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현대인의 독서문화 증진을 위한 공원형 파빌리온 제안 : 프로젝트 ‘Book-around’를 중심으로

        공혜림 ( Hye-rim Kong ),김경희 ( Kyung-hee Kim ),이채린 ( Chae-rin Lee ),정다은 ( Da-eun Jeong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0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9 No.-

        최근.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복잡하고 바쁜 하루를 보내며, 여유를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전자기기의 장시간 사용으로 디지털 피로와 같은 각종 문제들이 발생하여 현대인들의 여유를 되찾아줄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능동적이며 스스로 상상하고 생각하게 하는 매체인 책을 통하여 나를 돌아보며 주변을 돌아보고, 더불어 진정한 휴식을 제공하는 공간을 만들고자 한다. 특히 한강공원이라는 일상적이며 자연적인 공간에 자리 잡아 편리한 접근성을 제공하고, 현대인들이 휴식의 개념으로 독서를 경험하며 능동적으로 공간에 참여함으로써 독서 문화 증진을 가능케 하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대인의 독서문화 증진을 위해 공원형 파빌리온을 제안하며, 사용자에게 책을 읽을 수 있는 유연한 환경을 제공하고, 일상의 여유를 되찾기 위해 휴식의 기능을 중점적으로 접목하고자 하였다. Recently, modern people in the digital age have not been able to relax in their complex and busy daily lives. Since the long use of electronic devices has caused many problems such as digital fatigue, it is necessary to suggest a new space for modern people to regain their composure. Therefore, we want to create a space where we can look around and provide real rest through books, a medium that makes us think and imagine ourselves. In particular, we intend to provide convenient access by establishing it in the Han River Park, which is a common and natural space, and to make it possible to promote reading culture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space as well as experiencing reading as a concept of relaxation. Thus, this paper proposed a park-type pavilion to promote the reading culture of modern people, provided a flexible environment for reading books to users, and focused on combining the functions of comfortable rest to regain composure.

      •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변화에 대응하는 숙명여대 미술대학 미래 캠퍼스 제안

        김경희 ( Kyung-hee Kim ),공혜림 ( Hye-rim Kong ),정다은 ( Da-eun Jeong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0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8 No.-

        본 연구는 융합적 교육을 통해 변화하는 수업 방식과 교육시설의 변화들을 반영하여 진행한 학교 공간 리-디자인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는 숙명여자대학교 캠퍼스 중 미술대학 건물을 사이트로 선정하였다. 디자인 분야를 전공으로 하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공간적 지원에 대한 연구 및 행태와 요구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보완하고, 앞으로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공간을 계획하였다. 더불어 건물 전체의 리조닝 및 프로그래밍을 통해 타 구성원들과의 협력과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는 공간들을 구성하고 미래 교육의 목표인 융합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공간을 디자인했다. 다양한 시점과 활용성을 감안하여 실질적인 교실들과 공용공간들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형태적인 부분부터 심리적인 부분까지 토탈 디자인의 관점으로 탐구하였다. This study is a school space transformation project that has been carried out to reflect changing teaching styles and spatial changes through convergent education. We selected the Art&Design University building as a site among th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ampuses. We supplemented the problem through the study of spatial support required by students majoring in design, and by understanding their behavior and needs through that we have planned a space to respond to future changes. In addition, we have organized spaces where students can work together with other members to develop problem-solving skills, and we designed a space to nurture converged talent, the goal of future education through re-zoning and programming throughout the building. We have defined practical classrooms and public space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times and uses, and we studied the formative to the psychological part of it from the perspective of total design.

      • KCI등재후보

        NIHSS 활용을 통한 뇌졸중 환자 간호의 질향상 전략

        박경현,송경애,혜성,나화주,유수경,박소영,김상희,혜림,배희준,한문구,양미화 한국의료QA학회 2009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5 No.2

        문제: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간호현장에서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증상악화에 대한 조기사정과 적절한 대처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임상현장에서는 이를 객관화하고 수치화하여 모든 의료진이 의사소통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를 사용하고 있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NIHSS(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를 신경과 진료의사를 중심으로활용하고 있지만 아직 간호현장에서는보편적으로사용하지 않고있다. 이에 뇌졸중환자간호에 NIHSS를 활용하여 뇌졸중 증상악화의 조기사정과 빠른 대처로 궁극적으로는 뇌졸중환자 간호의 질을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활동이 시도되었다. 목적: 첫째, 간호사의 NIHSS 측정 신뢰도의 현수준을 점검하고 이를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한다. 둘째, 간호사가급성기 뇌졸중환자에게 NIHSS 측정을 통하여 뇌졸중악화를 얼마나 예측할 수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향상시킬수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셋째, 궁극적으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증상악화의 조기 발견과치료를위한의료진의 올바른 대처지침을 마련하여 이를 적용한다. 의료기관: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병원의 뇌졸중 집중치료실 질 향상 활동: 첫째, 간호사의 NIHSS 측정 신뢰도 향상을 위해 「NIHSS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