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치아인대깨물근반사에 관여하는 치아인대유래 들신경섬유종말의 정량적 분석

        박국필(Kuk-Pil Park),공정욱(Jeong-Uk Gong),이청희(Cheong-Hee Lee),조광헌(Kwang-Heon Jo),박매자(Mae-Ja Park),배용철(Yong-Chul Bae) 대한해부학회 2003 Anatomy & Cell Biology Vol.36 No.1

        치아인대깨물근반사 (periodontal masseteric reflex)에 관여하여 씹는 힘을 조절하는 신경회로에서 치아인대로부터 입력되는 감각정보가 처리되는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 고양이의 치아인대유래 들신경섬유를 축삭내 horseradish peroxidase 주입법을 이용하여 동정한 후 전자현미경용 절편을 제작하였다. 그 후 삼차신경운동핵에서 39개의 표식종말을 대상으로 연속절편을 형성하여 전자현미경으로 사진을 찍어 화상분석장치를 이용하여 종말의 형태계측학적 분석을 행하였다. 표식종말은 대부분이 둥근모양 혹은 둥근지붕(dome)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분석한 표식종말의 53.8%가 가지돌기 몸체 혹은 먼쪽 가지돌기와만 연접을 이루었으며, 나머지 표식종말 (46.2%)은 p-ending으로부터 연접신호를 받는 것으로 나타 났다. 표식종말의 상당수 (64.1%)가 1개 혹은 2개의 가지돌기 혹은 축삭종말과 연접을 이루어 대단히 단순한 연접양상을 보였고 5개 이상의 가지돌기 혹은 축삭종말과 연접을 이루는 경우(2.6%)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표식종말의 부피, 함유 사립체의 체적, 인접면적, 활성부위면적 등은 매우 다양한 값을 나타내었고, 이들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변수 (parameter)들은 종말의 체적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p-ending과의 연접에 있어서 인접면적, 활성부위의 면적 등은 가지돌기와의 연접에 있어서 인접면적, 활성부위의 면적 등에 비해 편차가 적었으며, 표식종말의 체적과도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치아인대깨물근반사에 관여하는 치아인대유래 들신경섬유종말은 신경전달물질의 분비와 관련된 세포소 기관들에 있어서 고유의 정량적 특징을 나타내었고 각 종말은 연접이후 운동신경세포에 대해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Little is known about processing mechanism of sensory input from the periodontal ligaments to the trigeminal motor nucleus for the control of chewing force and modulation of chewing pattern. Low threshold mechanoreceptive periodontal afferent was labeled with horseradish peroxidase by use of intra-axonal injection technique and investigated with electron microscopy. Quantitative ultra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39 serially reconstructed labeled boutons in the trigeminal motor nucleus in cat. Labeled bouton contained clear spherical vesicles and one or two large dense cored vesicles. Most of labeled boutons were dome or round shape. All the analysed labeled boutons were presynaptic to dendritic shaft or distal dendrite and those presynaptic to soma or proximal dendrite were not observed. A large number of labeled boutons (46.2%) were postsynaptic to one or two presynaptic pleomorphic vesicle containing endings. Synaptic triad, in that a presynaptic ending which is presynaptic to the labeled bouton, in turn, is presynaptic to dendrite that is postsynaptic to the labeled bouton, was observed in 10.3% of the labeled boutons. Most of the labeled boutons showed simple synaptic organization, in that 64.1% of the labeled boutons made synaptic contacts with one or two neuronal profiles. One (2.6%) of the 39 analyzed labeled boutons showed synaptic contacts with 5 or more neuronal profiles. Labeled bouton volume, mitochondrial volume, apposed surface area and active zone area showed wide variation. These ultrastructural paramet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uton volume. The values for apposed surface area and active zone area with presynaptic p-endings, in contrast to those with postsynaptic dendrites, showed narrow range and had little correlation with bouton volume. The present study revealed characteristic features on ultrastructural parameters of labeled boutons from periodontal afferent which is involved in periodontal masseteric reflex, and that influence on the postsynaptic trigeminal motoneurons showed wide variability.

      • 네트워크 레벨의 Articulated Private Network을 지원하기 위한 User Controlled LightPath의 확장

        유영재(Yeongjae Yu),김유성(Yusung Kim),전길남(Kilnam Chon),김민아(Min A Kim),홍원택(Wontaek Hong),공정욱(Jeong-Wook Gong)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2_1

        첨단 응용 프로그램이 (예: 고에너지 물리학 대용량 파일 전송, 비압축 HDTV 스트리밍) 안정적인 고 대역폭을 요구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동적으로 대역폭을 전용으로 할당해줄 수 있는 람다 네트워킹이 대두되었다. User Controlled LightPath(UCLP)는 람다 네트워킹을 용이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로써 네트워크 자원을 Web Service로 정의 및 관리하여 확장성이 뛰어나다. 본 논문에서는 UCLP를 어떻게 KREONet2와 GLORIAD-KR 환경에 맞게 구축하였는지를 보인다. 더불어 기존의 UCLP가 옵티컬 스위치의 SONET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링크 레벨의 Articulated Private Network (APN) 만을 생성하는 한계점을 분석하고 Layer2 VLAN 기술을 도입하여 효율적인 네트워크 레벨의 APN을 생성할 수 있게 제안한다. The Lambda Networking is emerging to provide the high bandwidth stably for advanced applications such as a large file transfer in High Energy Physics and an Uncompressed HDTV streaming. The User Controlled LightPath(UCLP) is a software to facilitate the Lambda Networking. The UCLP is scalable as using Web Services to define and manage network resources. In this paper, we describe how we deployed the UCLP into KREONet2 and GLORIAD-KR. We also present that the original UCLP creates only a link-level APN due to a SONET technology. As employing a Virtual LAN (VLAN) of the layer2 technology in the UCLP, we can efficiently create a network-level AP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