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신 골밀도와 기능 상실치율 및 하악골 골소주 흡수 양상의 상관 관계

        공선애,이희철 인제대학교 1999 仁濟醫學 Vol.20 No.1S

        1993년 3월부터 1995년 6월까지 부산백병원 치과에 내원한 40세 이상 65세 이하의 연령층에 속하는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검사 및 방사선학적 검사를 시행한 결과 치주병에 이완된 치아의 비율이 20% 이하인 30명을 선정하여 이화학적 검사, 치아 파노라마 단층 촬영을 이용한 방사선학적 검사 및 LUNAR DPX 골밀도 측정기를 이용한 전신 골밀도 측정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한 검사 결과를 분석하면서 전신 골밀도 수준과 기능 상실치율 및 하악골내 골소주의 흡수 양상 간의 상관 관계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대사의 지표인 칼슘, 무기인, 알칼리성 인산화효소를 측정하여 전신 골밀도와의 상관 관계를 검증하였으나 유의한 상관 관계는 없었다(P>0.05). 2. 전신 골밀도 분석 결과는 기능 상실치수 및 기능 상실치 율에 유의한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연령에 의한 영향을 보정함)(P=0.0050). 3. 30명 환자의 기능 상실치율은 평균 33.7%이었으며 치아 파노라마 단층 촬영을 분석한 결과 이공 주변부의 골소주 흡수양상은 현저하여 Diffuse resorption type, Moth-eaten type, Limited (round) resorption type으로 분류 가능하였으나 각군별로 전신 골밀도 분석 평균의 차이는 없었다(P>0.05) The author selected 30 women whose periodontal disease rate was no more than 20%. They were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at the Dept. of Dentistry in Paik hospital from 1993 to 1995. Biochemical examination, dental panoramic tomogram check and total body bone density check were done using LUNAR DPX bone densitometer. The results were analysed by total body byon density level, function loss teeth rate and mandibualrtrabeculi resorption pattern. Then, the author accessed the correlation on the basis of their results. The following observations were made; 1.Calcium, phosphorus and alkaline phosphatase levels were not correlated with total body bone density (P>0.05) 2.There was a good correlation between function loss teeth rate and total body bone density (corrected by age) (P = 0.0050) 3.We analysed dental panoramic tomograms of 30 women whose periodontal disease rate was no more than 20%. The mean function loss teeth rate in 30 patients was 33.7%. So we could divide mandibular trabeculi resorption pattern into 3-types : Diffuse resorption type, Moth-eaten type, Limited(round) resorption type.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each resorption pattern and total body bone density (P>0.05)

      • 전신 골밀도와 기능 상실 치율 및 하악골 골소주 흡수 양상의 상관 관계

        공선애,송용준,노재형,안종인,고영규,김종화,이희철 인제대학교 1996 仁濟醫學 Vol.17 No.1

        1993년 3월부터 1995년 6월까지 부산백병원 치과에 내원한 40세 이상 65세 이하의 연령층에 속하는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검사 및 방사선학적 검사를 시행한 결과 치주병에 이환된 치아의 비율이 20% 이하인 30명을 선정하여 이화학적 검사, 치아 파노라마 단층 촬영을 이용한 방사선학적 검사 및 LUNAR DPX 골밀도 측정기를 이용한 전신 골밀도 측정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한 검사 결과를 분석하면서 전신 골밀도 수준과 기능 상실치율 및 하악골 내 골소주의 흡수 양상 간의 상관 관계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골대사의 지표인 칼슘, 무기인, 알칼리성 인산화효소를 측정하여 전신 골밀도와의 상관 관계를 검증하였으나 유의한 상관 관계는 없었다 (P>0.05). 2.전신 골밀도 분석 결과는 기능 상실치수 및 기능 상실치율에 유의한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연령에 의한 영향을 보정함)(P=0.0050). 3.30명 환자의 기능 상실치율은 평균 33.7%였으며 치아 파노라마 단층 촬영을 분석한 결과 이공 주변부의 골소주 흡수양상은 현저하여 Diffuse resorption type, Moth-eaten type, Limited(round) resorption type으로 분류 가능하였으나 각 군별로 전신 골밀도 분석 평균의 차이는 없었다(P>0.05). The author selected 30 women whose periodontal disease rate was no more than 20%. They were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at the Dept. of Dentistry in Paik hospital from 1993 to 1995. Biochemical examination, dental panoramic tomogram check and toal body bone density check were done using LUNAR DPX bone densitometer. The results were analysed by total body bone density level, function loss teeth rate and mandibular trabeculi resorption pattern. Then, the author accessed the correlation on the basis of their results. The following observations were made ; 1.Calcium, phosphorus and alkaline phosphatase levels were not correlated with tonal body bone density (P>0.05) 2.There was a good correlation between function loss teeth rate and total body bonedensi ty(corrected by age) (P = 0.0050) 3.We analysed dental panoramic tomograms of 30 women whose periodontal disease rate was no more than 20%. The mean function loss teeth rate in 30 patients was 33.7%. So we could divide mandibular trabeculi resorption pattern into 3-types ; Diffuse resorption type, Moth-eaten type, Limited (round) resorption type.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each resorption pattern and total body bonedensity (P>0.05).

      • 두경피 편평상피암종에서의 P53 단백 발현에 대한 면역 조직화학적 연구

        김우형,공선애,이차진,고영규,김종화,이희철 인제대학교 1996 仁濟醫學 Vol.17 No.1

        두경부에서 발생하는 편평상피암종은 전체 악성종양 중 2.5∼3.0%를 차지하며 흡연과 음주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한다. 구강암을 비롯한 두경부 암종은 현재 증가 추세에 있으며 대개 40代 후반, 우리나라에서는 50代에 호발한다. 두경부 편평상피암종 50례에 대해 p53 단클론 항체(DO-7, DAKO)를 사용하여 p53 단백 발현율을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검사하여 임상병리학적 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 하였다. 총 50례중 36례에서 (72.0%) P53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P53 양성 반응과 연령별, 성별, 조직학적 분화도 및 병기와는 상관 관계는 보이지 않았으나 p53 양성 반응과 흡연 및 음주와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음주와 흡연을 하는 군이 둘다 하지 않는 군에 비해 p53단백 발현율이 2.8배, 흡연만 하는 군에 비해 1.8배로 높아 두경부 편평상피암종에서의 p53유전자 변이로 인한 p53 단백 발현율이 음주 및 흡연을 하는 군에서 의의있게 높았다. 따라서 흡연과 음주를 삼가하는 것이 두경부암을 예방하는 데 중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 neck represents approximately 2.5-3.0% of all malignant tumors, and it is known that smoking and drinking is related to high-risk of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A total of 50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 neck regions were studied immunohistochemically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p53 protein using p53 monoclonal antibody (Do-7,DAKO) in the relationship with various clinicopathologic factors. Thirty six cases(72.0%) showed positive reaction for p53.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53 expression and age, sex, histopathologic differentiation and clinical TNM stage. But, p53 expression was related to smoking & drinking. Cigarette smokers with alcohol drinking history were 2.8 tomes higher in cancer risk than nonsmokers who abstained from alcohol & 1.8 times higher than smokers who abstained from alcohol. In summary, a history of smoking and alcohol use was associated with higher expression of p53 protein due to p53 gene mutation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 neck regions. So, abstaining from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is very important for prevention of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head and neck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