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검사실 조명이 뇌파검사 중 광자극에 미치는 영향

        허재석,김승용(동조자),구희근(동조자),김기원(동조자),이창희(동조자),최장욱(동조자),배난영(동조자),최완수(교신저자)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4 임상생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4 No.-

        배경(Background) : 밝은 상황에서의 광자극이 환자에게 정확하게 자극이 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암실 상황과 형광등이 켜져 있는 두 가지 상황에서의 빛의 밝기를 측정할 수 있는 조도계를 이용하여 광자극의 밝기를 측정해 검사환경의 밝기가 뇌파검사 중 광자극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Methods): 램프와 조도계의 거리는 30cm로 하고 빛의 자극은 10초, 각 자극간의 간격은 10초로 하여 암실과 형광 등의 조건에서 각각 측정하여 조도를 기록하였다. 보다 자세한 측정을 하기 위해 Spectometer를 이용하여 두 상황에서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보았다. 결과(Results) : 2~20Hz에서 모우 p-value가 0.05 이하의 결과를 보여주며 조명에 대한 빛의 간섭이 광자극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12Hz는 가장 낮은 p-value인 0.008이 나왔다. 25Hz, 30hz에서는 모든 값이 p-value는 0.1 이상으로 그 의미가 작았다. 고찰(Discussion): 뇌파검사 중 광자극에 중에서 의미가 높은 8~15Hz사이의 모든 결과 같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을 바탕으로 검사실에 대한 조명도 환자가 받는 광자극에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준비된 검사실이 아닌 응급실이나, 중환자실에서 할 때는 협조를 받아 조명을 끄고 뇌파검사 중 광자극을 실시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한국 여성 노인의 연령 증가에 따른 체격 및 신체적 기능과 신체활동 패턴 차이 분석

        공성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19 코칭능력개발지 Vol.21 No.4

        이 연구에서는 한국 여성 노인의 연령 증가에 따른 체격 및 신체적 기능과 신체활동 패턴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여성 노인의 체격은 체성분 분석을 포함한 허리, 엉덩이, 허벅지 둘레를 측정하였고, 신체적 기능은 심폐기능과 상하지 근력, 보행능력,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신체활동은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일주일간의 신체활동 수준을 측정을 하였다. 각 변인의 연령 증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위해 oneway ANOVA 분석을 하였으며, 사후 검증은 scheffe로 하였다. 모든 분석은 STATA 15.0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연령 증가에 따른 체격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p>.05), 심폐기능과 상대하지근력(%)에서 65세~69세 노인에 비해 80세이상 고령 노인 연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5). 악력과 절대하지근력(kg), 보그 균형 검사에서 65세~69세 노인에 비해 75세 이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5). 신체활동 패턴에 있어서는 좌업적 활동은 연령 증가에 따라점차 증가하고, 저강도와 중강도 신체활동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5). 연령별 신체활동 가이드라인을 유지하는 비율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결론적으로 여성 노인의 연령 증가에 따른 노화 현상은 근육량과 체지방률의 변화와 신체활동의 유의한 감소를 동반하지 않아도, 근력 감소가 가장 먼저 일어나고, 이후 심폐기능과 골밀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근력 감소를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관리 지침이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근감소 진단 기준에 따른 근력 저하 여성 노인의 심폐기능과 보행능력 및 낙상 위험도 비교 분석

        공성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0 코칭능력개발지 Vol.22 No.2

        이 연구에서는 근감소증 진단 기준을 적용한 한 정상 근력 집단과 저하 집단 간에 신체적 특성과 심폐기능, 보행능력, 그리고 낙상위험도 차이를 비교하고, 위험비(odds ratio)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Asian Working Group for Sarcopenia(AWGS, 2020)에서 제시한 악력을 측정하여 기준치를 적용하였다. 신체적 특성은 근육량, 체지방율, 허리, 엉덩이, 허벅지 둘레를 포함하였다. 심폐기능 평가는 6분 걷기 검사로 측정하였고, 보행능력은 10m 걷기와 3m 뒤로 걷기로 측정하였다. 낙상 위험도는 버그 균형 척도로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정상 근력 집단과 저하 집단 간의 신체적 특성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두 집단 간의 심폐기능과 보행능력, 낙상 위험도의 차이는 연령과 BMI를 보정하여 liner regression을, 위험비(odd ratio)를 산출하고자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보정에 따라 model 1과 model 2로 제시하였다. 모든 분석은 STATA 15.0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근력에 따라 신장과 체중의 차이는 있었으나, BMI의 차이는 없었다. 다만, 근육량과 엉덩이 둘레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근력에 따라 정상 집단에 비해 저하 집단의 6분 걷기와 10m 걷기, 3m 뒤로 걷기, 보그 균형 검사 모두 유의하게 낮았다(p<.05). 근력에 따라 위험비를 산출한 결과 정상 집단에 비해 저하 집단의 심폐기능 저하 위험비가 약 5배, 보행능력의 감소는 약 15배, 보그 균형 검사에서는 10배까지 증가하였다(p<0.05). 한편 European Working Group on Sarcopenia in Older People(2019)의 기준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위험도가 산출되지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AWGS(2020)의 근감소증 진단 기준에서의 근력 저하의 절단점은 한국 여성 노인의 심폐기능과 보행능력, 낙상 위험도를 함께 예측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향후 AWGS(2020) 의 근력 평가 지침에 따라 임상 현상 및 지역 사회 등에서 노인의 신체적 특성을 평가하기 유효한 측정 방법이라고 생각되며, 근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한 사전 스크리닝 지침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러일전쟁 전후 손병희의 일본군 지원

