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뇌병변 장애인의 한국형 보완대체의사소통(AAC) 활용 실태 조사

        공진용,김경양,남세현,안나연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7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5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Methods: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Result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had many brain lesions and that the use of AAC would be helpful for communication. However, most AAC users who are currently using AAC or have used it in the past are less satisfied with AAC. Conclusion: In order to resolv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lack of specificity of AAC, it is necessary to reflec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expected users’ disabilities. To improve user experience, portability of AAC device and controllability of the sound output volume are suggested as the most important performance measure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are presented in this study.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한국형 보완대체의사소통 개발을 위한 사전연구로 장애인의 수요 및 요구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응답자는 뇌병변장애가 많았고, 대부분 AAC의 활용이 의사소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현재사용 중이거나 과거 사용한 적 있는 AAC 사용자 대부분이 AAC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기존 AAC가 사용대상자의 장애 특성을 특정화하거나 특화하지 않았던 데에서 발생하는 불편을 개선하기 위하여 장애특성을 구분하여 접근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기기 휴대방식의 편리성 및 음성출력 음량 조절 등에 대한 요소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해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의자차 회복기 추진패턴에 따른 에너지 대사 및 효율에 관한 연구

        공진용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9 재활복지 Vol.13 No.1

        본 연구는 상지에 근골격계 이상이나 신경계 이상이 없는 20대 성인 남자 22명을 대상으로 의자차를 추진하게 하여, 추진패턴에 따른 에너지 대사와 효율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최대하 운동검사에 따른 에너지 대사 및 효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휴대용 가스분석기(VmaxST) 등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결과 추진패턴에 따른 심박수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산소섭취량(VO2peak)은 반원형이 다른 패턴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의자차 추진패턴에 따른 총효율, 순효율, 작업효율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p>0.05). 다만 통계학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반원형이 다른 패턴에 비해 총효율, 순효율, 작업효율 모두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 여러 추진패턴 중 손상의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효율적인 최적의 패턴은 상대적으로 반원형이라고 할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척수손상 의자차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관절가동범위 변화, 에너지 소비량 등 종합적인 실험을 통해 최적의 추진패턴을 찾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wheelchair stroke patterns on energy metabolism and efficiency. After having given written informed consent, 22 able-bodied mal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Criteria for inclusion were: male sex, no previous experience in wheelchair propulsion, absence of any medical contraindication. VO2peak and HR was collected using automatic gas analyzer(vmaxST). Gross efficiency, net efficiency, and work efficiency were analysed from the calculated external power output and energy expenditure. The results were followe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gross/net/work efficiency between the five stroke patterns(p>0.05). But VO2peak of semicircular pattern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the other four patterns(p<0.05).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semicircular pattern is the energetically most efficient stroke pattern. Which stroke pattern is most favorable in wheelchair users with an SCI needs more study.

      • KCI등재

        장애인 보조기구 정보제공 데이터베이스 구축방안 연구 - 국외 보조기구 정보제공 DB 시스템 분석 중심으로 -

        공진용,권성진,박지연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2 장애와 고용 Vol.22 No.3

        This study is intended to build a plan providing a comprehensive and reliable information about assistive devices supported by government through collecting information and analyzing of sharing system. we would like to introduce applicable local measures building DB based on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of disabled groups and the analysi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DB system in Korea and website of 5 countries, 5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5 national institutions. In the current as a means to provide information, domestic methods such as websites, handbooks are being used, but information is not made ​​to verify the system.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deliver accurate and specific information. In this study, to solve these problems, we propose verification system of assistive device information and how to build a database and manage it. It is desirable that database website provides not only the limited information of assistive devices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needed for disabled. For this, Assistive Devices Act included assistive technology DB system should be enacted to secure a stable budget. 본 연구는 온라인을 통한 보조기구 정보의 수집과 공유체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보조기구에 대한 종합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제공 방안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보조기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국외 미국의 ABLEDATA, 독일의 REHADAT, 영국의 DLF DATA, 일본의 TAIS, 대만의 보조기구자원포탈 등 5개국 5개의 장애인보조기구 정보제공 DB 시스템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주요 조사내용은 국외 장애인보조기구 정보 DB 시스템의 운영 주체, 정보 DB 수량, 정보 분류체계, DB Contents, DB 검색 방법, DB 수집 방법, DB 검증 방법, DB 유지 및 관리 방법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현재 국내에서는 보조기구 정보제공을 위한 수단으로 웹사이트, 편람 등의 방법이 활용되고 있지만, 정보 검증체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구체적인 정보 전달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국외 장애인보조기구 DB정보 시스템 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에 근거하여 보조기구 정보의 검증체계와 보조기구 DB 구축·관리 방법을 제안하였다. 장애인보조기구 정보 DB 시스템은 보조기구에 국한된 정보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기구 정보 외 장애인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다양하게 할용이 가능하다. 장애로인한 물리적 정보 접근에 제약을 가지고 있는 장애인에게 온라인을 통한 장애인보조기구 정보 DB 시스템은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위해서는 보조기구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관련 법률 등이 제정되어 운영을 위한 기반마련이 선결되어야만 한다.

