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배경지역의 미세먼지 생성 특성 연구

        공부주(Boo-Ju Kong),김상균(Sang-Kyun Kim),박진수(Jin-Soo Park),이상덕(Sang-Duk Lee),김종춘(Jong-Choon Kim),김정수(Jung-Soo Kim),이동원(Dong-Won Lee),이석조(Seok-Jo Lee),신은상(Eun-Sang Shin) 한국환경관리학회 2010 環境管理學會誌 Vol.16 No.2

        본 연구는 배경지역 미세먼지의 질량 및 성분 연속측정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및 물리ㆍ화학적 특성파악을 통한 생성과정 규명, 에피소드/기상 조건에 따른 미세먼지의 농도 및 화학적 특성 파악을 통하여 배경대기지역 입자상 물질의 구성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백령도의 2009년 1∼10월 먼지 질량농도는 PM₁?은 중량법으로 52.6 ㎍/㎥, 베타레이법 53.2 ㎍/㎥, PM2.5는 중량법으로 24.0 ㎍/㎥, 베타레이법으로 19.6 ㎍/㎥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금속 성분의 실시간 연속측정 결과와 여지(filter) 분석 결과는 XRF 측정결과가 ICP-MS 분석결과보다 약간 높게 측정되었으나, 일별 월별 평균치의 변동경향은 유사하였다. 평상시의 백령도 PM2.5 성분은 다른 지역에 비해 SO₄²? 성분 비율이 높고, NO₃? 성분 비율은 낮은 편이었다. 입경별 질량분포 측정결과 중위경은 320 ㎚ 이었으며, 평상시는 입경 1.8 ㎛ 이하 미세입자 영역이 PM₁? 질량농도의 약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금속 성분은 1.8 ㎛ 이상의 조대영역에서 Fe, Mg, Ca 성분의 농도가 높았다. 이온 성분은 SO₄²?, NH₄? 성분은 주로 입경 1.8 ㎛ 이하의 초미세입자 영역, NO₃? 성분은 입경 1.8 ㎛ 이상의 조대입자 영역에서 많이 존재하였다. PM2.5 구성성분 특성은 백령도가 수도권 다른 지역에 비해 양이온 성분, OC 성분이 약간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concentration levels of PM in Baengnyeong-do during January~October 2009 show that PM₁? was 52.6 ㎍/㎥ by gravimetric method and 53.2 ㎍/㎥ by β-ray method, while PM2.5 was 24.0 ㎍/㎥ by gravimetric method and 19.6 ㎍/㎥ by β-ray method. The result of a quasi-real time monitoring instrument and lab filter analysis show that the continuos monitoring instrument XRF’s estimate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ones from ICP-MS, but the trend of daily variations were similar. Fe, Pb, and Mg had a high correlation, 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As, Cr, and Se was relatively low. In the analysis of ion elements in PM2.5 concentration, SO₄²? was higher in Baengnyeong-do than in other regions, while NO₃? was lower. In high concentration cases, heavy metal concentration among PM10 elements and anion content(%) in PM2.5 increased rapidly. For Ion components in diameter in usual times, SO₄²? and NH4+ accounted for large amounts of all. SO₄²? and NH₄? components existed mostly as ultrafine particles below 1.8 ㎛ in diameter, while NO₃? was present mostly as corse particles above 1.8 ㎛ in diameter. OC concentration in PM2.5 ranged between 3.5∼8.4 ㎍/㎥, whereas the concentration of EC was between 0.7∼2.3 ㎍/㎥.

      • 배경지역에서의 대기오염물질 농도 및 분포 특성 연구

        이상덕(Sang-Duk Lee),김상균(Sang-Kyun Kim),박진수(Jin-Soo Park),공부주(Boo-Ju Kong),김종춘(Jong-Choon Kim),김정수(Jeong-Su Kim),이동원(Dong-Won Lee) 한국환경관리학회 2010 環境管理學會誌 Vol.16 No.1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의 영향을 최대한 배제한 배경지역에서의 상시 대기오염도를 분석하여 농도 수준 파악 및 분포 특성을 규명하고, 한반도에 유입되는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이동량 산정에 중요한 필수 자료의 생산과 국가간 대기오염물질 이동으로 인한 영향 입증 자료 구축 및 수도권 대기질 개선을 위한 정책자료 제공을 위하여 배경지역(백령도)에서의 PM2.5, PM₁?, 유기탄소(OC), 원소탄소(EC) 등의 대기오염물질 농도 및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the 2nd year of the research projec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ntrations and distributions of air pollutants. Continuous monitoring data on trans-boundary air pollutants including Asian dust from the background region in Baengnyeong island lead to results as follows: 1) The monthly mean concentrations of PM₁? and PM2.5 during January~October 2009 were 53.2 ㎍/㎥ and 19.6 ㎍/㎥ respectively, which are the lowest value in comparison to that of other background monitoring sites in Korea in 2009.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shown in April, and the lowest in August. 2) The PM2.5 accounted for 37% on average out of the PM10 in this background region, while in other background regions Gosan and Pado had 62% and 61% in ratio followed by Seokmo 60%, Deokjeok 57%, and Taeha 47%. 3). The organic carbon concentrations were 5.8 ㎍/㎥ in average, with elemental carbon 1.3 ㎍/㎥. 4) The OC/EC ratio was 4.3, with the ratio of 5.0 in spring, 4.9 in summer, 5.8 in autumn, and 2.9 in winter. 5) A total of 5 Asian dust events were observed in Feb. 20, Mar. 15~17, May 13, Sep. 21~22, and Oct. 19~20. The May event exhibited the highest value at 952 ㎍/㎥. During the occurrence of Asian dust, the number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diameter range of 2~5 ㎛. 6)The precipitation-weighted mean acidity of acid rain in the background region was pH 4.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