spiritual training like the classical Hatha yoga.

      • KCI등재후보

        샹키야 철학과 바가바드기따의 구나(Guna)에 관한 비교연구

        곽미자 ( Mi Ja Kwak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4 동서정신과학 Vol.7 No.1

        The guna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ideas in Indian philosophy as well as Indian culture. The gunas are mentioned here and there in scriputres or texts. In Sankhya philosophy and Bhagavadgita the concept of the gunas is known as one of the main ideas. The concept of the gunas seems to be different in respect to the thoughts from Sankhya philosophy and Bhagavadgita. So, in this paper, an attempt has been made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gunas by examin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lassical Sankhya or Karika Sankhya and Bhagavadgita. In chapter two, the meaning of the term gunas has been discussed in both Sankhya philosophy and Bhagavadfita. From this chapter, we found that the `gunas` have not been used to mean `quality` specially as in Nyaya-Vaisesika, but `rope` and `secondary`. In chapter three, an attempt has been made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gunas. Sankhya and Bhagavadgita agree in the sense that the Ultimate Reality is beyond the gunas, but the difference is that in Sankhya, the gunas never associate with it while in the Bhagavadgita they do. The gunas given by Sankhya function as the metaphysical features compared to psychic features. Whereas the gunas in the Bhagavadgita function as the psychic features compared to cosmic aspects. The reasons have been discussed tin respect to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God. In chapter four, gunas in both systems cause bondage as a result of spirit identifying with matter. Again, liberation is a state free from the three gunas. However, in the aspects of the way to get liberation, Sankhya focused on knowledge through discrimination between purusa and prakrti, while Bhagavadgita focused on the path of Karma, Jnana, Bhakti and Raja yoga.

      • 쁘라나와 아빠나의 합일을 위한 아사나 수련의 가능성

        곽미자(Kwak, Mi-Ja) 한국요가학회 2015 요가학연구 Vol.-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쁘라나와 아빠나의 합일의 원리를 응용한 아사나 수련의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쁘라나와 아빠나의 다양한 의미를 살펴본 결과, 쁘라나와 아빠나는 단순히 들숨과 날숨의 호흡의 의미를 가지기 보다는 미세한 몸의 에너지를 일깨우기 위해 사용하는 에너지의 흐름으로 이해해야 하며, 쁘라나는 상승하는 에너지로, 아빠나는 하강하는 에너지로 파악되었다. 쁘라나와 아빠나가 의미하는 안으로 들어오는 에너지와 바깥으로 나가는 에너지는 문헌마다 불일치하여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다. 쁘라나와 아빠나의 합일을 위한 다양한 수련방법을 검토하면서 쁘라나와 아빠나의 합일을 위하여 아사나 수련 시 응용할 수 있는 원리는 다 음과 같았다. 첫째, 쿰바카를 활용하기, 둘째, 쿰바카와 반다를 활용하기 셋째, 에너지의 흐름을 위한 자각의 방법 및 빛의 형태로 있는 에너지의 시각화였다. 부장가아사나를 통하여 쁘라나와 아빠나의 합일에 대한 다양한 수련법을 적용하려고 하였으며, 이는 추후 문헌고찰과 임상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신체중심의 아사나가 하타요가의 목적인 쁘라나와 아빠나의 합일을 위하여 다양하게 수련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sana practice based on the methods for union of prana and apana. Even though the meaning of prana and apana is various according to several texts, there is concurrence among texts; prana means upward moving force and apana means downward moving force. However about inward or outward mov-ing force there is no concurrence. So it needs more research. By researching the methods about union of prana and apana, there are some principles of union prana and apana for practice of asana. First, it is possible by kumbhaka, second, by three bandhas third, by the awareness of energy flowing and visualization of energy as light. I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asana practice based on the methods about union prana and apana through bujangasana. However it needs to verify by case study and tex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쁘라띠야하라를 통한 인지행동치료의 가능성

        곽미자(Kwak, Mija) 한국요가학회 2018 요가학연구 Vol.-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쁘라띠야하라의 심리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앞으로 쁘라띠야하라에 기반을 둔 인지행동치료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지행동치료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요인들을 살펴본 다음, 세가지 질문을 통하여 그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첫째, 쁘라띠야하라가 인지행동치료에서 강조하고 있는 인지와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 둘째, 쁘라띠야하라는 인지행동치료의 두 가지 접근 중 어느 것에더 가까운가? 셋째, 쁘라띠야하라는 인지행동치료의 주요 전략 중 어느 전략과 유사한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결과로서 쁘라띠야하라는 인지행 동치료와 마찬가지로 인지와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며, 마음챙김과 수용에 근거를 둔 인지행동치료와 유사하며, 인지행동치료적 전략적 기법으 로서 인드리야 쁘라띠야하라는 탈자동화와 비판단적 수용과 밀접하며, 마노 쁘라띠야하라는 인지적 탈융합 및 인지재구성과 유사하며, 삼스까라 쁘라띠야하라는 심상을 활용한 인지행동치료와 유사하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요가테라피를 할 때 심리적 문제를 호소하는 클라 이언트에게 쁘라띠야하라에 기반을 둔 인지행동치료적 접근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지행동 치료에서 쁘라띠야하라를 응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focused on rediscovering the psychological values of pratyāhāra and searching the possibility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CBT) through pratyāhāra. For this purpose, the main concepts of pratyāhāra and CBT were reviewed. To research the possibility of CBT through pratyāhāra three question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can pratyāhāra bring the change of cognition and behavior as CBT? Second, which approach of CBT pratyāhāra is similar? Third, which strategies of CBT pratyāhāra are simila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possibility of CBT was reviewed. As the result, pratyāhāra has the possibility of change of cognition and behavior as CBT and was similar to the mindfulness and acceptance based therapy. The similarity of strategies in CBT and pratyāhāra was clarified as follows; the practice of indriya pratyāhāra is similar to deautomatization and non-judgmental cceptance of CBT, mano pratyāhāra, cognitive defusion and cognitive reconstruction, samskara pratyāhāra, imagery in CBT.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yoga psychological therapy and CB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