        목성(孔牧誠)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4 No.-

        러일 전쟁을 목전에 두고 ‘아시아연대론’이 유행하던 당시, 손병희와 동학신도들이 대일협력을 모색했던 것은 역사 속 흐름의 당연한 귀결이었다. 속내는 어찌되었든 국제적으로 조선의 독립에 적극적이었던 일본이 러시아보다는 가깝게 느껴졌을 것이며, 한국을 일본과 함께 러일전쟁의 승전국으로 만들어 국상을 드높이기 위해서 일본군을 지원했던 것이었다. 결과적으로는 우리는 혼네(本音)와 타테마에(建前)를 갖고 있는 일본에 대해 너무 알지 못했고, 그 결과 일본제국의 식민지라는 비참한 결과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당시의 전쟁통에서 일본과 동맹국이 되고자 일본군을 지원한 그 모든 행동들을 매국 행위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본 논문은 동학의 일본군 지원을 친일과 반일이라는 이분법적인 관점이 아닌, 당시의 상황을 염두에 두고 동학의 제3대 교주 손병희의 러일전쟁 전후 사상과 행적을 고찰했다. The wind of the moderniz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lso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life of Son Byeong-hee, the third leader of the Donghak religious community. In order to defend Donghak, which had been oppressed by the Korean government, he sought political asylum in Japan. His life in Japan as a political exile made him concerned about not only Donghak but also the future of his nation. Although he made various efforts to save his country around the time of the Russo-Japanese War, he could not achieve a desirable result. Then, Son Byeong-hee tried to protect the country, making use of his status in the Donghak community and it spower. He organized ‘Min hoe’ within Donghak and helped the Japanese Army to construct a railroad in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supposed to play a crucialrole in the outcome of the Russo-Japanese War. His purposes were to express his support for Asian solidarity arguments and to lead his country to the victorious side in the war, maintaining a good relationship with Japan. This paper aims to reconsider Son Byeong-hee’s aspirations by means of taking a close and dispassionate look at political circumstances at that time.

      • KCI등재

        근감소증 진단 지표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공성아,성순창,김현수 대한운동학회 2016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8 No.4

        [PURPOSE] Sarcopenia is a term utilized to define the loss of muscle mass and strength that occurs with aging. Sarcopenia is believed to play a major role in the pathogenesis of frailty and functional impairment that occurs with old ag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d the prevalence of sarcopenia assessed using different diagnostic tool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31 women elderly subjects aged over 65 years.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Physical fitness was evaluated with 8 tests (grip and leg strength, sit-and-reach, chair sit to stand, one leg stand with open eyes, timed up and go, 4- and 10 m walking speed). Sarcorpenia was assessed by three methods (ASM/Ht2, SMI%, and MAMC). ASM/Ht2 was defined as ASM(appedicular skeletal mass) divided by body height in meters squared. SMI(skeletal muscle index)(%) was computed as (SMM/weight(kg) × 100), to determine relative sarcopenia, after calculation of SMM(skeletal muscle mass) as above from BI-derived ASM. MAMC(mid-arm muscle circumference)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standard formula (MAMC=mid-arm circumferenc-( 3.14×triceps skinfold thickness). ASM/Ht2 or SMI% were <- 2 SD from the mean of the young reference group. [RESULTS] The prevalence of sarcopenia was 28(21.4%) by ASM (kg/Ht2) and 12(9.1%) by SMI(%). ASM/Ht2 (r=.884) and SMI(%) (r=.443) showed the high correlation with skeletal muscle. Nevertheless SMI(%) was higher correlation between BMI, SMM(kg) and %BF than MAMC and ASM/Ht2. [CONCLUSION] Our paper summarises currently available data defining sarcopenia cut-off point by ASM/Ht2, SMI(%), Anthropometry(mid-arm, calf, thigh) and AWGS(asian working group for sarcopenia) algorithm for sarcopen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