      • 다양한 휠체어 추진속도에 따른 손목관절의 운동학적 특성

        공진용,정동훈 나사렛대학교출판사 2006 지성과 창조 Vol.- No.9

        Individuals who propel wheelchairs have a high prevalence of upper extremity injuries (ie, carpal tunnel syndrome, elbow/ shoulder tendonitis, impingement syndrome) Musculoskeletal injuries can result from overuse or incorrect use of manual wheelchair, and can hinder rehabilitation efforts To better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upper extremity injur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tion of the wrist during wheelchair propulsion. To study peak wrist Joint angles, a two dimensional (2-D) analysis of wrist movement during the wheelchair stroke was performed. Twenty subjects propelled wheelchair handrim on a motor-driven treadmill at two different velocities (50,70m/mi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ime parameters of wheelchair propulsion (cadence, cycle time, push time, recovery time, and PSP ratio) at two different veloc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2. The wrist kinematic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two different velocities (P<.05), but wrist radial deviation and elbow flexion/extension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3. The wrist kinematic characteristics between initial 1 minute and final 1 minute in relation to fatigu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but wrist flexion/extension (50m/min)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isk of musculoskeletal injuries has increased from fatigue by wheelchair propulsion To prevent from musculoskeletal injuries, wheelchair users should train muscle endurance program and consider wearing a splinting/ grove Moreover, we need an education on propulsion posture, a suitable joint position, and a proper recovery pattern of propulsion for wheelchair users.

      • KCI등재

        장애인 이동보조기기 안전사고 실태조사

        공진용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he safety incidents survey of mobility assistive device users. The increase of the use of a mobility assistive device is the main cause of the accident was the mobility assistive device secure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accident environment, clinical factor, device-using behaviors related to mobility assistive device user to use disabled welfare centers and independent living centers nationwide(Seoul, Gyeonggi, Busan, Gwangju, Daejeon). The accident suffered mainly physical environment and then a laceration or contusion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upper extremities due to collision. The accident occurred mainly in the road and ramp, the time of occurrence was concentrated in the afternoon and evening. and then the majority of users without the use of a safety belt, and also equipment for educational use, regular maintenance, and professionally prescribed device could not be done at all. Mobility assistive device service usage pattern training, management system regularly by experts and checking and improving for the operating environment will be able to reduce the incidence of safety accidents. 본 연구는 국내 이동보조기기 사용자들의 안전사고와 관련된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휠체어의 사용증가는 휠체어 안전사고와 같은 불리한 상황의 증가도 더불어 야기하였다. 전국 권역(서울, 경기, 부산, 광주, 대전)의 장애인복지관과 자립생활센터를 이용하고 있고 수동휠체어, 전동휠체어, 전동스쿠터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사고와 관련된 임상적 요인, 사고 환경, 사용 패턴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 사고원인은 주로 물리적 환경이었으며, 충돌에 의해 하지 및 상지가 열상과 타박상을 주로 경험하였다. 사고는 도로와 경사면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 발생시간은 오후와 저녁에 집중되었다. 사용자의 대부분 안전벨트를 사용하지 않고 있었으며, 기기에 대한 사용교육, 정기적 관리, 그리고 보조공학 전문가의 서비스 등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이동보조기기에 대한 전문가를 통한 사용 패턴 교육, 정기적 관리 체계 구축, 그리고 사용 환경에 대한 점검 및 개선을 통해 안전사고의 발생율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휠체어 추진 속도가 견부 충돌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공진용,정동훈,권혁철 대한작업치료학회 200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0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heelchair propulsion speed changes on the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Method: EMG activity of 5 muscles (biceps brachii, pectoralis major, deltoid anterior, triceps brachii, and trapezius) were recorded with surface electrodes in 24 males during propulsion of three different speed levels on a motor-driven wheelchair treadmill. EMG signal was analysed using root mean square (RMS) values. In order to assur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sults, the one-way ANOVA and a Post Hoc Multiple Comparison were applied at the 0.05 level of significanc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Biceps brachii, and pectoralis RMS value variations of wheelchair propulsion speed between 45m/min and 60m/min, and between 60m/min and 75m/min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p>0.05). Triceps brachii, deltoid anterior and trapezius RMS value variations of wheelchair propulsion speed between 45m/min and 75m/min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p<0.05). Conclusions: The risk of impingement syndrome has increased from deltoid muscle contraction growth and trapezoid, triceps brachial muscle endurance decrease when wheelchair propulsion speed rises. To prevent from impingement syndrome wheelchair users should strengthen and endure shoulder muscles. Besides we need education on propulsion posture and suitable position for wheelchair users.

