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폭력 피해 여성들의 ‘성장(thriving)’ 경험의 의미

        공춘옥,김봉환 한국여성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9 No.4

        The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meanings of thriving experiences after sexual violence with detailed description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six women who are in their 20th to 40th. They participated counseling or special programs for sexual violence victims for certain periods. The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December 2011 to May 2014. During the period, I had one or three tim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participant. The access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through snow balling, the personal acquaintances of mine, or introductions by my acquaintances. In my analysis, the six overarching themes and nineteen specific themes have come up with from the interviews. The higher themes are <playing the variations of healing>, <free from the traumatic memories>, <self-respect>, <communication wholly with others and the world>, <construct the life histories as one hope>, <to move forward for thriving experience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ositive and thriving experiences after sexual abuse within the psychological framework. Heretofore, 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thriving experiences after sexual abuse is at the early stage of discussions and research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In addition, the research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counselors to believe in the resilience of clients, not to be diverted by the symptoms of clients, rather firmly seeking the goals and directions of counseling in the consultation scen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ose who have contemplated for a long time about their sexual abuse experiences and participated social activism which provided them the opportunities to empower themselves. I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hose who only have taken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results would reveal different aspects of experiences.

      • KCI등재후보

        성소수자(LGB)의 상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성정체성을 중심으로

        공춘옥,정윤경,박수영 한국질적탐구학회 2018 질적탐구 Vol.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exual identity experience in counseling of lesbian, gay, and bisexual clients. For the purpose, we interviewed 6 LGB clientswho participated in more than 10 counseling sessions. Data analysis focused on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by apply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nd tried to find out what the meaning of experience was in counseling. As a result, 5 categories and 15 themes were derived. - 1. Finding a good counselor to whom I can show myself: 1) choose the venue where I can speak, 2) want a non-judgmental counselor, 2. Mustering courage to break up the resistance of the mind: 1) heavy conflict over coming-out, 2) wary of seeing only about sexual identity, 3) take courage to tell the counselor, 3. Looking at each other’s hearts and soul: 1) the counselor sees them without prejudice, 2) feel free after coming-out, 3) feel secured after revealing my sexual identity, 4. Seeing the treasure in my heart, shining bright with light of wisdom: 1) see the mind, struggling with sexual identity, 2) stare at my phobia, 3) expand the view on identity, 4) find the proper boundary for my family, 5) loose the bitterness from relationships, 5. Meeting my bigger self: 1) understand mebetter, 2) accept myself and move forward. The findings showed that LGB clients want counselors who are open-mined and trustworthy for sexual minorities when they apply for counseling. When they did not get counseling from agencies for sexual minorities, the LGB clients usually turned to counselors and came out to them. If the counselors accepted the LGB Clients’ coming-out without bias, then, they came to trust the counselors even more. Through counseling, LGB clients come to realize the negative feelings or thoughts that they experienced in homophobia and heterosexism-oriented society. Furthermore, LGB clients experienced changes in self-recognition to become more acceptable to their sexual identity.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measures to improve the attitude and professionalism of counselors who are counseling LGB clients. 본 연구는 성소수자(LGB)가 상담 장면에서 성정체성과 관련하여 어떤 상담 경험을 하는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0회기 이상 상담을 받은 성소수자(LGB)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 참여자의 체험과 그 의미에 집중하고 상담 경험은 어떤 것인지와 그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했다. 현상학적으로 자료 분석을 한 결과, <나를 보여줘도 괜찮은 상담자 찾기: 말할 수 있는 곳을 택함, 비판단적인 상담자를 원함>, <마음의 저항을 넘어서 용기내기: 커밍아웃에 대한 갈등이 큼, 성정체성으로만 볼까 봐 경계함, 상담자에게 드러낼 용기를 냄>, <심심상인(心心相印): 상담자가 편견없이 대함, 커밍아웃 후 해방감을 느낌, 성정체성을 드러내도 안전함>, <회광반조(回光返照): 성정체성으로 어려워했던 마음을 봄, 내 안의 포비아를 응시함, 성정체성에 대한 시선이 확장됨, 가족에 대한 적절한 선을 찾음, 연애의 응어리가 풀림>, <더 크게 나를 만나기: 내가 나를 이해함, 나를 수용하며 삶속으로 나아감>로 5개의 범주와 1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먼저, 성소수자들은 상담을 신청할 때부터 성소수자들에게 열려있고 신뢰가 될 만한 상담자를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소수자 상담기관에서 상담을 받지 않은 경우, 성소수자들은 상담자에게 커밍아웃을 하는 용기를 내며, 상담자가 이를 편견없이 수용하는 태도를 보이면 신뢰가 더 돈독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후 상담을 통해서 동성애 혐오 및 이성애중심의 사회에서 경험한 부정적 생각이나 감정을 자각하며, 나아가서 자신의 성정체성을 더 잘 수용하는 자기 인식의 변화를 겪는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소수자 상담을 하는 상담자의 태도와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외상 내담자의 Somatic experiencing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공춘옥,최한나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2