      • KCI등재

        국내 장애인보조기구 수리지원 서비스 실태조사 : 이동보조기구 중심으로

        공진용,권성진,박지연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3 재활복지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domestic Disability aids repair support service system and repair support services in the field is to identify the problem. Accordingly, Repair and support services to the national wide-area governments and private repair companies targeted for interviews and surveys. In addition, Repair company representative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problems of a more specific repair support services to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due to the absence of the repair support services with respect to domestic Disability Support Services and Business as provide a basic data concern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and supporting system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he result showed that local governments had four types of repair servic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ome problems concerned the objects of supporting, the range of supporting, kinds of repairing devices, costs of repairing devices. The result also emphasize necessity of establishing repairing and supporting system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tandardization of costs that repair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본 연구는 국내 장애인보조기구 수리지원 서비스 체계 현황을 파악하고 수리지원 서비스 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수리지원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전국 16개의 광역자치단체 및 4개의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보다 구체적인 수리지원 서비스 현황과 애로점 등을 조사하기 위해 업체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장애인보조기구 지원 서비스 및 사업들과 관련하여 수리지원 서비스 내용이 부재하다는 점에서 장애인보조기구 서비스 및 지원 정책에 실질적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 연구결과는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4가지 유형의 수리지원 서비스로 분석되었고, 사업대상, 지원금액, 수리품목, 수리단가 산정에 문제점이 나타났으며, 민간기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리지원 서비스는 주로 휠체어, 전동휠체어, 전동스쿠터 등과 같은 이동보조기구가 주로 이뤄지고 있었고 체계적인 장애인보조기구 수리지원체계 마련 필요성과 수리단가의 표준화 가능성이 강조되고 있다.

      • 장애인복지관의 보조공학서비스 프로그램 실태조사

        공진용,안나연,오현정,정승민,조재덕 대한재활공학회 2008 보조공학저널 Vol.2 No.1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에 근무하는 재활전문가틀의 보조공학 인식정도와 복지관에서 이루어지는 보조공학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보조공학서비스의 필요성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22곳의 장애인복지관에 근무하는 재활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연구 분석하였다. 실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담당자들은 대부분 보조공학 전문가가 아닌 일반 재활전문가에 의해 이뤄지고 있었으며, 프로그램 운영실태도 단순한 기기 대여 프로그램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었다. 앞으로 보조공학서비스 프로그램 세부영역으로 기기대여, 맞춤 및 제작, 기금제공, 사후관리 등의 전문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되어야 하며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보조공학 전문 센터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assistive technology awareness of rehabilitation specialists, to investigate a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of operating, to present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of necessity and activation plan. 22 have participated rehabilitation special in rehabilitation center in Korea. In fact, service operating person performed most normal rehabilitation and program operating state performed only simple lending assistive technology device. In futur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program subject will operate lending assistive technology device, funding for assistive technology and speci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 of necessity for program of performance.

      • 휠체어 추진이 손목관절 근골격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

        공진용,손병창 대한인간공학회 2006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Individuals who propel wheelchairs have a high prevalence of upper extremity injuries (ie, carpal tunnel syndrome, elbow/shoulder tendonitis, impingement syndrome). Musculoskeletal injuries can result from overuse or incorrect use of manual wheelchair, and can hinder rehabilitation efforts. To better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upper extremity injur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tion of the elbow and wrist during wheelchair propulsion. This study also was investigated about changes in the variables that occur with fatiguing wheelchair propulsion to determine how the time parameters of wheelchair propulsion and the state of fatigue influence risk of injur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isk of musculoskeletal injuries has increased from fatigue by wheelchair propulsion. To prevent from musculoskeletal injuries, wheelchair users should train muscle endurance program and consider wearing a splinting/grove. Moreover, we need an education on propulsion posture, a suitable joint position, and a proper recovery pattern of propulsion for wheelchair users.

      • KCI등재

        맞춤형 전방웨지의 높이가 착석 압력에 미치는 영향

        공진용,안나연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맞춤형 전방웨지의 높이가 착석압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를 갖고 있는 남, 여 각각 6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착석면에 추가되는 전방웨지 0, 2, 4, 6, 8, 10cm의 각각에 따른 착석 압력 분포를 측정하였다. 전방웨지 높이에 따른 착석면의 평균압력을 비교하기 위해 반복측정 일원분산분석(Repeated One way-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 방웨지 높이에 따른 압력 지수 DI, CA, PPI, SPI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으며, 전방웨지 높이가 6cm일 때 착석 압력분포가 낮게 나타났고, 압력을 재분배하는 올바른 착석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적정높이라고 제언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wedge height of inner on seated pressures. Six male and six female subjects (mean age= 27.42 years, SD=5.23) with physical disability and cerebral palsy were tested. Subjects sat on pressure mat placed over a foam cushion. Pressure readings were taken at inner reflecting wedge height increases of 0, 2, 4, 6, 8, 10cm of the front of the seat relative to back of the seat. Repeated one way an analysis of varianc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measurements of Dispersion Index(DI), Contact Area(CA), Peak Pressure Index(PPI), and Seat Pressure Index(SPI) with wedge height of inner on seat. The data indicate meaningful evidence that a height of wedge noted 6c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