        본 연구는 외상 내담자들이 외상 치료법인 Somatic Experiencing(이하, SE)을 어떻게 체험하는지이해하고, 그 체험이 가지는 구조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여성 5명, 남성 1명총 6명이다. 자료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질적 분석 단계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외상 내담자의 SE 체험은 5개의 구성요소와 26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5개의 구성요소는 <몸이말하는 마음의 고통을 알지 못하고 살아오다>, <내 몸을 안전기지로 삼다>, <상흔이 있던 몸의 기억을 세밀하게 살펴보다>, <얽혀있던 외상의 상처를 드러내다>, <변화된 몸과 마음을 알아차리다>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SE 상담에서 내담자의 체험을 경험적으로 밝힘으로 SE 상담 과정을 생생하게 기술하고 그 체험의 의미를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외상 내담자를 위한 상담 개입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었다.

      • KCI등재

        Somatic Experiencing에 관한 국·내외 연구와 동향 :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공춘옥(Choon-Ok KONG)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6

        본 연구는 주제범위 문헌 고찰을 통해 Somatic Experiencing(이하, SE) 연구 동향을 탐색하고 향후 SE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21년까지 국 내외에서 발표된 SE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SE 연구의 방향을 알아보고자 행 하였다. SE의 효과와 주요 요소라는 연구 주제에 해당하는 총 19편의 문헌이 선정되었다. 많은 논문 에서 SE가 외상 증상과 삶의 질적 향상에 미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SE의 핵심요소로 내외 적 자원을 활용하는 점과 회복탄력성이 있음을 언급하였다. SE 연구는 초기 단계에 있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하여 이와 관련한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 of Somatic Experiencing(SE) through a scoping literature review an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various studies using SE in the future. To this end,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SE research trends publish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from 2007 to 2021 and analyze existing studies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SE research. A total of 19 articles corresponding to the research topic of the effectiveness and main elements of SE were selected. Many papers show the results of SE on improving trauma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addition, it was mentioned that the use of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and resilience are key elements of SE. SE research is in its early stag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helpful for research related to SE.

      • KCI등재

        동성애자 및 양성애자 내담자의 상담 참여결정 요인에 대한 인식

        박수영,공춘옥,정윤경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onfirm the perception of the factors considered by lesbian, gay and bisexual clients in decision making for participation in counseling. To do this, we used the Concept Mapping method to confirm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visibly sexual minorities(LGB). First, 18 sexual minority(LGB) subjects were interviewed and the data of considered factors when they decided to participate in counseling were collected. Based on the results, we asked the participants to classify the similarity and assess the importance level with 43 statements. The conception of counseling participation decision factors of 18 sexual minority subjects was derived after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from a total of 18 classification data. The result suggested following two dimensions: 1) General competencies in counseling vs. Counseling competencies for sexual minority clients, and 2) Inner personality of counselor/counseling center vs. External personality of counselor/counseling center. The following five clusters were also suggested: 1) The basic attitude of counselor to the client, 2) Positive cognition of the counselor as an expert, 3) Counselor'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sexual minority, 4) Counselor/counseling center that is capable to counsel sexual minorities, and 5) Physical and psychological accessibility of counselor/counseling center.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 evaluation, sexual minorities(LGB) considered ‘Counselor’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sexual minority’, ‘The basic attitude of counselor to the client’, ‘Positive cognition of the counselor as an expert’ as the most important cluster.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sexual minority clients counseling in the future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 참여결정에 있어서 동성애자 및 양성애자 내담자가 고려한 요인들에 대한 인식을 경험적으로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인식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개념도(Concept Mapping)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상담 경험이 있는 18명의 성소수자(LGB)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 상담에 참여하기로 결정할 때 고려했던 요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최종 도출된 43개의 고려 요인을 가지고 연구 참여자들에게 유사성 분류와 중요도 평정을 요청하였으며, 18명의 분류자료를 종합하여 다차원 척도분석 및 군집 분석을 실시하여 성소수자 내담자의 상담 참여결정 요인에 대한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이 인식한 상담 참여결정에 대한 고려 요인은 개념도 상에서 2차원 5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차원은 ‘일반적 상담 역량’ 대 ‘성소수자 상담 역량’ 차원과 ‘상담자/상담소의 내적 특성’ 대 ‘상담자/상담소의 외적 특성’ 차원으로 나타났으며, 범주는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기본적인 태도’, ‘전문가로서 상담자에 대한 긍정적 인식’, ‘성소수자에 대한 상담자의 인식과 태도’, ‘성소수자 상담이 가능한 상담자/상담소’, ‘상담자/상담소의 물리적․심리적 접근성’으로 나타났다. 중요도 평정 결과, 상담 참여결정에 있어서 성소수자 내담자들은 ‘성소수자에 대한 상담자의 인식과 태도’,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기본적인 태도’, ‘전문가로서 상담자에 대한 긍정적 인식’ 범주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성소수자 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